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나수(那壽)
중국 원(元) 나라 순제(順帝) 때의 환관. 고려 사람으로 중국 원(元) 나라에 가서 환관(宦官)이 되었으며, 순제 때 벼슬이 봉의대부 견용태감(奉議大夫甄用太監)에 이르렀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양ㅣ경상도>신녕 , 인명>관인>환관
-
나숙(羅淑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정(安定). 나세걸(羅世傑)의 아들이며 나식(羅湜)의 아우. 을사명현(乙巳名賢)의 한 사람으로, 부제학(副提學)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경원(慶源)에 안치되었다가 사사됨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비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숙담(羅叔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 나윤명(羅允明)의 아버지로,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승중(羅承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귀후서 별제(歸厚署別提)를 지낸 나진충(羅盡忠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식(羅湜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안정(安定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흥양(興陽)으로 유배되었다가 강계(江界)에서 사사(賜死)됨.
1498~154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나신국(羅藎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학생 나효종(羅孝宗)의 아들. 1566년(명종 21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정자(正字)ㆍ현감(縣監)을 거쳐 좌랑(佐郞)을 지냈으며, 제봉(霽峯) 고경명(高敬命)과 교유함.
152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안인(羅安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생원(生員) 나보중(羅甫重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암(懶庵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세족(世族)으로 불가에 귀속하여 양가도승록대사(兩街都僧錄大師)가 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홍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암잡저(懶庵雜著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승려 보우(普雨)가 지은 저서. 제자 태균(太均)이 모아서 간행한 것으로 법어(法語)ㆍ발문(跋文) 등 글 30여 편으로 구성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나양좌(羅良佐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정(安定). 윤선거(尹宣擧)의 문인으로, 스승이 누명을 쓰자 상소하였다가 유배되기도 하였으며, 기사환국 때 자형 김수항(金壽恒)과 매제 이사명(李師命)이 극형을 당하자 먼 길을 달려가서 상을 치러줌.
1638~17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비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열(羅悅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사헌부 대사헌을 지낸 나세찬(羅世纘)의 아들. 본관은 나주(羅州)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영걸(羅英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조일신(趙日新)의 난 때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에 올랐으나, 조일신이 처형당하자 그 당류로 지목되어 장류(杖流)당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옹화상어록(懶翁和尙語錄)
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(懶翁)의 글을 모은 책. 각굉(覺宏)을 비롯한 제자들이 스승의 글을 수집하고 교정하여 총 67장으로 간행함.
1363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나월헌(蘿月軒)
경상도 합천(陜川)의 내원사(內院寺) 안에 조현당(釣賢堂)과 함께 있는 건물명. 탁영(濯纓) 김일손(金馹孫)이 지은 〈조현당기문(釣賢堂記文)〉에 언급됨.
경상도>합천 , 유적>건물>사찰
-
나위소(羅緯素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정묘호란 때 이원익(李元翼)을 도와 무기와 군량을 조달했으며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83~166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유(羅裕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김방경(金方慶)이 제주(濟州)의 삼별초(三別抄)를 토벌할 때 선봉장으로 참전하여 대장군에 올랐고, 합단(哈丹)이 동북변경을 침범하였을 때 공을 세움.
?~12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나윤명(羅允明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유학(幼學)으로 왕 앞에서 《대학》을 강론한 것이 인정되어 회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를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은고(羅恩誥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금성나씨(錦城羅氏)의 시조 나총례(羅聰禮)의 아들. 자의대부(資義大夫)ㆍ공빈승(貢賓丞)을 지내고 금산군(錦山君)에 봉군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은제(羅殷制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학행(學行)으로 장성 현감(長城縣監)에 제수되었는데 임기를 마치고 돌아갈 때 행장(行裝)이 삼마(三馬)에 차지 않아 조정에서 청백리(淸白吏)로 기록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은집(懶隱集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동표(李東標)의 문집. 11권 6책. 목판본. 현손(玄孫) 이한응(李漢膺)이 모아 놓은 것을 1880년(고종 17)에 간행함.
1880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