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동산(東山)@조방 - 조방(趙汸)
중국 원(元) 말~명(明) 초의 학자. 《춘추(春秋)》에 조예가 깊어 《춘추집전(春秋集傳)》을 저술하고, 역학(易學)과 천문학(天文學)에도 밝아 많은 저서를 남김.
1319~1369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동산(東山)@오격 - 오격(吳激)
중국 송(宋)~금(金) 나라의 문신ㆍ서화가. 건주(建州) 사람으로 문명이 높고 서화(書畵)에 능했음.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〈계림서사(鷄林書事)〉 등의 작품을 남김.
1090~1142 중국>금ㅣ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동산(銅山)@서주 - 서주(徐州)
중국 강소성(江蘇省) 북서부에 있는 도시. 《서경(書經)》 〈우공(禹貢〉에서 열거한 구주(九州)의 하나로, 초(楚) 나라의 항우(項羽)가 도읍했던 곳이며, 군사상ㆍ교통상의 요지(要地)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동산(銅山) - 철산(鐵山)
평안북도 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. 993년 서희(徐熙)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육주(江東六州)의 하나.
평안도>철산 , 지명>행정지명
-
동산선생(東山先生) - 조방(趙汸)
중국 원(元) 말~명(明) 초의 학자. 《춘추(春秋)》에 조예가 깊어 《춘추집전(春秋集傳)》을 저술하고, 역학(易學)과 천문학(天文學)에도 밝아 많은 저서를 남김.
1319~1369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동산수(東山叟) - 최자(崔滋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우복야(右僕射)를 지낸 최민(崔敏)의 아들.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(李奎報)의 후계자로 추천되고,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(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)를 지냄.
1188~1260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동산후은(東山後隱) - 사대년(謝大年)
중국 명(明) 나라의 효자. 고려 말의 문신인 도은(陶隱) 이숭인(李崇仁)이 사대년이 양친(養親)을 생각하며 지은 '망운시(望雲詩)'를 소재로 하여 시를 짓기도 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동상(董相) - 동중서(董仲舒)
중국 전한(前漢)의 유학자ㆍ문신. 유교를 한(漢)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(武帝)를 설득하고, 《춘추번로(春秋繁露)》등의 저서를 남김.
B.C.176?~B.C.104?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서(董舒) - 동중서(董仲舒)
중국 전한(前漢)의 유학자ㆍ문신. 유교를 한(漢)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(武帝)를 설득하고, 《춘추번로(春秋繁露)》등의 저서를 남김.
B.C.176?~B.C.104?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동선(東善) - 박동선(朴東善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사재감 정(司宰監正) 박응천(朴應川)의 아들.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는 왕손을 호종하여 좌참찬(左參贊)에 오름.
1562~164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동선(東選) - 동문선(東文選)
조선 성종(成宗) 때 서거정(徐居正)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시문(詩文)을 모아 엮은 시문집. 이후 숙종(肅宗) 때 당시까지의 시문을 추가하여 개편(改編)한 것까지 통틀어 이르기도 함.
14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동성(東城)@광희문 - 광희문(光熙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건립한 사소문(四小門)의 하나. 흥인지문(興人之門)과 숭례문(崇禮門) 사이에 있던 동남간문(東南間門)으로, 소의문(昭義門)과 함께 시신(屍身)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동성(東城) - 사천(泗川)
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한려수도(閑麗水道)의 중심 기항지이며, 서부경남(西部慶南)의 관문(關門)임.
경상도>사천 , 지명>행정지명
-
동성군(東城君)@목호룡 - 목호룡(睦虎龍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지관(地官). 본관은 사천(泗川)으로, 남인(南人)의 서얼(庶孽). 1722년(경종 2) 김일경(金一鏡)의 사주로 신임사화(辛壬士禍)를 일으키고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에 올랐으나,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김일경과 함께 처형됨.
1684~17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술인>지관ㅣ인명>관인>문신
-
동성군(東城君) - 신경인(申景禋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신립(申砬)의 아들. 인조반정(仁祖反正) 뒤 정사공신(靖社功臣)으로 동성군(東城君)에 봉해짐. 호위대장(扈衛大將) 겸 포도대장(捕盜大將)을 거쳐 어영대장(御營大將)에 특차되어 중앙의 군사권을 장악함.
1590~164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동성군(東城君)@이순 - 이순(李詢)@이호의아들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세 번째 서자인 의창군(義昌君) 이공(李玒)의 손자이며, 사산군(蛇山君) 이호(李灝)의 아들.
1465~153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나가아주타나(那伽阿周陀那) - 용수(龍樹)
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. 인도 대승불교사상(大乘佛敎思想)의 기초를 확립하고, 공사상(空思想)을 전개하여 중관학파(中觀學派)로 불림. 저서로 《중론(中論)》등이 있음.
150?~250?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문사>학자
-
나금암(羅錦巖) - 나덕준(羅德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 박순(朴淳)ㆍ이이(李珥)와 교유함.
1553~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대지(羅大之) - 나덕준(羅德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 박순(朴淳)ㆍ이이(李珥)와 교유함.
1553~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도(羅島) - 능라도(綾羅島)
평안도 평양(平壤)의 대동강(大同江) 가운데 있는 섬 이름. 예로부터 자연경관이 수려해 기성팔경(箕城八景)의 하나로 꼽힘.
평안도>평양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