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독수와(獨樹窩) - 권진(權軫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희정(權希正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냄.
1357~143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독안룡(獨眼龍) - 이달정종(伊達政宗)
일본 도산시대~강호시대 때의 무신. 어릴 때 천연두로 오른쪽 눈을 실명하였으나, 중장(中將)으로 임진왜란에 참가하여 진주성(晉州城) 함락에 앞장섬. 덕천가강(德川家康)과 깊은 유대를 가짐.
1567~1636 일본>강호시대ㅣ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독암(獨庵) - 조종경(趙宗敬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양(豊壤). 조팽(趙彭)의 아들로, 전한(典翰)ㆍ사섬시 정(司贍寺正) 등을 지냄.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과천(果川)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념함.
1495~153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과천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독오당(獨悟堂) - 황협(黃挾)
조선시대의 문인. 본관은 창원(昌原). 경상도 칠원(漆原)에 있는 덕연서원(德淵書院)에 배향되었으며, 저서에 《독오집(獨悟集)》이 있음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창원 , 인명>문사>문인
-
독우(督郵) - 평원독우(平原督郵)
중국 평원(平原)에 격현(鬲縣)이 있는데, 격(鬲)은 격(膈)과 통용되어, 나쁜 술은 가슴[膈] 위까지만 머무른다는 뜻. 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환온(桓溫)에게 술맛을 잘 아는 주부(主簿)가 있었는데, 그가 나쁜 술을 평원독우(平原督郵)라 부른 것에서 유래한 말로, 나쁜 술을 의미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독재(獨齋) - 신거관(愼居寬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윤원형(尹元衡)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(平海)로 유배되었으나, 1555년(명종 10)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에 이름.
1498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墩)@고려 - 유돈(柳墩)@고려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와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역임함.
?~1309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墩)@조선 - 유돈(柳墩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ㆍ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墪) - 이돈(李墪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엄집(嚴緝)과 함께 《송도지(松都誌)》를 증수하고 발문을 씀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惇) - 이돈(李惇)
조선 전기의 종친. 의성군(誼城君) 이채(李寀)의 둘째 아들이며 평고부정(平皐副正) 이신(李信)의 아버지로, 잠성정(岑城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돈(惇)@이돈 - 견성군(甄城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여섯 번째 서자. 숙용홍씨(淑容洪氏)의 소생으로, 중종(中宗) 때 이과(李顆)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간성(杆城)에 유배된 뒤 사사(賜死)되었으며, 이듬해 억울함이 인정되어 신원됨.
1482~150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돈(敦) - 이돈(李敦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정양군(定陽君) 이순(李淳)의 아들로, 사옹원 제조(司饔院提調)를 역임함.
?~151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돈(暾) - 윤돈(尹暾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ㆍ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(明) 나라 장수들의 접반관(接伴官)으로 활약함. 광해군 때 산릉도감 제조(山陵都監提調)로서 선조의 능(陵)을 조성함.
1551~161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暾)@조돈 - 조돈(趙暾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대대로 용진(龍津)에 살다가 고려에 귀부하여 충숙왕을 섬기고, 홍건적이 침략하자 안우(安祐)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1등공신에 녹명됨.
1308~1380 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문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돈(燉) - 이돈(李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참봉(參奉) 이원회(李元晦)의 아들이며 이공(李珙)의 문인으로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지냄.
1568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관인>문신
-
돈(燉)@윤돈 - 윤돈(尹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벼슬을 그만두고 용인(龍仁)의 부곡(釜谷)에 거처하여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였으며,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문인
-
돈곡(敦谷) - 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돈목재(敦睦齋) - 김기서(金麒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에 조광조(趙光祖)와 신진사림(新進士林)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고창 , 인명>문사>학자
-
돈서(惇敍) - 김부륜(金富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이발(李潑)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, 만년에 설월당(雪月堂)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.
1531~15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돈서(敦敍) - 김부륜(金富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이발(李潑)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, 만년에 설월당(雪月堂)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.
1531~15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