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경(南京) - 북경(北京)
중국의 수도. 하북성(河北省) 중앙부에 있으며, 화북(華北)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.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, 요(遼) 나라, 금(金) 나라, 원(元) 나라, 명(明) 나라, 청(淸) 나라의 도읍지였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남계(南溪)@김정 - 김정(金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예범(金禮範)의 아들이며, 김정(金淨)의 문인(門人). 중부 참봉(中部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, 호은정(壺隱亭)을 지어 놓고 소요함.
1508~15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南溪)@이길 - 이길(李洁)@이중호의아들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담양 부사(潭陽府使) 이중호(李仲虎)의 아들로, 응교(應敎) 등을 지냄. 기축옥사(己丑獄事)에 연루되어 형 이급(李汲)ㆍ이발(李潑)과 함께 장살(杖殺)당함.
1547~158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南溪)@김윤 - 김윤(金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백광훈(白光勳)ㆍ최경창(崔慶昌) 등과 동문수학한 사실이 《옥봉집(玉峯集)》에 실려 있으며,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팔문장(八文章)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문인
-
남계(南溪)@허충길 - 허충길(許忠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허백기(許伯琦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명종(明宗) 때 양재역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의주(義州)로 유배되고, 후에 영천 군수(榮川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南溪) - 박세채(朴世采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성리학자. 김상헌(金尙憲)ㆍ김집(金集)에게 수학하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묘배향을 주장함. 예송논쟁(禮訟論爭) 때 기년설(朞年說)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.
1631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南溪)@조수만 - 조수만(趙壽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안(咸安). 생육신(生六臣) 중 한 사람인 조려(趙旅)의 손자로, 부친인 조금호(趙金虎)보다 먼저 요절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문사>유학
-
남계(南溪)@김맹 - 김맹(金孟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감찰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, 세조(世祖) 때 좌익 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10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南溪)@이보 - 이보(李輔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으로, 주로 외직에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.
1545~1608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南溪)@금축 - 금축(琴軸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동래 현령(東萊縣令)을 지낸 금휘(琴徽)의 손자. 1531년(중종 26)에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, 1540년(중종 35) 권벌(權橃)에 의해 일사(逸士)로 천거되어 제릉 참봉(齊陵參奉)에 임명됨.
1496~156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南谿) - 허충길(許忠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허백기(許伯琦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명종(明宗) 때 양재역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의주(義州)로 유배되고, 후에 영천 군수(榮川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灆溪)@임희무 - 임희무(林希茂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회진(會津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좌승지ㆍ밀양 군수 등을 지냄. 1552년(명종 7) 강익(姜翼)ㆍ정복현(鄭復顯) 등과 함께 함양(咸陽)에 정여창(鄭汝昌)을 배향한 남계서원(灆溪書院)을 세움.
1527~157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灆溪) - 유호인(兪好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합천 군수(陜川郡守) 등을 지냄. 시(詩)ㆍ문(文)ㆍ서(書)에 뛰어나 당대 삼절(三絶)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.
1445~149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계(藍溪) - 표연말(表沿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(行狀)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(慶源)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,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당했다가 뒤에 신원됨.
1449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도사(南溪道士) - 경연(慶延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효행으로 천거되어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부군(藍溪府君) - 표연말(表沿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(行狀)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(慶源)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,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당했다가 뒤에 신원됨.
1449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계서당(南溪書堂) - 남계서원(南溪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도 군위(軍威)에 건립한 서원. 1620년(광해군 12)에 남계서당(南溪書堂)을 중수하여 서원으로 승격하고, 유성룡(柳成龍)ㆍ이호민(李好閔) 등을 배향함.
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군위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계서원(藍溪書院) - 남계서원(灆溪書院)
조선 명종(明宗) 때 경상도 함양(咸陽)에 건립한 서원. 정여창(鄭汝昌)ㆍ정온(鄭蘊)ㆍ강익(姜翼) 등을 배향함.
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계선생문집(南溪先生文集) - 남계집(南溪集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(朴世采)의 문집. 125권 56책. 양적으로 방대하고 당시의 사회ㆍ정치ㆍ사상 등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음. 영조(英祖) 때 조현명(趙顯命)에 의해 간행됨.
17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남계선생문집(藍溪先生文集) - 남계집(藍溪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표연말(表沿沫)의 문집. 1914년 표석준(表奭峻)ㆍ표인해(表仁海)에 의해 간행됨. 4권 2책.
1914 한국>근대 , 경상도>의령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