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돈이무숙(敦頤茂叔) - 주돈이(周敦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 형제의 스승으로, 도가사상(道家思想)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. 저서에 《태극도설(太極圖說)》ㆍ《통서(通書)》등이 있음.
1017~107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돈인(敦仁)@박돈인 - 박돈인(朴敦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박한주(朴漢柱)의 아버지로, 문의 훈도(文義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돈인(敦仁) - 제갈근(諸葛瑾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무신. 제갈각(諸葛恪)의 아버지이자 제갈량(諸葛亮)의 형. 손권(孫權)에게 신임을 얻고, 촉(蜀) 나라에 사신으로도 많이 활동했으며 예주목(豫州牧) 등을 지냄.
174~241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돈재(遯齋) - 성세창(成世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허백당(虛白堂) 성현(成俔)의 아들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났으나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.
1481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돈적(旽賊) - 신돈(辛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(僧侶).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(師傅)로서 국정을 맡음.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.
?~137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돈지(惇之) - 박돈지(朴惇之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일본(日本)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(沿海)에 침입하는 왜구(倭寇)에 대한 일을 해결함.
1341~142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돈호(遯湖) - 박린(朴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전리(田里)로 돌아가 은거함.
1490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돈후(敦厚) - 안돈후(安敦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검참판(檢參判) 안경(安璟)의 아들이고 좌의정(左議政) 안당(安瑭)의 아버지이며, 안관후(安寬厚)의 동생.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돈후재(敦厚齋) - 조원기(趙元紀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정랑(正郞) 조충손(趙衷孫)의 아들이며 조광조(趙光祖)의 숙부로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를 지냄.
1457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돌(突) - 여공(厲公)@춘추전국(정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정(鄭) 나라의 5대ㆍ9대 제후. 형 소공(昭公)과 더불어 서로 쫓고 쫓기며 임금 자리를 다툼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돌지(突之) - 이쟁(李崝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손자이며, 영순군(永順君) 이부(李溥)의 맏아들.
1458~151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동(仝) - 이동(李仝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이며 영천군(永川君) 이정(李定)의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동^가(董^賈) - 가^동(賈^董)
중국 전한(前漢) 문제(文帝) 때의 문신ㆍ학자인 가의(賈誼)와, 경제(景帝)ㆍ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유학자(儒學者)인 동중서(董仲舒)를 함께 부르는 말. 전한의 뛰어난 유학자를 가리킴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동가(東嘉) - 사백선(史伯璿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사서(四書)에 뛰어났고 주희(朱熹)의 뜻을 이어받아 《사서관규(四書管窺)》 및 《외편행세(外篇行世)》를 저술함.
1299~1354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동가군(東嘉君) - 이광보(李光輔)
고려 후기의 문신. 판사(判事)를 역임하였으며, 이색(李穡)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동가사씨(東嘉史氏) - 사백선(史伯璿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사서(四書)에 뛰어났고 주희(朱熹)의 뜻을 이어받아 《사서관규(四書管窺)》 및 《외편행세(外篇行世)》를 저술함.
1299~1354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동가정(東家鄭) - 정현(鄭玄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장공조(張恭祖)ㆍ마융(馬融) 등을 사사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연구와 교육에 진력함. 경학(經學)을 집대성하고 고대의 역사문헌을 정리하는 데 크게 공헌함.
127~200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동각(東閣) - 이정형(李廷馨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탕(李宕)의 아들이며, 정윤희(丁胤禧)의 문인. 성리학(性理學) 등 다방면에 밝고, 이원익(李元翼)ㆍ이호민(李好民)ㆍ이수광(李睟光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이조 참판 등을 지냄.
1549~160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각고인(東閣高人) - 하손(何遜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시인. 시문(詩文)에 뛰어나 범운(范雲)과 망년(忘年)의 교유를 맺고, 건안왕(建安王)ㆍ여릉왕(廬陵王) 등 왕족들의 총애를 받음. 유효작(劉孝綽)과 더불어 ‘하유(何劉)’로 병칭됨.
?~51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동각시로(東閣詩老) - 하손(何遜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시인. 시문(詩文)에 뛰어나 범운(范雲)과 망년(忘年)의 교유를 맺고, 건안왕(建安王)ㆍ여릉왕(廬陵王) 등 왕족들의 총애를 받음. 유효작(劉孝綽)과 더불어 ‘하유(何劉)’로 병칭됨.
?~51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