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나화상(螺和尙) - 옥명(玉明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승려. 가야산(伽倻山) 내원암(內院庵)에 있던 승려로 취라(吹螺)를 잘 불었고, 김종직(金宗直)ㆍ김일손(金馹孫)ㆍ유호인(兪好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회지(羅晦之) - 나덕현(羅德顯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유학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감. 효심이 지극하여 인조 때 정려(旌閭)하고 사옹원 참봉(司甕院參奉)을 추증함.
1565~162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낙(洛) - 성락(成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 문하에서 수학함.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,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.
1542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낙(樂) - 김락(金樂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개국공신. 견훤(甄萱)과의 공산전투(公山戰鬪)에서 신숭겸(申崇謙)과 함께 태조를 구하고 전사함. 〈도이장가(悼二將歌)〉의 주인공.
?~927 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^노(駱^盧) - 노^낙(盧^駱)
중국 당(唐) 나라 초기의 문인(文人)인 노조린(盧照鄰)과 낙빈왕(駱賓王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문(詩文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낙^삭(洛^朔) - 삭^낙(朔^洛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원우삼당(元祐三黨)에 속하는 삭당(朔黨)과 낙당(洛黨)을 함께 부르는 말. 낙당은 정이(程頤)를 영수로 삼고 삭당은 유지(劉摯) 등을 영수로 삼아 격렬한 정쟁(政爭)을 벌임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낙^촉^삭(洛^蜀^朔) - 삭^촉^낙(朔^蜀^洛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수구파(守舊派)인 삭당(朔黨)ㆍ촉당(蜀黨)ㆍ낙당(洛黨)을 함께 부르는 말. 낙당은 정이(程頤), 촉당은 소식(蘇軾), 삭당은 유지(劉摯)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(政爭)을 벌임. 원우삼당(元祐三黨)으로 불림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낙강(洛江) - 낙동강(洛東江)
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(南流)하여 남해(南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
경상도>김해ㅣ강원도>삼척 , 지명>자연지명
-
낙강비(洛江妃) - 복비(宓妃)
고대 전설상의 낙수(洛水)의 여신(女神) 이름. 황하(黃河)의 수신(水神)인 하백(河伯)의 아내라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낙강어은(洛江漁隱) - 남신신(南藎臣)
조선 종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양(英陽).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남치형(南致亨)ㆍ남치리(南致利)의 아버지.
1505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낙경(洛京) - 낙양(洛陽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의 낙수(洛水)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. 주(周)ㆍ후한(後漢)ㆍ삼국(三國) 등의 고도(古都)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낙계(樂溪) - 우무(尤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ㆍ문신. 태상소경(太常少卿)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, 범성대(范成大)ㆍ육유(陸游)ㆍ양만리(楊萬里) 등과 남송사가(南宋四家)라 칭송됨.
1127~120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낙곡(駱谷) - 김덕룡(金德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관직은 봉상시 주부(奉常寺主簿) 등을 거쳐 대사헌(大司憲)에 이르렀음
151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낙국(樂國) - 양양(襄陽)@중국
중국 호북성(湖北省) 한수(漢水) 연안에 위치한 고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낙국공(洛國公) - 정이(程頤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형 정호(程顥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(理氣)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.
1033~110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낙도(樂道) - 안빈세(安貧世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연창위(延昌尉) 안맹담(安孟聃)의 아들이며, 세종(世宗)의 외손.
1445~147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낙동천(洛東川) - 낙동강(洛東江)
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(南流)하여 남해(南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
경상도>김해ㅣ강원도>삼척 , 지명>자연지명
-
낙랑(樂浪) - 송분(宋玢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행신(倖臣). 임유무(林惟茂)를 제거하고 충렬왕(忠烈王)이 세자 시절 원(元) 나라에 인질이 되었을 때 공을 세웠으나, 충선왕(忠宣王)과 충숙왕(忠肅王) 부자 사이를 이간시키는 등 모략을 일삼다가 유배됨.
?~131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낙랑공(樂浪公)@신종 - 신종(神宗)@고려
고려의 제20대 국왕. 재위 1197~1204. 인종(仁宗)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(明宗)의 동모제(同母弟)로, 최충헌(崔忠獻)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,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.
1144~120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낙랑공(樂浪公) - 송분(宋玢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행신(倖臣). 임유무(林惟茂)를 제거하고 충렬왕(忠烈王)이 세자 시절 원(元) 나라에 인질이 되었을 때 공을 세웠으나, 충선왕(忠宣王)과 충숙왕(忠肅王) 부자 사이를 이간시키는 등 모략을 일삼다가 유배됨.
?~131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