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낙전(樂全) - 민적(閔頔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충렬왕(忠烈王)이 국선(國仙)이라 불렀으며, 대사헌(大司憲)으로 정조사(正朝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(驪興君)에 봉해졌음.
1269~133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전거사(樂全居士) - 신익성(申翊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(貞淑翁主)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의 척화오신(斥和五臣) 중 한 사람.
1588~1644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낙전거사(樂全居士) - 장방평(張方平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벼슬을 그만두고 남경(南京)에 있을 때에 소식(蘇軾)이 옥에 갇혔다는 소식을 듣고 구원(救援)하기 위해 상서(上書)하였음. 저서에는 《낙전집(樂全集)》ㆍ《옥당집(玉堂集)》 등이 있음.
1007~109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전공자(樂全公子) - 신익성(申翊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(貞淑翁主)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의 척화오신(斥和五臣) 중 한 사람.
1588~1644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낙전당(樂全堂) - 신익성(申翊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(貞淑翁主)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의 척화오신(斥和五臣) 중 한 사람.
1588~1644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낙전당(樂全堂)@정두형 - 정두형(鄭斗亨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참봉(參奉) 정충원(鄭忠元)의 아들로,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를 지내고, 죽은 뒤 효행으로 정려(旌閭)가 하사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전도위(樂全都尉) - 신익성(申翊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(貞淑翁主)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의 척화오신(斥和五臣) 중 한 사람.
1588~1644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낙정(犖正) - 탁낙정(卓犖正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국학(國學)의 구인재생(求仁齋生)이었던 탁원진(卓元眞)의 아들로, 성균 이택재생(成均麗澤齋生)이었음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낙정(樂靜) - 조석윤(趙錫胤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배천(白川). 김상헌(金尙憲)ㆍ장유(張維)의 문인(門人)으로, 효종 때 양관 대제학(兩館大提學)이 되어 《인조실록(仁祖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605~165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정선생문집(樂靜先生文集) - 낙정집(樂靜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석윤(趙錫胤)의 문집. 14권 7책. 1670년(현종 11)에 민기중(閔蓍重)이 간행함.
167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낙정재(樂靜齋) - 조석윤(趙錫胤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배천(白川). 김상헌(金尙憲)ㆍ장유(張維)의 문인(門人)으로, 효종 때 양관 대제학(兩館大提學)이 되어 《인조실록(仁祖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605~165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주(洛州) - 설계창(薛季昶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측천무후(則天武后)의 잔당인 무삼사(武三思)를 죽일 것을 상서(上書)하였으며, 호부 시랑(戶部侍郞) 등을 역임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중(洛中) - 경상도(慶尙道)
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(道) 이름. 고려 때 경주(慶州)와 상주(尙州)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경상도 , 지명>행정지명
-
낙지(樂之) - 무산군(茂山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열두 번째 아들. 명빈김씨(明嬪金氏)의 소생으로, 학문은 물론 서예에도 뛰어나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.
1490~152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낙참장(駱參將) - 낙상지(駱尙志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조선의 선봉장(先鋒將)으로 의주를 지켰으며, 용력(勇力)이 뛰어나 천 근(斤)을 들어 낙천근(駱千斤)이라 불렸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낙천(樂天) - 남흔(南忻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의령군(宜寧君) 남륜(南倫)의 아들이며, 의천위(宜川尉) 남섭원(南燮元)의 아버지로, 여러 관직을 거친 후에 우부승지(右副承旨) 등을 지냄.
1451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낙천(洛川)@낙동강 - 낙동강(洛東江)
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(南流)하여 남해(南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
경상도>김해ㅣ강원도>삼척 , 지명>자연지명
-
낙천(洛川) - 배신(裵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주(星州). 빙고 별좌(氷庫別座) 등을 지내고, 조식(曺植)의 문인이었다가 뒤에 이황(李滉)의 문인이 됨. 〈남명선생행록(南冥先生行錄)〉을 지어 올림.
1520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천(洛川)@낙안 - 낙안(樂安)
전라도 순천(順天)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.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(順天市) 낙안면(樂安面)ㆍ외서면(外西面)과 보성군(寶城郡) 벌교읍(筏橋邑) 일대에 해당함.
전라도>낙안 , 지명>행정지명
-
낙천(樂天)@중종 - 중종(中宗)@조선
조선 제11대 국왕. 재위 1506~1544.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(弊政)을 개혁하고,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.
1488~154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