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효인(金孝印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1231년(고종 18) 몽고 침입 때 전중 시어사(殿中侍御史)로서 몽고측의 첩문(牒文)을 인수하는 일을 맡았으며, 관직이 병부 상서(兵部尙書)에 이름.
?~125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후(金珝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나주 목사(羅州牧使)를 지낸 김윤제(金允悌)의 아버지. 양곡(陽谷) 소세양(蘇世讓)과 교유하였으며, 장례원 사평(掌隷院司評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후(金厚)
고려 후기의 문신. 내부령(內府令)을 지낸 김승용(金承用)의 아들로, 검교첨의평리(檢校僉議評理)를 지냈고, 상락군(上洛君)에 습봉(襲封)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훈(金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川). 임진왜란 때 순절한 김여물(金汝岉)의 아버지. 성현도 찰방(省峴道察訪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훈(金薰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김영유(金永濡)의 아들이자 김세필(金世弼)의 아버지. 상의원 첨정(尙衣院僉正) 등을 지냄.
1437~150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훈(金訓)
조선 전기의 문인. 박흥생(朴興生)ㆍ박연(朴堧)ㆍ서호(徐皥) 등과 교유하였으며, 박흥생의 《국당유고(菊堂遺稿)》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문사>문인
-
김훤(金晅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삼별초(三別抄)의 잔적(殘賊)을 격퇴하고,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역임하였음.
1234~130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휘손(金徽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중종(中宗) 때의 문신 김양진(金楊震)의 아버지. 진산 군수(珍山郡守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휴백(金休伯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성암(省庵) 김효원(金孝元)의 사촌 동생으로, 《성암집(省庵集)》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흔(金忻)
고려 원종(元宗)~충선왕(忠宣王) 때의 무신. 아버지 김방경(金方慶)을 따라 삼별초(三別抄)를 토벌하고 대장군이 되었으며, 이후 합단(合丹)을 격파하는 등의 공을 세움.
1251~130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흔(金訢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사림(士林)의 촉망을 받았으며, 율시(律詩)에 능함.
1448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흘(金屹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노직(老職)으로 통정(通政)의 관계(官階)를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흠(金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전력부위(展力副尉) 김승석(金承碩)의 아들. 청주 목사(淸州牧使)를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녹훈됨.
1537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흠조(金欽祖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사림파(士林派) 성향의 인물로 김종직(金宗直) 등의 신원을 주청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이후 여러 차례 대간의 탄핵을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흥경(金興慶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김두성(金斗星)의 아들. 숙종 때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(景宗) 때 신임사화(申壬士禍)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, 영조 등극 후 영의정(領議政)에 이름.
1677~175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흥광(金興光)
신라의 왕자. 헌강왕(憲康王) 또는 신무왕(神武王)의 아들이라고 함. 신라의 비운을 예견하여 무주(武州)에 은거하였으며, 광산김씨(光山金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왕실>왕자
-
김흥근(金興根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 김명순(金明淳)의 아들. 《헌종실록(憲宗實錄)》ㆍ《철종실록(哲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
1796~187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흥우(金興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청풍(淸風). 김육(金堉)의 아버지이며,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1585년(선조 18)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여 강릉 참봉(江陵參奉)을 지냄. 문사(文辭)에 능하며 글씨를 잘 썼음.
1564~159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김흥조(金興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하였으며, 선전관(宣傳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희(金禧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. 김안로(金安老)의 아들로 효혜공주(孝惠公主)와 혼인함. 작서(灼鼠)의 변(變)을 일으킴.
?~153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왕실>인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