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명(南溟) - 왕도곤(汪道昆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의오 현령(義烏縣令) 때 척계광(戚繼光)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(倭寇)를 격파하고, 병부시랑(兵部侍郞) 등을 지냄.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(李攀龍)ㆍ왕세정(王世貞)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.
1525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명거사(南冥居士) - 조식(曺植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(李滉)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삼가ㅣ경상도>김해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남명사우(南冥祠宇) - 덕천서원(德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조식(曺植)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. 1609년(광해군 1)에 사액되었으며, 조식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(山淸郡)에 속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명서원(南冥書院) - 덕천서원(德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조식(曺植)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. 1609년(광해군 1)에 사액되었으며, 조식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(山淸郡)에 속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명선생집(南冥先生集) - 남명집(南冥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식(曺植)의 시문집. 3권. 목판본. 1604년(선조 37)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(鄭仁弘)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(陜川)의 해인사(海印寺)에서 초간(初刊)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문헌>서명
-
남명시집(南冥詩集) - 남명집(南冥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식(曺植)의 시문집. 3권. 목판본. 1604년(선조 37)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(鄭仁弘)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(陜川)의 해인사(海印寺)에서 초간(初刊)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문헌>서명
-
남몽선(南夢仙) - 혜능(慧能)@조선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승려. 응철(應哲)에게 수계(受戒)하고 천조(天照)ㆍ호구당(虎丘堂)에게 가르침을 받음. 전국의 명산을 유력(遊歷)하다가 말년에 천축사(天竺寺)로 돌아와 입적함.
1562~1636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홍천ㅣ강원도>강릉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남문(南門) - 숭례문(崇禮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세워진 서울 성곽의 사대문(四大門) 가운데 남쪽 성문의 이름. 서울 중구(中區) 남대문로(南大門路) 소재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남미춘(婪尾春) - 작약(芍藥)
작약과(芍藥科)의 다년생초(多年生草). 흔히 남녀 간의 애모(愛慕)하는 마음이나 이별(離別)의 상징물로 쓰여,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文集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 등에 실려 있음.
자연물>식물
-
남봉(南峯)@김질충 - 김질충(金質忠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부호군(副護軍) 김경(金鏡)의 아들. 승정원 도승지(承政院都承旨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51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봉(南峯) - 김홍도(金弘度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김로(金魯)의 아들.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, 홍문관 전한(弘文館典翰) 때 윤원형(尹元衡)에 의해 갑산(甲山)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.
1524~155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남봉(南峯)@정지연 - 정지연(鄭芝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봉상시 정(奉常寺正)을 지낸 정유인(鄭惟仁)의 아들이며, 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(門人). 이황(李滉)의 추천으로 왕자사부(王子師傅)가 되고 직제학(直提學)ㆍ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냄.
1525~15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남봉(南峯)@서목 - 서목(徐穆)
통일신라 말~고려 초의 호족(豪族). 이천(利川) 지방의 호족으로, 왕건(王建)이 남쪽으로 정벌을 하기 위하여 이 지역을 통과할 때 강을 쉽게 건널 수 있도록 도와줌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남봉(南峰) - 김치(金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부사(府使) 김시회(金時晦)의 아들로, 상락군(上洛君) 김시민(金時敏)에게 출계함.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(大北)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77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산(南山) - 목멱산(木覓山)
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. 동쪽의 낙산(駱山), 서쪽의 인왕산(仁王山), 북쪽의 백악산(白岳山)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, 풍수지리상으로 안산(案山) 겸 주작(朱雀)에 해당되며,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남산(南山)@금오산 - 금오산(金鰲山)@경주
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.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(蘿井)이 있고,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. 김시습(金時習)이 은거하며 《금오신화(金鰲新話)》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.
경상도>경주 , 지명>자연지명
-
남산(南算) - 남재(南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문인(門人). 동생 남은(南誾)과 함께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.
1351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서계(南西溪) - 남추(南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일파로 몰려 남곤(南袞)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(靈光)으로 내려가 시작(詩作)으로 여생을 마침.
1499~152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ㅣ전라도>곡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석(南石) - 고상안(高尙顔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개성(開城). 강제(姜霽)의 문인으로, 함양 군수(咸陽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이덕형(李德馨)ㆍ이순신(李舜臣) 등과의 서사 기록(書事記錄)을 남김. 저서로 《태촌집(泰村集)》 등이 있음.
1553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석노인(南石老人) - 고상안(高尙顔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개성(開城). 강제(姜霽)의 문인으로, 함양 군수(咸陽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이덕형(李德馨)ㆍ이순신(李舜臣) 등과의 서사 기록(書事記錄)을 남김. 저서로 《태촌집(泰村集)》 등이 있음.
1553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