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난(瀾) - 이난(李瀾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두 번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여섯째 아들로, 방산수(方山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난(蘭)@탁난 - 탁난(卓蘭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국학 진사(國學進士) 탁윤성(卓允成)의 아들로, 시랑(侍郞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난(蘭)@한난 - 한난(韓蘭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. 청주한씨(淸州韓氏)의 시조로, 기자(箕子)의 후손으로 전해짐. 태조의 즉위와 견훤(甄萱)과의 전투에 공이 있어 삼중대광 개국벽상공신(三重大匡開國壁上功臣)에 녹훈(錄勳)되고, 문하태위(門下太尉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난(蘭) - 목공(穆公)@춘추전국(정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정(鄭) 나라의 제11대 제후. 재위 B.C.627~B.C.606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난(蘭)@이난 - 이난(李蘭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이극영(李克榮)의 아들로, 천안 군수(天安郡守)ㆍ통례원 봉례(通禮院奉禮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난(蘭)@박난 - 박난(朴蘭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원량(朴元亮)의 아들이고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1543년(중종 3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난(鸞) - 권란(權鸞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구봉령(具鳳齡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, 찰방(察訪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난계(蘭溪)@함부림 - 함부림(咸傅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검교 중추원학사(檢校中樞院學士) 함승경(咸承慶)의 아들.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
1360~141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난계(蘭溪)@박연 - 박연(朴堧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음률가(音律家). 세종 때 율관(律管)을 만들어 편경(編磬)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. 왕산악(王山岳)ㆍ우륵(于勒)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(樂聖)으로 일컬어짐.
1378~14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난계(蘭溪) - 김득배(金得培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개경(開京)과 서경(西京)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, 김용(金鏞)의 모략으로 정세운(鄭世雲)을 살해하고 그 죄로 효수당함.
1312~136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난계(蘭稧) - 금란계(金蘭契)
금(金)의 단단함과 난초의 향기처럼 변하지 않는 우정을 간직한 모임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김일손(金馹遜)ㆍ조복명(趙復明)ㆍ박영형(朴英亨) 등이 사림파의 권학(勸學) 결의(決意)인 금란계를 결성함.
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집단>조직
-
난계범씨(蘭溪范氏) - 범준(范浚)
중국 송(宋) 고종(高宗) 때의 유학자. 《맹자(孟子)》의 주(注)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〈심잠(心箴)〉이 실려 있음.
1102~115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난고(亂稿) - 익재난고(益齋亂藁)
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현(李齊賢)의 시문집(詩文集). 10권 4책. 목판본. 이색(李穡)의 서문(序文)이 있음.
1363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난고(亂藁) - 익재난고(益齋亂藁)
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현(李齊賢)의 시문집(詩文集). 10권 4책. 목판본. 이색(李穡)의 서문(序文)이 있음.
1363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난곡(蘭谷) - 김강한(金江漢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제산(霽山) 김성탁(金聖鐸)의 문인으로, 이상정(李象靖)ㆍ최흥원(崔興遠)ㆍ유도원(柳道源)ㆍ유장원(柳長源) 등과 교유함. 저서에 《계집고증(溪集考證)》과 《난곡집(蘭谷集)》이 있음.
1719~177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난곡(蘭谷) - 강서(姜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晋州). 지감(知鑑)이 있어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예고함.
1538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난곡(蘭谷)@정선 - 정선(鄭歚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광산(光山).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(眞景山水畵)를 완성하고, 금강전도(金剛全圖)ㆍ인왕제색도(仁王霽色圖) 등 많은 명작을 남김.
1676~17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난공(欒共) - 난성(欒成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진(晉) 나라 대부. 예에 밝은 사람, 충신으로 시문(詩文)에 많이 인용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난공자(欒共子) - 난성(欒成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진(晉) 나라 대부. 예에 밝은 사람, 충신으로 시문(詩文)에 많이 인용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난군(赧君) - 난왕(赧王)
중국 주(周) 나라의 마지막 왕. 재위 B.C.314~B.C.256. 이름은 희연(姬延)으로, 신정왕(慎靚王)의 아들. 날로 강성해지는 진(秦) 나라를 견제하고자 무리한 정벌을 감행했다가 결국 멸망에 이름.
?~B.C.256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