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낙생역(洛生驛) - 낙생역(樂生驛)
경기도 광주(廣州) 남쪽 45리 지점에 있던 역(驛) 이름. 조선 후기 대로(大路) 중의 하나로, 교통상의 요충지였음.
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낙서(洛西)@이항 - 이항(李沆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를 지낸 이세인(李世仁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주도하여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숙청했으며, 영천 군수(榮川郡守)ㆍ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냈음.
1474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서(洛西) - 김자점(金自點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였으나 궁중과의 유착, 매국적 행동 등으로 비난을 받고, 역모사건으로 인해 복주(伏誅)됨.
1588~165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서(洛西) - 장만(張晩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동(仁同). 1591년(선조 2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(八道都元帥)ㆍ평안도 병마절도사(平安道兵馬節度使) 등을 지냄. 1624년(인조 2)에 이괄(李适)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(振武功臣)에 책록됨. 저서로 《낙서집(洛西集)》이 있음.
1566~162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서거사(洛西居士) - 이항(李沆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를 지낸 이세인(李世仁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주도하여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숙청했으며, 영천 군수(榮川郡守)ㆍ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냈음.
1474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서헌(洛西軒) - 이항(李沆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를 지낸 이세인(李世仁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주도하여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숙청했으며, 영천 군수(榮川郡守)ㆍ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냈음.
1474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선(樂善) - 성낙선(成樂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창산군(昌山君) 성수익(成壽益)의 아들이자, 한산 군수(韓山郡守) 권황(權滉)의 사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낙성(洛城) - 개성(開城)
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. 고려의 수도.
경기도>개성 , 지명>행정지명
-
낙성(洛城)@낙양 - 낙양(洛陽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의 낙수(洛水)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. 주(周)ㆍ후한(後漢)ㆍ삼국(三國) 등의 고도(古都)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낙성군(洛城君) - 김선치(金先致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홍건적(紅巾賊)을 평정시켜 일등공신(一等功臣)이 되어 그 형상이 벽상(壁上)에 그려짐.
1318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낙수(洛水)@낙동강 - 낙동강(洛東江)
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(南流)하여 남해(南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
경상도>김해ㅣ강원도>삼척 , 지명>자연지명
-
낙수(洛水)@한강 - 한강(漢江)
태백산맥(太白山脈)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.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,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,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낙수(洛水)@정이 - 정이(程頤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형 정호(程顥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(理氣)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.
1033~110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수(駱峀) - 낙산(駱山)
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 이름. 주산(主山)의 좌청룡에 해당하며, 산 모습이 낙타처럼 생겼다 하여 낙타산(駱駝山) 또는 타락산(駝駱山)이라고도 부름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낙수(樂水) - 문유지(文有智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옥동(玉洞) 문익성(文益成)의 조부로, 부사과(副司果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무신
-
낙수대(落水臺) - 명옥대(鳴玉臺)
경상도 안동(安東)에 있는 정자 이름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이 후학들에게 강도(講道)하던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현종(顯宗) 때 세움.
166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누정
-
낙수역(樂水驛) - 낙수역(洛水驛)
전라도 순천(順天)의 서쪽 73리 지점에 있던 역(驛) 이름.
전라도>순천 , 지명>행정지명
-
낙수후(洛水侯) - 문갑(文甲)
중국 고대 요(堯)임금 시대의 전설상의 인물. 낙수(洛水) 가에서 은둔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낙안(樂安) - 김부인(金富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ㆍ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낙안 군수(樂安郡守)ㆍ정주 목사(定州牧使)ㆍ경상도 병마절도사(慶尙道兵馬節度使) 등을 지냄. 관직에서 물러난 뒤 경학(經學)에 힘쓰면서 근본원리를 종합적으로 통찰함을 학문연구의 토대로 삼음.
1512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낙안경(樂安卿) - 이녕(李寧)@조선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넷째 아들이며, 군자감 주부(軍資監主簿) 김중행(金仲行)의 사위.
1418~14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