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동몽(東蒙) - 몽산(蒙山)@산동성
중국 산동성(山東省) 평읍현(平邑縣)에 있는 산.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효자 노래자(老來子)가 난세를 피하여 은거한 곳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동몽재(童蒙齋) - 역락재(亦樂齋)
경상도 안동(安東)에 위치한 도산서원(陶山書院) 안에 있는 건물 이름. 정사성(鄭士誠)의 아버지인 정두(鄭枓)가 아들을 이황(李滉)에게 제자로 맡길 때 지어준 것으로 전함.
156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동무(東茂) - 양동무(楊東茂)
고려 원종(元宗) 때의 무신. 당악군(唐岳君) 양포(楊浦)의 아버지로, 1270년(원종 11) 진도(珍島)에 웅거한 삼별초(三別抄)를 토평할 때 참전하여 포위된 김방경(金方慶)을 구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, 이부 상서(吏部尙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중화 , 인명>관인>무신
-
동문(同聞) - 장동문(章同聞)
중국 명(明) 나라의 은자. 조선 태종(太宗) 때 사신으로 온 통정시 승(通政寺丞) 장근(章謹)의 숙부로, 채석강(采石江) 기슭에 징심암(澄心菴)을 지어 은거함. 장근의 청으로 하륜(河崙)ㆍ권근(權近)ㆍ변계량(卞季良) 등이 시(詩)와 서(序)를 지어 보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동문(東文) - 동인지문(東人之文)
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(崔瀣)가 편찬한 시문집(詩文集). 신라 최치원(崔致遠)으로부터 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까지 명가(名家)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.
1338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동문(東門) - 숭인문(崇仁門)
고려의 수도인 개경(開京)의 동문(東門). 이 문밖에서 군대를 검열하기도 하고, 1174년(명종 4)에는 승려들이 이의방(李義方)을 죽이기 위해 이 문을 불태우려 하기도 함.
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동문씨(東門氏) - 공자수(公子遂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노(魯) 장공(莊公)의 서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동문자(東門子) - 동문오(東門吳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魏) 나라 사람. 자식이 죽었는데 슬퍼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동문정(董文靖) - 동괴(董槐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ㆍ문신. 보광(輔廣)에게 학문을 배웠으며, 관직은 승상(丞相)까지 이르렀음.
?~126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문청(董文淸) - 동괴(董槐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ㆍ문신. 보광(輔廣)에게 학문을 배웠으며, 관직은 승상(丞相)까지 이르렀음.
?~126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미(東美) - 권동미(權東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충재(冲齋) 권벌(權橃)의 아들. 용궁 현감(龍宮縣監)ㆍ초계 군수(草溪郡守) 등을 지냄.
1525~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동미(東美)@노동미 - 노동미(盧東美)
중국 당(唐) 나라 대종(代宗) 때의 문인. 한회(韓會)ㆍ장정(張正)ㆍ최조(崔造) 등과 친하게 지내며, 함께 당세의 일을 논하면서 모두가 스스로 왕을 보필할 만한 재주라 일렀으므로 ‘사기(四夔)’로 불림. 한유(韓愈)로부터 어질다는 평가를 받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동반관계(東班官階) - 문산계(文散階)
고려와 조선시대 관원(官員)들의 위계 제도(位階制度)의 하나. 고려시대에는 문반(文班)과 무반(武班)에게, 조선시대에는 문반에게 지급한 관계(官階)로, 신분(身分)과 직종(職種) 등에 따라 한품(限品)의 규정이 다름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제도
-
동발(東發) - 황진(黃震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영종(寧宗)과 이종(理宗) 때의 국사와 실록을 편수하고, 저서에 《고금기요(古今紀要)》ㆍ《일초(日抄)》등이 있음.
1213~12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동방고정(東方考亭) - 이황(李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주리론적(主理論的)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주장한 영남학파(嶺南學派)의 종장(宗匠).
150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방대보살(東方大菩薩) - 무염(無染)
통일신라 헌덕왕(憲德王)~진성여왕(眞聖女王) 때의 승려.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(麻谷寶徹)에게 남종선(南宗禪)을 인가받고, 847년(문성왕 7) 귀국하여 공주(公州) 성주사(聖住寺)에 머물며 성주산문(聖住山門)을 열고 교화함.
801~888 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동방문사(東方文士) - 차천로(車天輅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연안(延安). 평해 군수(平海郡守)를 지낸 차식(車軾)의 아들이며,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. 한시(漢詩)에 뛰어나 한호(韓濩)의 글씨, 최립(崔岦)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(松都三絶)이라 불림.
1556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동방요순(東方堯舜) - 세종(世宗)@조선
조선 제4대 왕. 재위 1418~1450. 태종(太宗)의 셋째 아들. 집현전(集賢殿)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(訓民正音)을 창제하였으며, 육진(六鎭)을 개척하고 대마도(對馬島)를 정벌함.
1397~145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동방일사(東方一士) - 송병선(宋秉璿)
조선 후기~근대의 문인ㆍ순국지사. 본관은 은진(恩津). 송시열(宋時烈)의 9세손이며, 송병순(宋秉珣)의 형. 을사조약(乙巳條約)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, 국권 피탈에 통분하여 자결함. 저서로 《근사속록(近思續錄)》ㆍ《무계만집(武溪謾輯)》ㆍ《연재집(淵齋集)》 등이 있음.
1836~1905 한국>근대 , 충청도>회덕 , 인명>문사>문인
-
동방일사(東方一士)@이덕무 - 이덕무(李德懋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실학자. 서얼 출신으로, 박제가(朴齊家)ㆍ유득공(柳得恭)ㆍ이서구(李書九) 등과 함께 《건연집(巾衍集)》이라는 사가시집(四家詩集)을 내어 문명을 떨침. 명(明)과 청(淸)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.
1741~17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