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낙봉(樂峰) - 강섬(姜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공망(姜公望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에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6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낙봉(駱峯)@낙산 - 낙산(駱山)
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 이름. 주산(主山)의 좌청룡에 해당하며, 산 모습이 낙타처럼 생겼다 하여 낙타산(駱駝山) 또는 타락산(駝駱山)이라고도 부름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낙봉(駱峯) - 신광한(申光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이 되고, 우찬성(右贊成)으로 양관(兩館) 대제학을 겸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을 지냄.
148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봉(駱峯) - 유헌(柳軒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유세린(柳世麟)의 아버지.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 연산군 때 만언소(萬言疏)를 올리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제주도(濟州道)로 귀양감.
1462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낙빈(洛嬪) - 복비(宓妃)
고대 전설상의 낙수(洛水)의 여신(女神) 이름. 황하(黃河)의 수신(水神)인 하백(河伯)의 아내라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낙빈(洛濱) - 이충작(李忠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효자.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후손이며, 당은군(唐恩君) 이휘(李徽)의 아들. 이기(李芑) 등의 보익공신(保翼功臣) 칭호를 삭탈할 것을 주장하였으며, 모친상을 슬퍼하다가 실명(失明)함.
1521~157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직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낙빈(洛濱) - 이언(李堰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으로, 대사헌(大司憲) 이은(李垠)의 아들.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ㆍ전주 부윤(全州府尹) 등을 지냄.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으로 책록되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사(洛寺) - 낙산사(洛山寺)
신라 문무왕(文武王) 때 의상(義湘)이 강원도 양양(襄陽) 낙산(洛山)에 창건한 사찰. 3대 관음기도도량(觀音祈禱道場) 중의 하나이자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.
671 한국>신라 , 강원도>양양 , 유적>건물>사찰
-
낙사(洛師) - 낙양(洛陽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의 낙수(洛水)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. 주(周)ㆍ후한(後漢)ㆍ삼국(三國) 등의 고도(古都)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낙산(樂山) - 남응룡(南應龍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1535년(중종 30)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(湖堂)에 뽑혔고, 벼슬은 직제학(直提學)과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역임함.
151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산(樂山)@이완 - 이완(李完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이하(李河)의 아들이며, 숙부인 이황(李滉)의 문인. 영천 교관(永川敎官)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(倡義)하고, 조목(趙穆)과 함께 이산서당(伊山書堂)에서 〈성학십도(聖學十圖)〉를 강론함.
1512~15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ㅣ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생역(洛生驛) - 낙생역(樂生驛)
경기도 광주(廣州) 남쪽 45리 지점에 있던 역(驛) 이름. 조선 후기 대로(大路) 중의 하나로, 교통상의 요충지였음.
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낙서(洛西)@이항 - 이항(李沆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를 지낸 이세인(李世仁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주도하여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숙청했으며, 영천 군수(榮川郡守)ㆍ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냈음.
1474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서(洛西) - 김자점(金自點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였으나 궁중과의 유착, 매국적 행동 등으로 비난을 받고, 역모사건으로 인해 복주(伏誅)됨.
1588~165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서(洛西) - 장만(張晩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동(仁同). 1591년(선조 2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(八道都元帥)ㆍ평안도 병마절도사(平安道兵馬節度使) 등을 지냄. 1624년(인조 2)에 이괄(李适)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(振武功臣)에 책록됨. 저서로 《낙서집(洛西集)》이 있음.
1566~162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서거사(洛西居士) - 이항(李沆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를 지낸 이세인(李世仁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주도하여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숙청했으며, 영천 군수(榮川郡守)ㆍ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냈음.
1474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서헌(洛西軒) - 이항(李沆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를 지낸 이세인(李世仁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주도하여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숙청했으며, 영천 군수(榮川郡守)ㆍ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냈음.
1474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선(樂善) - 성낙선(成樂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창산군(昌山君) 성수익(成壽益)의 아들이자, 한산 군수(韓山郡守) 권황(權滉)의 사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낙성(洛城) - 개성(開城)
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. 고려의 수도.
경기도>개성 , 지명>행정지명
-
낙성(洛城)@낙양 - 낙양(洛陽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의 낙수(洛水)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. 주(周)ㆍ후한(後漢)ㆍ삼국(三國) 등의 고도(古都)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