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도원경(桃源京) - 강릉(江陵)
강원도의 태백산맥(太白山脈)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
강원도>강릉 , 지명>행정지명
-
도원군(桃源君) - 덕종(德宗)@조선
조선 세조(世祖)의 아들. 1455년(세종 27) 도원군(桃源君)에 봉해지고 1455년(세조 1)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. 1471년(성종 2) 덕종으로 추존(追尊)됨.
1438~145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도원도(桃源圖) - 몽유도원도(夢遊桃源圖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화가인 안견(安堅)이 그린 산수화. 1447년(세종 29년)에 안평대군(安平大君) 이용(李瑢)이 꿈에서 무릉도원(武陵桃源)을 거닌 이야기를 듣고 그림.
144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도원량(陶元亮) - 도잠(陶潛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~송(宋) 나라의 시인.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, 당(唐) 나라 이후로 육조(六朝)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.
365~42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도원재(道源齋) - 박세희(朴世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의 일파로 몰려 강계(江界)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.
149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도위공(陶威公) - 도간(陶侃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혜제(惠帝)~성제(成帝) 때의 장군. 도잠(陶潛)의 증조부. 명제(明帝) 때 정남대장군(征南大將軍)으로 왕돈(王敦)의 반란ㆍ소준(蘇峻)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, 벼슬이 시중태위(侍中太尉)에 이름.
257~33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도유(都兪) - 도응(都膺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성계(李成桂)의 죽마지우(竹馬之友)로, 고려 말에 찬성사(贊成事)를 지내다가 조선 건국 후 상장군(上將軍)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은거함. 두문동칠십이현(杜門洞七十二賢)의 한 사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ㅣ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도은(桃隱) - 박문빈(朴文彬)
고려 후기의 문인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과 교유하였으며, 고려가 망하자 절개를 지키며 밀양(密陽)에 은거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
-
도은(道隱) - 사마승정(司馬承禎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ㆍ학자. 반사정(潘師正)에게 벽곡도인술(辟穀導引術)을 전수받았으며, 《도덕경(道德經)》의 정본(定本)을 만듦.
647~73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도은(道隱)@강흡 - 강흡(姜洽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김장생(金長生)ㆍ신흠(申欽)에게 사사(師事)하고, 현감(縣監) 등을 지냄.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(太白山)에 은거하여 심장세(沈長世)ㆍ홍석(洪錫) 등과 함께 ‘태백오현(太白五賢)’으로 일컬어짐.
1602~168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도은(陶隱)@권호신 - 권호신(權虎臣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인(權寅)의 아들로, 1582년(선조 1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효렴(孝廉)으로 천거되어 경기전 참봉(慶基殿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부모의 봉양을 이유로 사양함.
1558~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도은(陶隱) - 이숭인(李崇仁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주(星州). 삼은(三隱)의 한 사람으로, 이색(李穡)에게 수학하고 정몽주(鄭夢周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교유하였으나,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(黃巨正)에 의해 피살됨.
1347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은(陶隱)@주유 - 주유(周瑜)@고려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도은공파(陶隱公派)의 중시조로 주세붕(周世鵬)의 고조임. 고려가 망하자 불사이군(不事二君)의 충절로 벼슬을 단념하고 합천(陜川)에 은거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도은선생시집(陶隱先生詩集) - 도은집(陶隱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숭인(李崇仁)의 시문집. 변계량(卞季良)ㆍ권근(權近)이 왕명을 받아 편집하고 1406년(태종 6)에 간행함.
140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도은재(陶隱齋) - 이숭인(李崇仁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주(星州). 삼은(三隱)의 한 사람으로, 이색(李穡)에게 수학하고 정몽주(鄭夢周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교유하였으나,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(黃巨正)에 의해 피살됨.
1347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읍(都邑) - 경사(京師)
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. 경(京)은 크고 사(師)는 많다는 뜻으로, 주(周) 나라의 수도를 경사(京師)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(天子)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도일(道一)@오도일 - 오도일(吳道一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1673년(현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청풍 부사(淸風府使)ㆍ예조 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냄. 저서로 《서파집(西坡集)》이 있음.
1645~170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자(道子) - 오도현(吳道玄)
중국 당(唐) 나라의 화가. 불화(佛畫)와 산수화(山水畵)에 뛰어나 화성(畫聖)이라 불림. 소화(疎畵)의 체인 서화일치의 화체를 확립하고, 준법(皴法) 등을 사용하여 동양 회화에 영향을 끼침.
700~76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도자(陶子) - 도잠(陶潛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~송(宋) 나라의 시인.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, 당(唐) 나라 이후로 육조(六朝)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.
365~42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도자수(都子壽) - 도희령(都希齡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도득린(都得麟)의 아들. 당곡(唐谷) 정희보(鄭希輔)의 문인(門人)으로, 홍문관 저작(弘文館著作)을 지냄.
1539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ㅣ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