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희교(金希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주세붕(周世鵬)의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희년(金禧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자용(金自鎔)의 아들이고,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.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(通禮)를 지냄.
1534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련(金希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암(靈岩). 1543년(중종 3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평사(評事) 등을 지냄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삼(金希參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우옹(金宇顒)의 아버지.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ㆍ김인후(金麟厚) 등과 교유함.
1497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서(金熙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의정부 우참찬(議政府右參贊)을 지낸 김명윤(金明胤)의 맏아들로, 1543년(중종 3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희석(金希奭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진(康津). 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 김약묵(金若默)의 아버지. 참봉(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수(金喜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성중(李誠中)에게 수학하고, 대전별감(大殿別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수(金希壽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목사(牧使) 김숙연(金叔演)의 아들로, 권벌(權橃) 등과 함께 김종직(金宗直)의 신원(伸冤)을 청함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, 해서(楷書)에 뛰어남.
1475~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열(金希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김약평(金若枰)의 아들로, 병조ㆍ예조ㆍ호조의 참판(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우(金希禹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광수(金光壽)의 아들로, 서경덕(徐敬德)ㆍ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1549년(명종 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희일(金希逸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산(商山). 김식(金湜)의 아들로, 찬성사(贊成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조(金希祖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였으며, 경성(京城)을 지킨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희중(金希中)
조선 전기의 무신. 설월당(雪月堂) 김부륜(金富倫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나^이(羅^李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이동(李侗)과 그의 스승 나종언(羅從彦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나^조(羅^趙)
중국 후한(後漢)의 서예가인 나휘(羅暉)와 조습(趙襲)을 함께 부르는 말. 서법(書法)의 명가(名家)로 명성을 떨친 두 사람을 말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나대경(羅大經)
중국 송(宋) 나라 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문학비평서(文學批評書)인 《학림옥로(鶴林玉露)》를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나덕용(羅德用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금성(錦城).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 나무춘(羅茂春)의 아버지로 장악원 정(掌樂院正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나덕원(羅德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(義兵)을 모집하여 명(明) 나라 제독(提督) 마귀(麻貴)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. 벼슬은 함안 현감(咸安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덕윤(羅德潤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ㆍ감찰(監察) 등을 지냄.
155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덕준(羅德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 박순(朴淳)ㆍ이이(李珥)와 교유함.
1553~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