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동국여지지(東國輿地誌) - 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
조선 성종(成宗) 때 《팔도지리지(八道地理志)》에 우리나라 문사(文士)들의 시문(詩文)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(官撰地理書). 50권.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.
14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동국유선록(東國儒先錄) - 국조유선록(國朝儒先錄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(柳希春)이 선조(宣祖)의 명으로 김굉필(金宏弼)ㆍ정여창(鄭汝昌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언적(李彦迪)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. 5권 4책. 필사본(筆寫本).
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동국이상국문집(東國李相國文集) - 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(李奎報)의 시문집. 목판본. 1241년(고종 28) 아들 이함(李涵)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(初刊)함.
1241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동국이상국전집(東國李相國集全集) - 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(李奎報)의 시문집. 목판본. 1241년(고종 28) 아들 이함(李涵)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(初刊)함.
1241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동국창려(東國昌黎) - 김일손(金馹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스승인 김종직(金宗直)이 쓴 조의제문(弔義帝文)을 실록(實錄)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(勳舊派)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1464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국통지(東國通志) - 유감동국통지(類鑑東國通志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인 박주종(朴周鍾)의 저서. 필사본. 24권 17책. 기전체(紀傳體)의 형식으로 단군이래 순조(純祖) 때까지의 역사를 기록함.
186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동규(洞規) - 온계동규(溫溪洞規)
조선 명종(明宗)~헌종(憲宗) 때까지 유지된 경상도 안동(安東) 온계동(溫溪洞)의 동규(洞規)의 내용을 기록한 책. 필사본. 1책. 이황(李滉)이 수정하여 유명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동규(洞規)@백록동규 - 백록동규(白鹿洞規)
중국 송(宋) 나라 때 남강군(南康軍)에 있던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의 학규(學規). 주희(朱熹)가 황폐해진 서원을 복구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정함.
중국>송 , 중국 , 법제>의례>기타의례
-
동낭중(董郞中) - 동일원(董一元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대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병되었으나 사천(泗川) 싸움에서 패배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동노(東魯) - 노(魯)
중국 주(周) 나라 때에 봉해진 제후국. 주왕(周王)이 주 나라 건국공신(建國功臣)인 주공(周公)의 큰 아들 백금(伯禽)을 제후로 봉하자, 지금의 산동(山東)에 수도를 세우고 국호를 노(魯)라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ㅣ중국>주 , 중국 , 시간>국명
-
동노옹(東魯翁) - 공자(孔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ㆍ학자. 유학(儒學)의 개조(開祖). 노 나라에서 대사구(大司寇)를 지내고,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(列國)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.
B.C.552~B.C.47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
-
동노왕(東魯王) - 공자(孔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ㆍ학자. 유학(儒學)의 개조(開祖). 노 나라에서 대사구(大司寇)를 지내고,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(列國)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.
B.C.552~B.C.47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
-
동당시(東堂試) - 문과(文科)
조선시대에 문관(文官)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. 3년에 한 번씩 실시한 식년시(式年試)는 초시(初試)ㆍ복시(覆試)ㆍ전시(殿試)의 3단계를 거쳐 33명을 급제자로 선발하고, 이 외에 증광시(增廣試)ㆍ별시(別試)ㆍ정시(庭試)ㆍ알성시(謁聖試)ㆍ춘당대시(春塘大試) 등의 비정규시가 있음.
한국>조선시대 , 법제>제도
-
동대(東臺) - 최선문(崔善門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창신교위(彰信校尉) 최자강(崔自江)의 아들로,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냄.
?~145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관인>문신
-
동대문(東大門) - 숭인문(崇仁門)
고려의 수도인 개경(開京)의 동문(東門). 이 문밖에서 군대를 검열하기도 하고, 1174년(명종 4)에는 승려들이 이의방(李義方)을 죽이기 위해 이 문을 불태우려 하기도 함.
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동대문(東大門)@흥인지문 - 흥인지문(興仁之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(四大門) 가운데 동쪽 성문. 서울 종로구(鍾路區)에 소재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동도(東島) - 일본(日本)
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, 열도(列島)로 이루어진 섬나라.
일본 , 시간>국명
-
동도(東都)@경주 - 경주(慶州)
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진한(辰韓)의 중심지이자 신라(新羅) 천년의 고도(古都).
경상도>경주 , 지명>행정지명
-
동도(東都) - 낙읍(洛邑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낙양(洛陽)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(西周)의 수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동도(東都)@낙양 - 낙양(洛陽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의 낙수(洛水)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. 주(周)ㆍ후한(後漢)ㆍ삼국(三國) 등의 고도(古都)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