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헌거사(南軒居士) - 이규보(李奎報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여주(驪州). 최씨무인정권(崔氏武人政權)의 대표적 문인으로, 《백운소설(白雲小說)》ㆍ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ㆍ〈동명왕편(東明王篇)〉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.
1168~124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헌선생문집(南軒先生文集) - 남헌문집(南軒文集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인 장식(張栻)의 문집. 효종(孝宗) 순희(淳熙) 연간에 주희(朱熹)가, 장식의 학문이 정립된 이후의 글들을 편집하여 44권으로 만들었으며, 이와는 다른 30권 본도 전함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헌장로(南軒長老) - 이규보(李奎報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여주(驪州). 최씨무인정권(崔氏武人政權)의 대표적 문인으로, 《백운소설(白雲小說)》ㆍ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ㆍ〈동명왕편(東明王篇)〉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.
1168~124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헌장씨(南軒張氏) - 장식(張栻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(張浚)의 음보(蔭補)로 관리가 되었음. 호굉(胡宏)에게 사사하고 성학(聖學)을 공부했으며,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 등과 함께 동남(東南)의 3현(三賢)이라 일컬어졌음.
1133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헌집(南軒集) - 남헌문집(南軒文集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인 장식(張栻)의 문집. 효종(孝宗) 순희(淳熙) 연간에 주희(朱熹)가, 장식의 학문이 정립된 이후의 글들을 편집하여 44권으로 만들었으며, 이와는 다른 30권 본도 전함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호(南湖)@변협 - 변협(邊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이이(李珥)로부터 《주역계몽(周易啓蒙)》을 강론받았으며, 천문ㆍ지리ㆍ산수에도 정통했음.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장흥 부사(長興府使)가 되었고, 공조 판서ㆍ포도대장 등을 지냈음.
1528~1590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남호(南湖) - 납호(納湖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장사(長沙)에 있는 호수 이름. 장식(張栻)이 호수 가에 살면서 학문을 연마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남호독서당(南湖讀書堂) - 독서당(讀書堂)
조선 성종(成宗) 때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세운 전문 독서연구 기구. 1426년(세종 8) 문장이 뛰어난 집현전(集賢殿)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하게 한 사가독서제(賜暇讀書制)로부터 비롯되어, 1492년(성종 23) 서거정(徐居正)의 주청으로 상설국가기구로 설치됨.
149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법제>관청
-
남화(南華)@장자 - 장자(莊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(莊周)의 저서. 총 33편. 우화(寓話)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(本體)와 근원(根源), 물화현상(物化現象)을 설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화(南華) - 남곤(南袞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심정(沈貞) 등과 함께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일으킨 주역.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.
1471~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화경(南華經) - 장자(莊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(莊周)의 저서. 총 33편. 우화(寓話)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(本體)와 근원(根源), 물화현상(物化現象)을 설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화노선(南華老仙) - 장주(莊周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(思想家). 도가(道家)의 대표적 인물로, 노자(老子)의 무위자연(無爲自然)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.
B.C.369~B.C.289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화선(南華仙) - 장주(莊周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(思想家). 도가(道家)의 대표적 인물로, 노자(老子)의 무위자연(無爲自然)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.
B.C.369~B.C.289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화진경(南華眞經) - 장자(莊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(莊周)의 저서. 총 33편. 우화(寓話)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(本體)와 근원(根源), 물화현상(物化現象)을 설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화진인(南華眞人) - 장주(莊周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(思想家). 도가(道家)의 대표적 인물로, 노자(老子)의 무위자연(無爲自然)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.
B.C.369~B.C.289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남화편(南華篇) - 장자(莊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(莊周)의 저서. 총 33편. 우화(寓話)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(本體)와 근원(根源), 물화현상(物化現象)을 설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괴몽(槐夢) - 남가일몽(南柯一夢)
중국 당(唐) 나라 순우분(淳于棼)이 나무 아래에서 잠이 들었는데, 꿈 속에 괴안국(槐安國)에 가서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, 인생의 속절없음을 의미함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괴산군(槐山君) - 이지(李漬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현군(翼峴君) 이곤(李璭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괴산령(槐山令) - 이만수(李萬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종친(宗親)인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서자로, 괴산령(槐山令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괴산정(槐山正) - 이만수(李萬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종친(宗親)인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서자로, 괴산령(槐山令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