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동고륜두란첩목아(佟古倫豆蘭帖木兒) - 이지란(李之蘭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여진의 금패천호(金牌千戶) 아라불화(阿羅不花)의 아들로,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.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, 여러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됨.
1331~140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북청ㅣ경기도>양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동고산인(東皐散人) - 조목(趙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횡성(橫城). 조대춘(趙大春)의 아들이고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(大科)를 포기하고 경전(經傳)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24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동고일로(東皐逸老) - 김안국(金安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 사림파(士林派)의 학통을 계승하고,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.
1478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고자(東皐子)@강혼 - 강혼(姜渾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봉해짐.
1464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고자(東皐子) - 박환고(朴還古)
고려 후기의 문인. 이규보(李奎報)와 교유하였으며,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그에게 보낸 차운시(次韻詩)가 여러 편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동고자(東皐子)@왕적 - 왕적(王績)
중국 수(隋)~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문중자(文中子) 왕통(王通)의 동생. 비서성 정자(秘書省正字)ㆍ문하성 대조(門下省待詔) 등을 지낸 후 관직을 그만두고 노장(老莊)에 심취함.
585~644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고정(東皐亭) - 이명(李蓂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이보간(李輔幹)의 아들로, 권신(權臣) 이기(李芑)를 탄핵하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화를 입은 사람들의 신원(伸寃)을 주장함. 좌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496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동고집(東皐集)@이준경 - 동고유고(東皐遺稿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준경(李浚慶)의 시문집(詩文集). 14권 7책. 활자본. 시(詩)ㆍ상소(上疏)ㆍ서간(書簡)이 주종을 이루며, 허목(許穆)의 발문(跋文)이 있음.
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ㅣ충청도>청주 , 문헌>서명
-
동곡(桐谷) - 이조(李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주(星州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내다가 귀향한 후 더 이상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함. 저서로 《동곡실기(桐谷實記)》 등이 있으며, 성주(星州)의 안산서원(安山書院)에 배향됨.
1530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공(董公) - 동진(董晉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상서좌승(尙書左丞)ㆍ태상경(太常卿) 등을 역임하였고, 태부(太傅)에 추증됨. 한유(韓愈)가 시호(諡號)를 청하기 위해 행장(行狀)을 지음.
724~79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동곽산인(東郭散人) - 김수흥(金壽興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냈으나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장기(長鬐)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. 저서에 《퇴우당집(退憂堂集)》 5책이 있음.
1626~169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장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곽선생(東郭先生) - 안황부(安黃夫)
조선 전기의 문신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약포(藥圃) 이해수(李海壽)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동곽아(東郭牙) - 포숙아(鮑叔牙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대부. 관중(管仲)의 절친한 친구로, 제 나라 환공(桓公)에게 관중을 천거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동관(冬冠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동관(同官) - 동천(銅川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황토고원(黃土高原)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낙양(洛陽)에서 장안(長安)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동관(東關) - 강원도(江原道)
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(道) 이름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강원도 , 지명>행정지명
-
동관(東館) - 동평관(東平館)
조선시대에 일본 사신(使臣)이 조선에 왔을 때 그들을 접대하고 머물게 했던 객관(客館). 현재의 서울 인사동(仁寺洞) 자리에 위치했음.
서울 , 유적>건물>관사
-
동관현(銅官縣) - 동천(銅川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황토고원(黃土高原)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낙양(洛陽)에서 장안(長安)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동교처사(東郊處士) - 남맹하(南孟夏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례(通禮)를 지낸 남경춘(南慶春)의 아들로, 송인(宋寅)ㆍ박민헌(朴民獻)ㆍ김사원(金士元)과 친교(親交)함.
1523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동국기(東國記) - 응제시주(應製詩註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인 권람(權攬)의 저서. 1권 1책. 목판본. 할아버지 권근(權近)이 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의 명으로 지은 〈응제시(應製詩)〉와 명 태조가 권근에게 하사한 〈어제시(御製詩)〉에 주석을 붙임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