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동공(董公) - 동진(董晉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상서좌승(尙書左丞)ㆍ태상경(太常卿) 등을 역임하였고, 태부(太傅)에 추증됨. 한유(韓愈)가 시호(諡號)를 청하기 위해 행장(行狀)을 지음.
724~79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동곽산인(東郭散人) - 김수흥(金壽興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냈으나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장기(長鬐)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. 저서에 《퇴우당집(退憂堂集)》 5책이 있음.
1626~169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장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곽선생(東郭先生) - 안황부(安黃夫)
조선 전기의 문신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약포(藥圃) 이해수(李海壽)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동곽아(東郭牙) - 포숙아(鮑叔牙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대부. 관중(管仲)의 절친한 친구로, 제 나라 환공(桓公)에게 관중을 천거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동관(冬冠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동관(同官) - 동천(銅川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황토고원(黃土高原)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낙양(洛陽)에서 장안(長安)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동관(東關) - 강원도(江原道)
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(道) 이름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강원도 , 지명>행정지명
-
동관(東館) - 동평관(東平館)
조선시대에 일본 사신(使臣)이 조선에 왔을 때 그들을 접대하고 머물게 했던 객관(客館). 현재의 서울 인사동(仁寺洞) 자리에 위치했음.
서울 , 유적>건물>관사
-
동관현(銅官縣) - 동천(銅川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황토고원(黃土高原)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낙양(洛陽)에서 장안(長安)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동교처사(東郊處士) - 남맹하(南孟夏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례(通禮)를 지낸 남경춘(南慶春)의 아들로, 송인(宋寅)ㆍ박민헌(朴民獻)ㆍ김사원(金士元)과 친교(親交)함.
1523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동국기(東國記) - 응제시주(應製詩註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인 권람(權攬)의 저서. 1권 1책. 목판본. 할아버지 권근(權近)이 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의 명으로 지은 〈응제시(應製詩)〉와 명 태조가 권근에게 하사한 〈어제시(御製詩)〉에 주석을 붙임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동국여지지(東國輿地誌) - 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
조선 성종(成宗) 때 《팔도지리지(八道地理志)》에 우리나라 문사(文士)들의 시문(詩文)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(官撰地理書). 50권.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.
14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동국유선록(東國儒先錄) - 국조유선록(國朝儒先錄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(柳希春)이 선조(宣祖)의 명으로 김굉필(金宏弼)ㆍ정여창(鄭汝昌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언적(李彦迪)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. 5권 4책. 필사본(筆寫本).
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동국이상국문집(東國李相國文集) - 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(李奎報)의 시문집. 목판본. 1241년(고종 28) 아들 이함(李涵)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(初刊)함.
1241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동국이상국전집(東國李相國集全集) - 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(李奎報)의 시문집. 목판본. 1241년(고종 28) 아들 이함(李涵)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(初刊)함.
1241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동국창려(東國昌黎) - 김일손(金馹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스승인 김종직(金宗直)이 쓴 조의제문(弔義帝文)을 실록(實錄)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(勳舊派)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1464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국통지(東國通志) - 유감동국통지(類鑑東國通志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인 박주종(朴周鍾)의 저서. 필사본. 24권 17책. 기전체(紀傳體)의 형식으로 단군이래 순조(純祖) 때까지의 역사를 기록함.
186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동규(洞規) - 온계동규(溫溪洞規)
조선 명종(明宗)~헌종(憲宗) 때까지 유지된 경상도 안동(安東) 온계동(溫溪洞)의 동규(洞規)의 내용을 기록한 책. 필사본. 1책. 이황(李滉)이 수정하여 유명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동규(洞規)@백록동규 - 백록동규(白鹿洞規)
중국 송(宋) 나라 때 남강군(南康軍)에 있던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의 학규(學規). 주희(朱熹)가 황폐해진 서원을 복구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정함.
중국>송 , 중국 , 법제>의례>기타의례
-
동낭중(董郞中) - 동일원(董一元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대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병되었으나 사천(泗川) 싸움에서 패배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