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도화(道和) - 김도화(金道和)
조선 고종(高宗)~순종(純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약수(金若洙)의 아들이며, 정재(定齋) 유치명(柳致明)의 문인(門人).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,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킴.
1825~1912 한국>근대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도화수(桃華水) - 황하(黃河)
중국 청해성(青海省) 파안(巴顏) 객라산(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감숙성(甘肅省)ㆍ섬서성(陝西省)ㆍ하남성(河南省)ㆍ산동성(山東省) 등을 거쳐 발해만(渤海灣)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.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,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도휘(道徽) - 치감(郗鑒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ㆍ문신. 치음(郗愔)의 아버지이자, 왕희지(王羲之)의 장인. 서진(西晉)이 멸망하자 대장군(大將軍)으로서 재상인 왕도(王導)와 원제(元帝)를 도와 정사를 이끌었으며, 성제(成帝) 때까지 재상을 지냄.
269~33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독(篤) - 김독(金篤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민생의 근본인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, 조선이 개국하자 공주도 유학교수(公州道儒學敎授)에 부임하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씀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이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독고부군(獨孤府君) - 독고욱(獨孤郁)
중국 당(唐)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상주 자사(常州刺史)를 지낸 독고급(獨孤及)의 아들로, 지제고(知制誥)ㆍ비서감(秘書監) 등을 지냄.
775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독고상주(獨孤常州) - 독고급(獨孤及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대종(代宗) 때의 문신. 비서감(秘書監)을 지낸 독고욱(獨孤郁)의 아버지로, 상주 자사(常州刺史)를 지냄.
725~77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독곡(獨谷) - 성석린(成石璘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초서(草書)를 잘 씀.
1338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독락곡(獨樂曲) - 독락팔곡(獨樂八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ㆍ학자인 권호문(權好文)이 지은 경기체가(景幾體歌). 경기체가의 마지막 작품으로 일민(逸民)으로서의 독락(獨樂)과 소외감이 함께 내재되어 있음.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수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문헌>작품명
-
독락수(獨樂叟) - 사마광(司馬光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구법당(舊法黨)의 영수로, 왕안석(王安石) 일파의 신법(新法)을 폐지하고,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을 저술함.
1019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독로올(禿魯兀) - 단천(端川)
함경남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남옥저(南沃沮)에 속하였으며, 고려 때 윤관(尹瓘)이 축성한 9성 중의 하나로 전하는 단천성(端川城)이 있음.
함경도>단천 , 지명>행정지명
-
독만달(禿滿達) - 정독만달(鄭禿滿達)
중국 원(元) 나라 성종(成宗)~문종(文宗) 때의 환관. 고려 후기의 유학인 정인(鄭仁)의 아들로, 충렬왕(忠烈王) 때 원 나라로 가서 휘정사(徽政使)ㆍ연경사(延慶使)를 거쳐 제조장알사사(提調掌謁司事)에 오름.
1290~? 중국>원 , 중국ㅣ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환관
-
독봉(獨峯) - 이장길(李長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이장곤(李長坤)의 형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스승의 가르침을 배반하고 권신을 추종하여 악정(惡政)을 자행했으며, 심정(沈貞)의 심복이 되었다가 그의 몰락과 함께 고향으로 쫓겨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독부(獨夫) - 주(紂)
중국 은(殷) 나라의 마지막 왕. 제을(帝乙)의 아들로, 달기(妲己)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, 비간(比干)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(周) 나라의 무왕(武王)에게 멸망당함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독서출신과(讀書出身科) - 독서삼품과(讀書三品科)
통일신라 원성왕(元聖王) 때 시행된 관리등용법. 국학(國學)에서 배운 경학(經學)을 독서한 사람 가운데 시험을 봐서 그 성적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채용함.
788 한국>통일신라 , 법제>제도
-
독석(獨石) - 황혁(黃赫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아버지 황정욱(黃廷彧)을 대신해 항복 권유문을 썼고, 이이첨(李爾瞻)을 풍자한 시를 지었다가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옥사함.
1551~161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독성인(獨醒人) - 굴원(屈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ㆍ시인.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)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(政敵)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(汨羅水)에 투신하여 죽음.
B.C.343~B.C.27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
-
독송(獨松) - 신잡(申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비변사 당상(備邊司堂上)으로 활약하였으며,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41~160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독송정(獨松亭) - 김개(金鎧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조광조(趙光祖) 등을 현자로 추대할 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한 이유로 삭탈관직됨.
1504~156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독수(獨叟) - 성석린(成石璘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초서(草書)를 잘 씀.
1338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독수(獨秀) - 해봉(海峯)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권근(權近)이 지은 〈독수명(獨秀銘)〉이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