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중(南仲) - 허자(許磁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원(許瑗)의 아들이며,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. 이기(李芑) 등과 함께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책록되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496~155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중(南重) - 김남중(金南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손자이며,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사위. 선교랑(宣敎郞)에 올랐고, 1590년(선조 23)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이 인정되어 광국원종공신(光國原從功臣)에 추록(追錄)되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중수(南仲綏) - 남연록(南延祿)
조선 후기의 유학. 유성룡(柳成龍)의 문하생으로, 풍악서당(豐岳書堂)을 병산(屛山)으로 이건(移建)할 때 일을 담당함. 유성룡의 《서애집(西厓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중옥(南仲玉) - 남도진(南道振)
조선 후기의 은사ㆍ학자. 개국공신 남재(南在)의 11세손이며, 병마동첨절제사(兵馬同僉節制使) 남택하(南宅夏)의 아들. 용문산(龍門山)에 은거하여 자연을 완상(玩賞)하며 시조(時調)와 가사(歌辭)를 짓고 평생 저술에 전념함.
1674~173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문사>학자
-
남지(南池) - 와룡지(臥龍池)
황해도 연안(延安)의 남쪽 3리 지점에 있던 저수지. 당진(唐津)의 합덕지(合德池), 상주(尙州)의 공검지(恭儉池)와 함께 과거 우리나라 삼대지(三大池)로 꼽혔으며, 겨울에 얼음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풍흉(豐凶)을 점쳤다고 함.
황해도>연안 , 지명>자연지명
-
남지탁(南之倬) - 남지탁(南之卓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으로,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낸 남을번(南乙蕃)의 선조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창(南窓) - 김현성(金玄成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김해(金海)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畵)에 두루 능하였으며, 숭인전비문(崇仁殿碑文)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.
1542~162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창현공(南昌縣公) - 치음(郗愔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. 치초(郗超)의 아버지로, 한때 자부(姊夫)인 왕희지(王羲之)와 함께 황로(黃老)의 학술을 익히기도 함. 회계내사(會稽內史)ㆍ도독 절강 동오군 군사(都督浙江東五郡軍事) 등을 지냄.
313~38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남천(南川) - 권두문(權斗文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여 그때의 일을 《호구일록(虎口日錄)》으로 남김.
1543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천(南川)@이천 - 이천(利川)
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. 논농사로 유명함.
경기도>이천 , 지명>행정지명
-
남천(南川)@이집 - 이집(李集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, 공민왕(恭愍王) 때 사직하고 여주(驪州)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.
1314~1387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ㅣ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천(南泉) - 보원(普願)
중국 당(唐) 나라의 선승(禪僧). 도일(道一)의 제자이며, 종심(從諗)의 스승. 대혜선사(大慧禪師)에게 출가한 뒤 후에 도일의 제자가 되었으며, 지주(池州)의 남천산(南泉山)에 선원(禪院)을 짓고 30여 년 동안 수행함.
748~83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남천군(南川君) - 이쟁(李崝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손자이며, 영순군(永順君) 이부(李溥)의 맏아들.
1458~151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남천홍씨(南川洪氏) - 부계홍씨(缶溪洪氏)
고려시대 직장동정(直長同正)을 지낸 홍좌(洪佐)를 시조로 하는 성씨. 시중(侍中)을 지낸 홍난(洪鸞)의 후손이라 함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의흥 , 인명>집단>성씨
-
남촌(南村)@이거 - 이거(李蘧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평(新平)으로, 이세순(李世純)의 아들. 허엽(許曄)의 문인으로, 경기 감사(京畿監司) 등을 지냈으며 윤인함(尹仁涵)ㆍ정탁(鄭琢) 등과 교유함.
1532~160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촌(南村) - 이공수(李公遂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익산(益山)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,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신돈(辛旽)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(德水縣)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.
1308~136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촌(南村)@윤지화 - 윤지화(尹之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으로, 폐비 윤씨(廢妃尹氏)의 당질(堂姪). 호조 정랑(戶曹正郞)을 지내고, 당시 문장으로 유명한 눌재(訥齋) 박상(朴祥)ㆍ하천(霞川) 고운(高雲) 등과 시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촌선생(南村先生) - 이공수(李公遂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익산(益山)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,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신돈(辛旽)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(德水縣)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.
1308~136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파(南坡)@심열 - 심열(沈悅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청송(靑松). 심예겸(沈禮謙)의 아들로, 숙부 심충겸(沈忠謙)에게 출계(出系)함. 삼사(三司)의 요직을 역임하고, 탁지(度支)에 대한 뛰어난 경륜으로 왕의 총애를 받음.
1569~16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남파(南坡)@이양원 - 이양원(李陽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원부령(利原副令) 이학정(李鶴汀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명(明) 나라에 가서 종계(宗系)를 변무(辨誣)한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됨.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, 영의정 등을 지냄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