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나성지(羅誠之) - 나덕윤(羅德潤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ㆍ감찰(監察) 등을 지냄.
155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습(羅什) - 구마라습(鳩摩羅什)
인도의 승려.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(小乘敎)와 대승교(大乘敎), 율(律)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(龜玆國)에서 포교활동을 함. 《묘법연화경(妙法蓮華經)》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,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(三論宗)의 조사(祖師)로 칭함.
344~413 중국>남북조시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승(羅升) - 나흠순(羅欽順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. 왕수인(王守仁)이 쓴 《주자만년정론(朱子晩年定論)》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.
1465~154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나승(螺僧) - 옥명(玉明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승려. 가야산(伽倻山) 내원암(內院庵)에 있던 승려로 취라(吹螺)를 잘 불었고, 김종직(金宗直)ㆍ김일손(金馹孫)ㆍ유호인(兪好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암(懶庵)@보우 - 보우(普雨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승려. 금강산 마하연암(摩訶衍庵)에서 참선(參禪)하고 경학(經學)을 연구했으며,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(奉恩寺) 주지(主持)가 됨. 선교 양종(禪敎兩宗)을 부활시켰으며, 도첩제(度牒制)에 의한 승과(僧科)를 설치함.
1509~15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암(懶庵)@노인 - 노인(盧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풍천(豊川). 노진(盧禛)의 종제(從弟)이며, 민인백(閔仁伯)의 외조부.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〈제노경이나암(題盧敬而懶庵)〉의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암(懶菴) - 우순필(禹舜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조욱(趙昱)과 교유하였으며, 조욱이 그에 관해 노래한 시가 《용문집(龍門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예장(羅豫章) - 나종언(羅從彦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양시(楊時)에게서 이정(二程)의 학문을 배우고, 이동(李侗)에게 전하여 주희(朱熹)에 이르렀으므로, 양시(楊時)ㆍ이동(李侗)과 함께 '남검삼선생(南劍三先生)'으로 불림.
1072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나옹(懶翁)@혜근 - 혜근(惠勤)
고려 충혜왕 복위(忠惠王復位)~우왕(禑王) 때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고승(高僧)으로, 원(元)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(指空)의 가르침을 받고, 처림(處林)에게서 중국 선교(禪敎)의 영향을 받음. 보우(普愚)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.
1320~137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옹(懶翁)@유운 - 유운(柳澐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정조(正祖) 때 도사(都事) 등을 지낸 유종춘(柳宗春)의 아버지로, 황간 현감(黃澗縣監) 등을 지내고 가의대부(嘉義大夫)에 올랐으며, 풍창군(豊昌君)에 습봉(襲封)됨.
1701~176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옹(懶翁) - 유성춘(柳成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연좌되어 파직됨. 윤구(尹衢)ㆍ최산두(崔山斗) 등과 시주(詩酒)로 교우하며 호남삼걸(湖南三傑)로 불림.
1495~152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옹(瀨翁) - 서지(徐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宗中) 때의 문신. 공조 판서(工曹判書)ㆍ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를 역임하였으며, 김안로(金安老)가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.
1468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와(懶窩) - 기언정(奇彦鼎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행주(幸州).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6대손이며, 덕창군(德昌君) 기정후(奇挺後)의 아들.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. 《양선생왕복서(兩先生往復書)》를 중간(重刊)함.
1716~17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나왕(羅王) - 문무왕(文武王)
신라 제30대 왕. 재위 661~681. 태종 무열왕(太宗武烈王)과 문명왕후(文明王后)의 맏아들. 나당(羅唐) 연합군을 결성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함.
?~681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나운자(懶雲子) - 혜침(惠忱)
조선 전기의 승려. 일찍이 산수(山水)를 주유하던 박은(朴誾)을 만나 벗으로 사귀고, 함께 천마산(天磨山)을 유람함. 박은의 《읍취헌유고(挹翠軒遺稿)》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원(羅原) - 오세훈(吳世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우의정(右議政) 오겸(吳謙)의 아버지로, 부사(府使)를 지냄.
1460~151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원군(羅原君) - 오세훈(吳世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우의정(右議政) 오겸(吳謙)의 아버지로, 부사(府使)를 지냄.
1460~151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유지(羅有之) - 나덕윤(羅德潤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ㆍ감찰(監察) 등을 지냄.
155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융(懶融) - 법융(法融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선승(禪僧)이며 우두선(牛頭禪)의 개조(開祖). 19세에 경사(經史)에 통달하고, 《대반야경(大般若經)》을 읽다가 진공(眞空)의 이치를 깨달음.
594~65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은(懦隱) - 김사(金嗣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수원(水原).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(安貧守道)하며 후학을 양성함.
1447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