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파(南坡) - 김온교(金溫嶠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학자. 허백정(虛白亭) 홍귀달(洪貴達)의 외종숙(外從叔)으로, 홍귀달이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학자
-
남파거사(南坡居士) - 김온교(金溫嶠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학자. 허백정(虛白亭) 홍귀달(洪貴達)의 외종숙(外從叔)으로, 홍귀달이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학자
-
남팔(南八) - 남제운(南霽雲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숙종(肅宗) 때의 장군. 안녹산(安祿山)의 반군과 맞서 싸우다 패하여 잡힌 후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남평(南平)@연평 - 연평(延平)
중국 복건성(福建省) 중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이동(李侗)의 고향으로 이름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남평(南平)@이전수 - 이전수(李專粹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보한재(保閑齋) 신숙주(申叔舟)와 시(詩)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고부 , 인명>문사>유학
-
남평개국백(南平開國伯)@문효제 - 문효제(文孝悌)
고려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평장사(平章事)를 지낸 문극유(文克裕)의 아들. 집현전 태학사(集賢殿太學士) 등을 지냈고, 남평개국백(南平開國伯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남평개국백(南平開國伯) - 문다성(文多省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남평문씨(南平文氏)의 시조.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(三韓壁上功臣)에 책록되고, 남평개국백(南平開國伯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남평군(南平君) - 문경(文璟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문달한(文達漢)의 아버지. 보리공신(輔理功臣)에 책록되고 문하찬성사(門下贊成事)를 지냈으며, 남평군(南平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포(南浦) - 이청(李淸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덕윤(李德潤)의 아들로, 1511년(중종 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 등을 지냄.
1483~154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남풍(南豊) - 증공(曾鞏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저서에 《금석록(金石錄)》과 시문집 《원풍유고(元豊遺藁)》가 있음.
1019~108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풍(南風) - 남풍가(南風歌)
중국 고대에 순(舜)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(樂歌).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(巡幸)할 때 오현금(五絃琴)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,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(詩)임.
고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남풍곡(南風曲) - 남풍가(南風歌)
중국 고대에 순(舜)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(樂歌).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(巡幸)할 때 오현금(五絃琴)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,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(詩)임.
고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남풍선생(南豊先生) - 증공(曾鞏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저서에 《금석록(金石錄)》과 시문집 《원풍유고(元豊遺藁)》가 있음.
1019~108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한산주(南漢山州) - 광주(廣州)
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삼국시대(三國時代)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.
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남항거사(南港居士) - 이후원(李厚源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정사공신(靖社功臣)으로 책록되고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척사론(斥邪論)을 주장하였으며 효종(孝宗)의 북벌정책(北伐政策)을 보필함.
1598~166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해거서간(南解居西干) - 남해차차웅(南解次次雄)
신라의 제2대 왕. 재위 4~24. 박혁거세(朴赫居世)의 맏아들로, 즉위 후 해변에 출몰하는 왜구(倭寇)를 격퇴하고, 기근에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였으며, 석탈해(昔脫解)를 사위로 삼아 후에 정사를 맡김.
?~24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남해군공(南海郡公) - 최여지(崔與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우승상(右丞相)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, 관문전 태학사(關文殿太學士)로 치사(致仕)함. 저서에는 《국파집(菊坡集)》이 있음.
1158~123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해왕(南解王) - 남해차차웅(南解次次雄)
신라의 제2대 왕. 재위 4~24. 박혁거세(朴赫居世)의 맏아들로, 즉위 후 해변에 출몰하는 왜구(倭寇)를 격퇴하고, 기근에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였으며, 석탈해(昔脫解)를 사위로 삼아 후에 정사를 맡김.
?~24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남헌(南軒)@탁도민 - 탁도민(卓道敏)
고려 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광산탁씨(光山卓氏)의 시조인 탁지엽(卓之葉)의 맏아들로, 선종 때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남헌(南軒) - 장식(張栻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(張浚)의 음보(蔭補)로 관리가 되었음. 호굉(胡宏)에게 사사하고 성학(聖學)을 공부했으며,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 등과 함께 동남(東南)의 3현(三賢)이라 일컬어졌음.
1133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