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성군(南城君)@홍서 - 홍서(洪恕)
고려 말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사범(洪師範)의 아들로, 고려 말에 대호군(大護軍)을 지냄.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전라도 병마도절제사(全羅道兵馬都節制使)로 파견되어 왜구를 소탕함.
?~141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남성군(南城君) - 홍석(洪錫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문신.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이극견(李克堅)의 장인으로, 남성군(南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성시(南省試) - 국자감시(國子監試)
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실시한 예부시(禮部試)의 예비시험. 제술과(製述科)ㆍ명경과(明經科)로 이루어지며, 급제하면 진사(進士)가 되어 예부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.
1031 한국>고려전기 , 법제>제도
-
남송(南宋) - 송(宋)@남북조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남조(南朝) 최초의 왕조. 동진(東晉) 말기에 유유(劉裕)가 진(晉) 나라 공제(恭帝)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, 8대 60년간 존속.
420~47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남수(柟壽) - 송남수(宋柟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임천 군수(林川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도주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곧 사면되었고, 이후 낙향하여 쌍청당(雙淸堂)을 중수함.
1537~162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숭산(南嵩山) - 금오산(金烏山)
경상북도 구미(龜尾)ㆍ칠곡(漆谷)ㆍ김천(金泉)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.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(金剛)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(慶北八景)의 하나로 꼽힘.
경상도>선산ㅣ경상도>개령 , 지명>자연지명
-
남시백(南施伯) - 남맹하(南孟夏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례(通禮)를 지낸 남경춘(南慶春)의 아들로, 송인(宋寅)ㆍ박민헌(朴民獻)ㆍ김사원(金士元)과 친교(親交)함.
1523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아(南阿) - 성락(成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 문하에서 수학함.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,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.
1542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악(南岳)@윤승길 - 윤승길(尹承吉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홍언(尹弘彦)의 아들이며, 인성군(仁城君) 이공(李珙)의 장인.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,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 등을 지냄.
1540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악(南岳) - 회양(懷讓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혜안(慧安)에게 구족계(具足戒)를 받은 후에 조계산(曹溪山)에 들어가 선종(禪宗) 6조(祖)인 혜능(慧能) 밑에서 수행하고, 반야사(般若寺)에서 30년 동안 교화(敎化)를 펼침.
677~74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남악(南岳)@형산 - 형산(衡山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형양(衡陽) 북쪽에 있는 산 이름. 오악(五岳)의 하나로 위치상 남악(南岳)에 해당하며, 높이는 1,265m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남악(南岳)@오여벌 - 오여벌(吳汝橃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창(高敞). 오운(吳澐)의 아들이며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창원 부사(昌原府使) 등을 지냄. 저서로 《중국역대총론(中國歷代總論)》ㆍ《동국역대기사(東國歷代紀事)》 등이 있음.
1579~163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고창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악(南嶽)@목멱산 - 목멱산(木覓山)
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. 동쪽의 낙산(駱山), 서쪽의 인왕산(仁王山), 북쪽의 백악산(白岳山)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, 풍수지리상으로 안산(案山) 겸 주작(朱雀)에 해당되며,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남악(南嶽) - 김복일(金復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, 학봉(鶴峯) 김성일(金誠一)의 동생. 경주 교수(慶州敎授)ㆍ울산 군수(蔚山郡守)ㆍ창원 부사(昌原府使) 등을 지냈으며, 경주 교수로 있을 때 학생들을 경학으로써 인도하여 도의를 크게 일으킴.
1541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악(南嶽)@지리산 - 지리산(智異山)
전라도 남원(南原)ㆍ구례(求禮), 경상도 산청(山淸)ㆍ함양(咸陽)ㆍ하동(河東)에 걸쳐 있는 산.
전라도>남원ㅣ전라도>구례ㅣ경상도>함양ㅣ경상도>하동 , 지명>자연지명
-
남악로(南嶽老) - 이산해(李山海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됨. 대북(大北)의 영수로, 건저문제(建儲問題)를 일으킨 정철(鄭澈)을 탄핵하고,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.
1539~160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악처사(南嶽處士) - 오익(吳翌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오봉(五峯) 호굉(胡宏)의 문인(門人). 남헌(南軒) 장식(張栻) 등과 교유하였고, 주희(朱熹)가 그의 행장(行狀)을 지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암(南菴) - 남초암(南草菴)
강원도 금강산(金剛山) 미륵봉(彌勒峯)의 남쪽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암자.
강원도>고성 , 유적>건물>사찰
-
남애(南厓) - 성락(成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 문하에서 수학함.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,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.
1542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애(南崖)@성락 - 성락(成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 문하에서 수학함.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,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.
1542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