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돈(惇) - 이돈(李惇)
조선 전기의 종친. 의성군(誼城君) 이채(李寀)의 둘째 아들이며 평고부정(平皐副正) 이신(李信)의 아버지로, 잠성정(岑城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돈(惇)@이돈 - 견성군(甄城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여섯 번째 서자. 숙용홍씨(淑容洪氏)의 소생으로, 중종(中宗) 때 이과(李顆)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간성(杆城)에 유배된 뒤 사사(賜死)되었으며, 이듬해 억울함이 인정되어 신원됨.
1482~150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돈(敦) - 이돈(李敦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정양군(定陽君) 이순(李淳)의 아들로, 사옹원 제조(司饔院提調)를 역임함.
?~151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돈(暾) - 윤돈(尹暾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ㆍ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(明) 나라 장수들의 접반관(接伴官)으로 활약함. 광해군 때 산릉도감 제조(山陵都監提調)로서 선조의 능(陵)을 조성함.
1551~161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暾)@조돈 - 조돈(趙暾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대대로 용진(龍津)에 살다가 고려에 귀부하여 충숙왕을 섬기고, 홍건적이 침략하자 안우(安祐)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1등공신에 녹명됨.
1308~1380 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문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돈(燉) - 이돈(李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참봉(參奉) 이원회(李元晦)의 아들이며 이공(李珙)의 문인으로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지냄.
1568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燉)@윤돈 - 윤돈(尹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벼슬을 그만두고 용인(龍仁)의 부곡(釜谷)에 거처하여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였으며,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문인
-
돈곡(敦谷) - 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돈목재(敦睦齋) - 김기서(金麒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에 조광조(趙光祖)와 신진사림(新進士林)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고창 , 인명>문사>학자
-
돈서(惇敍) - 김부륜(金富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이발(李潑)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, 만년에 설월당(雪月堂)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.
1531~15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돈서(敦敍) - 김부륜(金富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이발(李潑)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, 만년에 설월당(雪月堂)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.
1531~15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돈승(旽僧) - 신돈(辛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(僧侶).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(師傅)로서 국정을 맡음.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.
?~137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돈시(敦詩) - 이시백(李時白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이며, 연평부원군(延平府院君) 이귀(李貴)의 아들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되었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81~1660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돈암(遯庵) - 황섬(黃暹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황응규(黃應奎)의 아들이며 정탁(鄭琢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고 평안도 모운사(平安道募運使)가 되어 군량 조달 등의 공을 세움.
1544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돈암(遯菴)@민신 - 민신(閔伸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며, 김종서(金宗瑞)와 함께 단종을 보호하다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안평대군(安平大君) 일파라 하여 수양대군(首陽大君)에 의해 참살됨.
?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돈암(遯菴) - 성세창(成世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허백당(虛白堂) 성현(成俔)의 아들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났으나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.
1481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돈암(鈍菴) - 안축(安軸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원(元) 나라의 제과(制科)에 급제하고 성균학정(成均學正)ㆍ판정치도감사(判整治都監事) 등을 지냄. 충렬왕(忠烈王)ㆍ충선왕(忠宣王)ㆍ충숙왕(忠肅王)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.
1287~134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풍기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돈옹(遯翁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돈우(敦宇) - 이돈우(李敦宇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상두(李相斗)의 아들로, 이상형(李相衡)에게 출계함. 《철종실록(哲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대제학(大提學) 등을 지냈으며, 저서에 《갑고(甲藁)》가 있음.
1801~1884 한국>근대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돈이(敦頤) - 주돈이(周敦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 형제의 스승으로, 도가사상(道家思想)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. 저서에 《태극도설(太極圖說)》ㆍ《통서(通書)》등이 있음.
1017~107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