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도잠(陶岑) - 도산(陶山)
경상도 안동(安東) 있는 산 이름.
경상도>안동 , 지명>자연지명
-
도장(道長) - 오태주(吳泰周)
조선 제18대 현종(顯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해주(海州). 오두인(吳斗寅)의 아들로, 현종의 셋째 딸인 명안공주(明安公主)와 혼인하고, 귀후서 제조(歸厚署提調) 등을 지냄. 글씨에 뛰어나 왕실의 옥책(玉册)ㆍ신판(神板)ㆍ유지(幽誌) 등을 많이 씀.
1668~1716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인척
-
도장사(陶長沙) - 도간(陶侃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혜제(惠帝)~성제(成帝) 때의 장군. 도잠(陶潛)의 증조부. 명제(明帝) 때 정남대장군(征南大將軍)으로 왕돈(王敦)의 반란ㆍ소준(蘇峻)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, 벼슬이 시중태위(侍中太尉)에 이름.
257~33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도재(陶齋)@윤흔 - 윤흔(尹昕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으로, 윤두수(尹斗壽)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(成渾)의 문인. 이괄(李适)의 난(亂)ㆍ정묘호란(丁卯胡亂)ㆍ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왕을 호종하고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64~16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도재(陶齋) - 이숭인(李崇仁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주(星州). 삼은(三隱)의 한 사람으로, 이색(李穡)에게 수학하고 정몽주(鄭夢周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교유하였으나,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(黃巨正)에 의해 피살됨.
1347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재수필(陶齋隨筆) - 계음만필(溪陰漫筆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흔(尹昕)의 만필. 3권 3책. 필사본. 인물ㆍ역사ㆍ경전ㆍ지리ㆍ문물ㆍ제도ㆍ풍속ㆍ예절 등 광범위한 내용에 대해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체계 없이 기록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도적(屠狄) - 신도적(申徒狄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. 은 나라의 마지막 왕 주(紂)를 간(諫)하다 듣지 않으므로 돌을 지고 하수(河水)에 빠져 죽었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도적(徒狄) - 신도적(申徒狄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. 은 나라의 마지막 왕 주(紂)를 간(諫)하다 듣지 않으므로 돌을 지고 하수(河水)에 빠져 죽었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도전(道傳) - 유관(柳貫)
중국 원(元) 나라 성종(成宗)~순제(順帝) 때의 문신ㆍ학자. 한림시제(翰林時制) 등을 지냈으며, 게혜사(揭傒斯)ㆍ우집(虞集)ㆍ황진(黃溍) 등과 함께 유림사걸(儒林四傑)이라 불림. 저서로 《시제집(時制集)》등이 있음.
?~1341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전(道傳)@정도전 - 정도전(鄭道傳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의 문인.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,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(李芳遠)에 의해 희생됨.
1342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정절(陶靖節) - 도잠(陶潛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~송(宋) 나라의 시인.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, 당(唐) 나라 이후로 육조(六朝)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.
365~42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도정절집(陶靖節集) - 도연명집(陶淵明集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동진(東晉)의 시인인 도잠(陶潛)의 시문집(詩文集). 귀거래사(歸去來辭)ㆍ오류선생전(五柳先生傳)ㆍ음주이십수(飮酒二十首) 등 많은 명작이 실려 있음. 8권
중국 , 문헌>서명
-
도제(道濟)@단도제 - 단도제(檀道濟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무제(武帝)~문제(文帝) 때의 장군. 무제를 도와 송 나라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영수현공(永修縣公)에 봉해짐.
?~43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도제(道濟) - 장열(張說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허국공(許國公) 소정(蘇頲)과 더불어 연허대수필(燕許大手筆)이라 칭해졌으며, 국가의 큰 편찬 사업을 대부분 주관함.
667~73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도종(道宗) - 이도종(李道宗)
중국 당(唐) 나라의 종친. 고조(高祖)의 당질(堂侄)로, 17세부터 태종(太宗) 이세민(李世民)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, 태상경(太常卿) 등을 역임함.
600~65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도주(道州) - 청도(淸道)
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청도 , 지명>행정지명
-
도주(陶朱) - 범려(范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월(越) 나라의 대부. 문종(文種)과 더불어 월왕 구천(句踐)을 도와 오(吳)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도주공(陶朱公) - 범려(范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월(越) 나라의 대부. 문종(文種)과 더불어 월왕 구천(句踐)을 도와 오(吳)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도주자(陶朱子) - 범려(范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월(越) 나라의 대부. 문종(文種)과 더불어 월왕 구천(句踐)을 도와 오(吳)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도지(道之) - 최세도(崔世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최응현(崔應賢)의 다섯째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