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나한(羅漢) - 아라한(阿羅漢)
불교에서 열반(涅槃)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(聖者)를 가리키는 말. 원래는 석가(釋迦)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,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(小乘)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.
사상>술어>핵심어
-
나합출(納哈出) - 납합출(納哈出)
중국 원(元) 말~명(明) 초의 무장(武將)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동북면(東北面) 쌍성(雙城)을 침입했으나, 동북면 병마사(東北面兵馬使) 이성계(李成桂)에게 격퇴당함.
?~1388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나해(那海)@최안도 - 최안도(崔安道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검교첨의평리(檢校僉議評理) 최현(崔玄)의 아들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들어가 5년간 억류되어 있을 때 성심으로 시종(侍從)하여, 귀국한 후 응양 상호군(鷹揚上護軍)에 오르고 일등공신이 됨.
1293~1340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용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나해(那海) - 김영돈(金永暾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무신. 김방경(金方慶)의 손자로 조적(曺頔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.
1285~134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나해(那海)@이나해 - 이나해(李那海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(一等功臣)이 됨. 원 나라에서 직서사인(直書舍人)을 지내고, 귀국해서는 첨의평리(僉議評理) 등을 지냄.
?~134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나헌(懶軒)@김전 - 김전(金詮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김우신(金友臣)의 아들. 중종 때 《속동문선(續東文選)》을 편찬하고, 남곤(南袞)ㆍ심정(沈貞) 등과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
1458~1523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나헌(懶軒)@윤탕로 - 윤탕로(尹湯老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윤호(尹壕)의 아들이며, 성종의 계비(繼妃)인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오빠. 중종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과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고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냄.
?~150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나헌(懶軒) - 신준(申浚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우참찬(右參贊) 등을 지내면서 언로(言路)의 개방 등 시무십조(時務十條)를 진언하였고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1444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나헌(蘿軒)@김극성 - 김극성(金克成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집현전 학사(集賢殿學士) 김맹권(金孟權)의 아들. 세 번이나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, 김안로(金安老)의 실각 이후 우의정(右議政)에 오름.
1474~15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나헌(蘿軒) - 박현몽(朴玄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풍천 교수(豐川敎授) 등을 지냈으며, 정극인(丁克仁)의 《불우헌집(不憂軒集)》에 그에게 보내는 시(詩)가 실려 있음.
1442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나화상(螺化上) - 옥명(玉明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승려. 가야산(伽倻山) 내원암(內院庵)에 있던 승려로 취라(吹螺)를 잘 불었고, 김종직(金宗直)ㆍ김일손(金馹孫)ㆍ유호인(兪好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화상(螺和尙) - 옥명(玉明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승려. 가야산(伽倻山) 내원암(內院庵)에 있던 승려로 취라(吹螺)를 잘 불었고, 김종직(金宗直)ㆍ김일손(金馹孫)ㆍ유호인(兪好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회지(羅晦之) - 나덕현(羅德顯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유학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감. 효심이 지극하여 인조 때 정려(旌閭)하고 사옹원 참봉(司甕院參奉)을 추증함.
1565~162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낙(洛) - 성락(成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 문하에서 수학함.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,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.
1542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낙(樂) - 김락(金樂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개국공신. 견훤(甄萱)과의 공산전투(公山戰鬪)에서 신숭겸(申崇謙)과 함께 태조를 구하고 전사함. 〈도이장가(悼二將歌)〉의 주인공.
?~927 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^노(駱^盧) - 노^낙(盧^駱)
중국 당(唐) 나라 초기의 문인(文人)인 노조린(盧照鄰)과 낙빈왕(駱賓王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문(詩文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낙^삭(洛^朔) - 삭^낙(朔^洛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원우삼당(元祐三黨)에 속하는 삭당(朔黨)과 낙당(洛黨)을 함께 부르는 말. 낙당은 정이(程頤)를 영수로 삼고 삭당은 유지(劉摯) 등을 영수로 삼아 격렬한 정쟁(政爭)을 벌임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낙^촉^삭(洛^蜀^朔) - 삭^촉^낙(朔^蜀^洛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수구파(守舊派)인 삭당(朔黨)ㆍ촉당(蜀黨)ㆍ낙당(洛黨)을 함께 부르는 말. 낙당은 정이(程頤), 촉당은 소식(蘇軾), 삭당은 유지(劉摯)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(政爭)을 벌임. 원우삼당(元祐三黨)으로 불림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낙강(洛江) - 낙동강(洛東江)
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(南流)하여 남해(南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
경상도>김해ㅣ강원도>삼척 , 지명>자연지명
-
낙강비(洛江妃) - 복비(宓妃)
고대 전설상의 낙수(洛水)의 여신(女神) 이름. 황하(黃河)의 수신(水神)인 하백(河伯)의 아내라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