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인중(南仁仲) - 남응원(南應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효자. 본관은 영양(英陽). 효행(孝行)으로 이름이 알려져 선조 때 두 차례 서용(敍用)의 명을 받음. 김성일(金誠一)이 그를 조정에 천거하고 시(詩)를 남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남일(南逸) - 박응남(朴應男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유조인(柳祖訒)ㆍ성제원(成悌元)ㆍ이중호(李仲虎)에게 수학하였으며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함. 직간(直諫)으로 이름이 높았음.
1527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자앙(南子昂) - 남경창(南慶昌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으로, 유학 남초(南怊)의 아들. 1564년(명종 1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고, 옥봉(玉峯) 백광훈(白光勳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연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장대(南將臺) - 촉석루(矗石樓)
고려 고종(高宗) 때 경상남도 진주(晉州) 본성동(本城洞)에 세워진 누각. 진주의 상징이자 영남의 명승으로, 임진왜란 때 논개(論介)가 순국한 곳으로도 유명함.
124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누정
-
남장산(南障山) - 여산(廬山)@중국
중국 강서성(江西省) 북부, 파양호(鄱陽湖) 북서쪽 기슭에 있는 산. 주희(朱熹)가 짓고 강학했던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이 있는 곳이며, 불교에 관한 고적(古蹟)이 많음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남재(南齋) - 위기(魏驥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대종(代宗) 때의 문신. 《영락대전(永樂大典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남경 이부상서(南京吏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저서에 《남재적고(南齋摘稿)》가 있음.
1374~147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전(藍田) - 여대림(呂大臨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철종(哲宗) 때 태학박사(太学博士)를 지냄. 육경(六經)에 통달하고, 특히 예기(禮記)에 밝음.
1040~109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전기(藍田記) - 남전현승청벽기(藍田縣丞廳壁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(韓愈)가 지은 글. 한유의 박학다재한 벗 최사립(崔斯立)이 남전현(藍田縣)의 승(丞)이 되어 지위만 높고 할 일은 없자 한탄하면서 유유자적하였다는 내용을 담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남전선사(南田禪師) - 부목(夫牧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. 복구(復邱)의 문도이자 보우(普愚)의 문도이며, 선현(禪顯)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남전여씨(藍田呂氏) - 여대림(呂大臨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철종(哲宗) 때 태학박사(太学博士)를 지냄. 육경(六經)에 통달하고, 특히 예기(禮記)에 밝음.
1040~109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전여씨향약(藍田呂氏鄕約) - 여씨향약(呂氏鄕約)
중국 북송(北宋)의 여대충(呂大忠)ㆍ여대방(呂大防)ㆍ여대균(呂大勻)ㆍ여대림(呂大臨)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. 덕업상권(德業相勸)ㆍ과실상규(過失相規)ㆍ예속상교(禮俗相交)ㆍ환난상휼(患難相恤)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,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.
중국>송 , 중국 , 법제>의례>향촌의례ㅣ문헌>서명
-
남전후(藍田侯) - 왕탄지(王坦之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치초(郗超)와 더불어 환온(桓溫)의 막하(幕下)가 되었다가 효무제(孝武帝) 때 사안(謝安)과 함께 황제를 도와 정무(政務)를 주도하였으며, 중서령(中書令) 등을 역임함. 불교를 신봉하고 형명학(刑名學)을 숭상하였음.
330~37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정(南亭)@남강원 - 남강원(南江院)
경상남도 합천(陜川)에 속했던 역원(驛院). 남강(南江)의 북쪽 언덕에 있었음.
경상도>합천 , 유적>건물>관사
-
남정(南亭) - 이견기(李堅基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성절사(聖節使)ㆍ사은사(謝恩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1384~14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정(南正) - 김남정(金南正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낙안(樂安). 사재경(司宰卿) 김윤경(金允卿)의 아들이며, 낙천군(樂川君) 김수(金隨)의 아버지로, 전객령(典客令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낙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정(嵐亭) - 김시창(金始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 유학ㆍ효자(孝子). 본관은 금산(金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현량과(賢良科)에 피천(被薦)되었으나 나가지 않음.
1472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금산 , 인명>문사>유학ㅣ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남정기(南征記) - 사씨남정기(謝氏南征記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인 김만중(金萬重)이 한글로 지은 고전소설(古典小說). 숙종이 인현왕후(仁顯王后)를 폐출하고 희빈장씨(禧嬪張氏)를 왕비로 책봉한 사건에 대해 숙종을 깨우치기 위해 지음.
1690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남해 , 문헌>서명
-
남조송(南朝宋) - 송(宋)@남북조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남조(南朝) 최초의 왕조. 동진(東晉) 말기에 유유(劉裕)가 진(晉) 나라 공제(恭帝)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, 8대 60년간 존속.
420~47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남조제(南朝齊) - 남제(南齊)
중국 남북조시대 남조(南朝)의 두 번째 왕조. 남조 송(南朝宋)의 장군 소도성(蕭道成)이 순제(順帝)로부터 양위(讓位)를 받아 세웠으며, 7대 24년간 존속.
479~50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남주고사(南州高士) - 서치(徐穉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 때의 고사(高士). 예장 태수(豫章太守) 진번(陳蕃)이 빈객을 접대하는 일이 없었으나, 오직 그를 위해 하나의 의자를 마련하여 그가 오면 내어놓고 떠난 후에 다시 걸어두었다는 고사로 유명함.
97~16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