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도학(道學) - 성리학(性理學)
중국 송(宋) 나라 때 유학(儒學)의 한 계통으로, 인간 본연의 성(性)을 발현하기 위해 물(物)에 대한 이(理)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. 남송(南宋)의 주희(朱熹)가 집대성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이론>학설
-
도학록(道學錄) - 도학명신언행록(道學名臣言行錄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인 이유무(李幼武)가 주자(朱子)의 《송명신언행록(宋名臣言行錄)》을 승계하여 편찬한 책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도학명신록(道學名臣錄) - 도학명신언행록(道學名臣言行錄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인 이유무(李幼武)가 주자(朱子)의 《송명신언행록(宋名臣言行錄)》을 승계하여 편찬한 책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도향(道鄕) - 추호(鄒浩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영창부 교수(穎昌府敎授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우정언(右正言)으로 있을 때 장돈(章惇)의 불충을 폭로하고 유후(劉后)를 세울 것을 간하였다가 지방관으로 좌천됨.
1060~111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도향거사(道鄕居士) - 추호(鄒浩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영창부 교수(穎昌府敎授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우정언(右正言)으로 있을 때 장돈(章惇)의 불충을 폭로하고 유후(劉后)를 세울 것을 간하였다가 지방관으로 좌천됨.
1060~111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도향추씨(道鄕鄒氏) - 추호(鄒浩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영창부 교수(穎昌府敎授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우정언(右正言)으로 있을 때 장돈(章惇)의 불충을 폭로하고 유후(劉后)를 세울 것을 간하였다가 지방관으로 좌천됨.
1060~111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도헌(道憲) - 지증(智證)
신라 문성왕(文聖王)~헌강왕(憲康王) 때의 승려. 문경(聞慶) 희양산(曦陽山)에 절을 창건하자 헌강왕이 봉암사(鳳巖寺)라는 사액을 내려 주었는데, 이곳에 머물다 입적하였음. 최치원(崔致遠)의 사산비명(四山碑銘) 중 하나인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(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)가 남아 있음.
824~882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문경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도헌(都憲) - 대사헌(大司憲)
고려~조선시대 사헌부(司憲府)의 장관. 정사(政事)를 논하고 백관(百官)을 감찰하여 기강을 진작하는 등의 업무를 맡았으며, 집의(執義)ㆍ장령(掌令)ㆍ지평(持平)ㆍ감찰(監察) 등의 관원을 감독하고 통솔함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관직
-
도현(道玄) - 오도현(吳道玄)
중국 당(唐) 나라의 화가. 불화(佛畫)와 산수화(山水畵)에 뛰어나 화성(畫聖)이라 불림. 소화(疎畵)의 체인 서화일치의 화체를 확립하고, 준법(皴法) 등을 사용하여 동양 회화에 영향을 끼침.
700~76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도형(屠荊) - 형가(荊軻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자객(刺客). 위(衛) 나라 사람으로 연(燕) 나라 태자 단(丹)의 식객(食客)이 되었으며, 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진왕(秦王)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죽임을 당함.
?~B.C.22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도혜왕(悼惠王) - 유비(劉肥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맏아들. 제왕(齊王)에 봉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도화(道和) - 김도화(金道和)
조선 고종(高宗)~순종(純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약수(金若洙)의 아들이며, 정재(定齋) 유치명(柳致明)의 문인(門人).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,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킴.
1825~1912 한국>근대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화수(桃華水) - 황하(黃河)
중국 청해성(青海省) 파안(巴顏) 객라산(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감숙성(甘肅省)ㆍ섬서성(陝西省)ㆍ하남성(河南省)ㆍ산동성(山東省) 등을 거쳐 발해만(渤海灣)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.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,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도휘(道徽) - 치감(郗鑒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ㆍ문신. 치음(郗愔)의 아버지이자, 왕희지(王羲之)의 장인. 서진(西晉)이 멸망하자 대장군(大將軍)으로서 재상인 왕도(王導)와 원제(元帝)를 도와 정사를 이끌었으며, 성제(成帝) 때까지 재상을 지냄.
269~33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독(篤) - 김독(金篤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민생의 근본인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, 조선이 개국하자 공주도 유학교수(公州道儒學敎授)에 부임하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씀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이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독고부군(獨孤府君) - 독고욱(獨孤郁)
중국 당(唐)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상주 자사(常州刺史)를 지낸 독고급(獨孤及)의 아들로, 지제고(知制誥)ㆍ비서감(秘書監) 등을 지냄.
775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독고상주(獨孤常州) - 독고급(獨孤及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대종(代宗) 때의 문신. 비서감(秘書監)을 지낸 독고욱(獨孤郁)의 아버지로, 상주 자사(常州刺史)를 지냄.
725~77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독곡(獨谷) - 성석린(成石璘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초서(草書)를 잘 씀.
1338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독락곡(獨樂曲) - 독락팔곡(獨樂八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ㆍ학자인 권호문(權好文)이 지은 경기체가(景幾體歌). 경기체가의 마지막 작품으로 일민(逸民)으로서의 독락(獨樂)과 소외감이 함께 내재되어 있음.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수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문헌>작품명
-
독락수(獨樂叟) - 사마광(司馬光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구법당(舊法黨)의 영수로, 왕안석(王安石) 일파의 신법(新法)을 폐지하고,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을 저술함.
1019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