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돈령(南頓令) - 유흠(劉欽)
중국 한(漢) 나라의 종친.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생부(生父)로, 남돈령(南頓令)을 지내고 남돈군(南頓君)에 봉해졌으며, 광무제 즉위 후 그가 살던 거록(鉅鹿)에 사당이 건립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남득(南得) - 김남득(金南得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고령김씨(高靈金氏)의 시조(始祖)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로(南老) - 왕초재(汪楚材)
중국 송(宋) 나라 광종(光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와 오경(吳儆) 등에게 배우면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으며, 석유(碩儒)로 명성을 떨침. 호남 안무사(湖南按撫司) 등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록(南錄) - 금강록(金剛錄)@남효온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학자인 남효온(南孝溫)인 금강산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록. 저자의 금강산 기행은 1485년(성종 16)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남록(南麓) - 유희서(柳熙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좌의정(左議政) 유전(柳㙉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, 경기 관찰사(京畿觀察使)를 지냄. 1603년(선조 36) 포천(抱川)에서 화적(火賊)에게 살해되었는데, 임해군(臨海君)이 그의 첩(妾)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.
1559~160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남루(南樓) - 영남루(嶺南樓)
경상도 밀양(密陽) 내일동(內一洞)에 있는 누각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김주(金湊)가 세웠으며,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현종(顯宗) 때 복원됨.
136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유적>건물>누정
-
남매(南買) - 이천(利川)
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. 논농사로 유명함.
경기도>이천 , 지명>행정지명
-
남맹하(南孟厦) - 남맹하(南孟夏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례(通禮)를 지낸 남경춘(南慶春)의 아들로, 송인(宋寅)ㆍ박민헌(朴民獻)ㆍ김사원(金士元)과 친교(親交)함.
1523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남면(藍面) - 노기(盧杞)
중국 당(唐) 덕종(德宗) 때의 간신. 성격이 음험하여 국정을 담당할 때 권력을 멋대로 휘둘러 많은 사람을 죽임. 평소 싫어하던 안진경(顔眞卿)을 제거할 목적으로, 모반을 일으킨 이희열(李希烈)에게 보내어 화를 당하게 함.
?~785?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남명(南冥) - 조식(曺植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(李滉)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삼가ㅣ경상도>김해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남명(南明) - 왕도곤(汪道昆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의오 현령(義烏縣令) 때 척계광(戚繼光)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(倭寇)를 격파하고, 병부시랑(兵部侍郞) 등을 지냄.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(李攀龍)ㆍ왕세정(王世貞)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.
1525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명(南溟) - 왕도곤(汪道昆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의오 현령(義烏縣令) 때 척계광(戚繼光)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(倭寇)를 격파하고, 병부시랑(兵部侍郞) 등을 지냄.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(李攀龍)ㆍ왕세정(王世貞)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.
1525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명거사(南冥居士) - 조식(曺植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(李滉)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삼가ㅣ경상도>김해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남명사우(南冥祠宇) - 덕천서원(德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조식(曺植)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. 1609년(광해군 1)에 사액되었으며, 조식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(山淸郡)에 속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명서원(南冥書院) - 덕천서원(德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조식(曺植)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. 1609년(광해군 1)에 사액되었으며, 조식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(山淸郡)에 속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명선생집(南冥先生集) - 남명집(南冥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식(曺植)의 시문집. 3권. 목판본. 1604년(선조 37)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(鄭仁弘)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(陜川)의 해인사(海印寺)에서 초간(初刊)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문헌>서명
-
남명시집(南冥詩集) - 남명집(南冥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식(曺植)의 시문집. 3권. 목판본. 1604년(선조 37)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(鄭仁弘)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(陜川)의 해인사(海印寺)에서 초간(初刊)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문헌>서명
-
남몽선(南夢仙) - 혜능(慧能)@조선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승려. 응철(應哲)에게 수계(受戒)하고 천조(天照)ㆍ호구당(虎丘堂)에게 가르침을 받음. 전국의 명산을 유력(遊歷)하다가 말년에 천축사(天竺寺)로 돌아와 입적함.
1562~1636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홍천ㅣ강원도>강릉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남문(南門) - 숭례문(崇禮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세워진 서울 성곽의 사대문(四大門) 가운데 남쪽 성문의 이름. 서울 중구(中區) 남대문로(南大門路) 소재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남미춘(婪尾春) - 작약(芍藥)
작약과(芍藥科)의 다년생초(多年生草). 흔히 남녀 간의 애모(愛慕)하는 마음이나 이별(離別)의 상징물로 쓰여,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文集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 등에 실려 있음.
자연물>식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