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낙천(樂天) - 백거이(白居易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, 그중 〈장한가(長恨歌)〉와 〈비파행(琵琶行)〉이 유명함.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(佛敎)에 심취함.
772~84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천(樂天)@이거이 - 이거이(李居易)
고려 후기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(定社功臣)ㆍ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, 아들 이저(李佇)와 이백강(李伯剛)이 각각 태조(太祖)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.
1348~141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낙천(樂天)@신변 - 신변(申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병조 좌랑(兵曹佐郞)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직되고, 동생 신철(申哲)이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.
1470~152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천군(洛川君) - 김개(金闓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김귀영(金貴榮)의 아들. 좌윤(左尹)을 지내고, 허균(許筠)의 심복으로서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비를 주장함. 허균이 역모 혐의로 처형당할 때 심문을 받다 장살(杖殺)됨.
1582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천군(樂川君) - 김수(金隨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낙안(樂安). 전객령(典客令)을 지낸 김남정(金南正)의 아들. 복재(復齋) 정총(鄭摠)의 장인으로, 문예가 뛰어났고, 낙천군(樂川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낙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천근(駱千斤) - 낙상지(駱尙志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조선의 선봉장(先鋒將)으로 의주를 지켰으며, 용력(勇力)이 뛰어나 천 근(斤)을 들어 낙천근(駱千斤)이라 불렸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낙천근장(駱千斤將) - 낙상지(駱尙志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조선의 선봉장(先鋒將)으로 의주를 지켰으며, 용력(勇力)이 뛰어나 천 근(斤)을 들어 낙천근(駱千斤)이라 불렸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낙천당(樂天堂) - 고숭걸(高崇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고성(高城)으로, 정여창(鄭汝昌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종성 , 인명>문사>학자
-
낙천상공(駱川相公) - 윤의중(尹毅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윤구(尹衢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냈으나, 정여립(鄭汝立)의 역모 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(李潑)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됨.
152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천서원(洛川書院) - 낙천사(洛川祠)
조선 영조(英祖) 때 경상도 예안(禮安)에 건립한 사당. 김부필(金富弼)ㆍ김부인(金富仁) 등을 배향함.《일휴면진양선생연고(日休勉進兩先生聯稿)》에 봉안문(奉安文)이 남아 있음.
176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유적>건물>사당
-
낙천와(樂天窩) - 나중우(羅仲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금양군(錦陽君) 나석(羅碩)의 아들. 조선이 건국되자 김제(金提)로 낙향하여 벼슬길에 나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촌(洛村) - 박충원(朴忠元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성절사(聖節使)의 부사(副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대제학(大提學)과 예조(禮曹)ㆍ병조(兵曹)의 판서를 지냄.
1507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촌(駱村)@신광한 - 신광한(申光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이 되고, 우찬성(右贊成)으로 양관(兩館) 대제학을 겸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을 지냄.
148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낙촌(駱村)@윤의중 - 윤의중(尹毅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윤구(尹衢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냈으나, 정여립(鄭汝立)의 역모 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(李潑)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됨.
152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촌(駱村) - 박충원(朴忠元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성절사(聖節使)의 부사(副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대제학(大提學)과 예조(禮曹)ㆍ병조(兵曹)의 판서를 지냄.
1507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낙촌(駱村) - 이경윤(李慶胤)
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. 청성군(靑城君) 이걸(李傑)의 맏아들이며, 이중윤(李仲胤)ㆍ이영윤(李英胤)의 형. 그림을 잘 그리고, 특히 산수인물화(山水人物畵)에 뛰어남.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.
1545~161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종친
-
낙춘(樂春) - 김낙춘(金樂春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순천(順天). 이황(李滉)의 문인. 학행(學行)으로 익위사 세마(翊衛司洗馬)와 예조 좌랑(禮曹佐郞)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25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문경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낙타산(駱駝山) - 낙산(駱山)
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 이름. 주산(主山)의 좌청룡에 해당하며, 산 모습이 낙타처럼 생겼다 하여 낙타산(駱駝山) 또는 타락산(駝駱山)이라고도 부름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낙택(洛宅) - 낙읍(洛邑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낙양(洛陽)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(西周)의 수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낙파(洛坡) - 유후조(柳厚祚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(豊山).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 유심춘(柳尋春)의 아들로, 고종 때 남인(南人)을 우대한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정책으로 우의정(右議政)을 지냄.
1798~187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