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고서원(南皐書院) - 덕연서원(德淵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경상도 칠원(漆原)에 건립한 서원. 1641년(인조 19)에 창건되고 1676년(숙종 2)에 사액되었으며, 주세붕(周世鵬)ㆍ배세적(裵世績)ㆍ배석지(裵錫祉)ㆍ황협(黃悏)ㆍ주박(周博) 등을 배향함.
164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칠원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곡(南谷) - 김의(金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십청헌(十淸軒) 김세필(金世弼)의 증손이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사사(賜死)된 지평(持平) 김저(金䃴)의 손자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곡(南谷)@이후 - 이후(李垕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중종(中宗)의 아들인 덕양군(德陽君)의 현손(玄孫). 한충(韓忠)의 문집인 《송재집(松齋集)》에 〈삼송정실기(三松亭記實)〉가 실려 있음.
1611~166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남곡(南谷)@이석지 - 이석지(李釋之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보문각 제학(寶文閣提學) 등을 지내고, 고려 말에 용인(龍仁)으로 낙향하여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곡(嵐谷) - 이정은(李貞恩)
조선 태종(太宗)의 아들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둘째 아들. 음률(音律)과 시(詩)에 뛰어나고 청담파(淸談派)의 일원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남곡선생(南谷先生) - 이석지(李釋之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보문각 제학(寶文閣提學) 등을 지내고, 고려 말에 용인(龍仁)으로 낙향하여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곽(南郭)@박동열 - 박동열(朴東說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항복(李恒福)과 교유했고, 폐모론(廢母論)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. 시문(詩文)에 능하였고 경사(經史)와 백가(百家)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.
1564~162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곽(南郭)@손순효 - 손순효(孫舜孝)
조선 문종(文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. 우찬성(右贊成)ㆍ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를 지냄.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,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 《식료찬요(食療撰要)》를 간행함.
1427~1497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곽(南郭)@이호민 - 이호민(李好閔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를 호종하고, 명(明)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. 적서(嫡庶)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(立長論)을 주장함.
1553~163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곽(南郭) - 남곽자기(南郭子綦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초(楚) 나라의 은자. 초(楚) 나라 소왕(昭王)의 서제(庶弟). 《장자(莊子)》 제물론(齊物論)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(顔成子游)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남곽로(南郭老) - 박동열(朴東說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항복(李恒福)과 교유했고, 폐모론(廢母論)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. 시문(詩文)에 능하였고 경사(經史)와 백가(百家)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.
1564~162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곽선생(南郭先生) - 남곽자기(南郭子綦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초(楚) 나라의 은자. 초(楚) 나라 소왕(昭王)의 서제(庶弟). 《장자(莊子)》 제물론(齊物論)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(顔成子游)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남곽자(南郭子) - 남곽자기(南郭子綦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초(楚) 나라의 은자. 초(楚) 나라 소왕(昭王)의 서제(庶弟). 《장자(莊子)》 제물론(齊物論)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(顔成子游)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남궁(南宮)@예부 - 예부(禮部)
신라 진평왕(眞平王) 8년에 설치된 외교(外交)와 의례(儀禮)를 맡아본 관서(官署). 관원으로는 영(令)ㆍ경(卿)ㆍ대사(大舍) 등이 있었으며, 고려 후기까지 존속됨.
586 한국>통일신라ㅣ한국>고려시대ㅣ한국>신라 , 법제>관청
-
남궁(南宮)@예조 - 예조(禮曹)
고려 후기와 조선시대에 걸쳐 존속된 관청으로, 육조(六曹)의 하나. 1389년(공양왕 1) 예부(禮部)를 개칭하여 조선시대에 계승되었으며, 예의(禮儀)ㆍ제향(祭享)ㆍ조회(朝會)ㆍ교빙(交聘)ㆍ학교ㆍ과거(科擧)에 관한 일을 관장함.
1389 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후기 , 법제>관청
-
남궁(南宮) - 미불(米芾)
중국 북송(北宋)의 서예가ㆍ화가. 소동파(蘇東坡)ㆍ황정견(黃庭堅) 등과 친교가 있었고, 미점법(米點法)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(點描法)을 창시함.
1051~110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남궁경숙(南宮敬叔) - 남궁괄(南宮括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조카사위.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(許與)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궁도(南宮縚) - 남궁괄(南宮括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조카사위.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(許與)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궁만(南宮萬) - 남궁장만(南宮長萬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경(卿). 송(宋) 민공(閔公)을 시해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남궁배천(南宮白川) - 남궁제(南宮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열(咸悅).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 남궁숙(南宮淑)의 아들이며 성혼(成渾)의 사돈으로, 연안 부사(延安府使) 등을 지냄. 성혼이 그에게 보낸 편지가 《우계집(牛溪集)》에 실려 있음.
1543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