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나덕현(羅德顯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유학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감. 효심이 지극하여 인조 때 정려(旌閭)하고 사옹원 참봉(司甕院參奉)을 추증함.
1565~162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나덕형(羅德馨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했던 나사돈(羅士惇)의 손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나득황(羅得璜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 나유(羅裕)의 아버지. 무신정권에 아첨하여 관직이 형부 상서(刑部尙書)에 이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륜(羅倫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한림 수찬(翰林修撰)ㆍ남경 공직(南京供職)을 지내고 사퇴한 뒤, 금우산(金牛山)으로 들어가 학문 활동과 저술에 전념함. 의(義)를 중요시했고, 저서로《일봉집(一峯集)》이 있음.
1431~147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나무춘(羅茂春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출소(廢黜疏)를 올린 이위경(李偉卿)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.
1580~161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문규(羅文奎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판밀직부사(判密直副使) 나영걸(羅英傑)의 아들로, 서해도 안렴사(西海道按廉使)를 역임함.
1312~137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보중(羅甫重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나안인(羅安仁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나부(羅富)
고려 전기의 무신. 중국에서 귀화하여 나주나씨(羅州羅氏)의 시조가 됨. 감문위 상장군(監門衛上將軍)을 역임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나부산(羅浮山)
중국 광동성(廣東省) 혜주(惠州)에 있는 산 이름. 중국 10대 명산(名山)의 하나로 도교(道敎)의 명산으로 일컬어짐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나부인(懶婦引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인인 홍간(洪侃)이 지은 시. 허균(許筠)이 《성수시화(惺叟詩話)》에서 “성당(盛唐)의 작품과 같다.”고 평함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작품명
-
나빈(羅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금성(錦城). 장성 현감(長城縣監) 나은제(羅殷制)의 아들이며,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나세집(羅世緝)ㆍ나세찬(羅世纘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사돈(羅士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벼슬이 충순위(忠順衛)에 이르렀으며,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함.
1513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나사선(羅士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진원 현감(晉原縣監)을 지낸 나질(羅晊)의 아들로, 성주 목사((星州牧使)ㆍ사섬시 정(司贍寺正) 등을 지냄.
?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사율(羅士慄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소재(蘇齋)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(門人). 건재(健齋) 김천일(金千鎰)과 학문을 강구(講究)하고 시(詩)로 서로 면려(勉勵)하며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사침(羅士忱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진원 현감(晉原縣監)을 지낸 나질(羅晊)의 아들로, 이성 현감(尼城縣監)을 지냄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무고(誣告)로 인해 문초(問招)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.
1525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사항(羅士恒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, 건재(健齋) 김천일(金千鎰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석(羅碩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낙천와(樂天窩) 나중우(羅仲佑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세걸(羅世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정(安定). 통례원 인의(通禮院引儀)를 지낸 나계종(羅繼宗)의 아들로, 창릉 참봉(昌陵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비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세집(羅世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나빈(羅彬)의 아들이며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나세찬(羅世纘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세찬(羅世纘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(文名)을 떨쳤으며, 권신(權臣)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.
1498~155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