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괴성(槐城) - 괴산(槐山)
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.
충청도>괴산 , 지명>행정지명
-
괴안(槐安)@괴안국 - 괴안국(槐安國)
남가일몽(南柯一夢)의 고사(故事)에서 순우분(淳于棼)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(假想)의 나라 이름.
기타지역 , 지명>기타지명
-
괴안(槐安) - 괴산(槐山)
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.
충청도>괴산 , 지명>행정지명
-
괴안몽(槐安夢) - 남가일몽(南柯一夢)
중국 당(唐) 나라 순우분(淳于棼)이 나무 아래에서 잠이 들었는데, 꿈 속에 괴안국(槐安國)에 가서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, 인생의 속절없음을 의미함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괴애(乖崖)@김극검 - 김극검(金克儉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성품이 청렴결백하고,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ㆍ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호조 참판(戶曹參判)ㆍ동중추부사(同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39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괴애(乖崖)@장영 - 장영(張詠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익주(益州)ㆍ항주(杭州) 등 지주사(知州事)로 나가 목민관으로 명망이 높았으며, 내직으로 이부 상서(吏部尙書)ㆍ추밀직학사(樞密直學士) 등을 지냈음.
946~101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괴애(乖崖) - 김수온(金守溫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세종ㆍ세조(世祖)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, 특히 시문에 뛰어나 〈희청부(喜晴賦)〉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.
1410~148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괴애선생문집(乖崖先生文集) - 괴애집(乖崖集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인 장영(張詠)이 자신의 호인 ‘괴애(乖崖)’를 따서 지은 문집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괴애자(乖崖子) - 김수온(金守溫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세종ㆍ세조(世祖)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, 특히 시문에 뛰어나 〈희청부(喜晴賦)〉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.
1410~148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괴양(槐壤) - 괴산(槐山)
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.
충청도>괴산 , 지명>행정지명
-
괴외(蒯聵) - 장공(莊公)@춘추전국(衛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480~B.C.478. 무공(武公)의 아들로, 영공(靈公)의 부인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진(晉) 나라로 망명함. 영공의 뒤를 이어 자신의 아들 괴첩(蒯輒)이 출공(出公)으로 즉위하여 그의 귀국을 막았으나, 결국 돌아와 즉위함.
?~B.C.478.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괴은(乖隱) - 정구(鄭球)@정유의의아들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무안 현감(務安縣監) 정유의(鄭有義)의 아들로, 예문관 검열(藝文館檢閱)ㆍ사간(司諫)을 지냄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칭병(稱病)하고 두문불출함.
149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괴정(槐亭)@사인정 - 사인정(四印亭)
전라도 함평(咸平) 월야면(月也面)에 있는 정자. 조선 전기에 정함도(鄭咸道)와 그의 아들 정유(鄭維)ㆍ정면(鄭綿)ㆍ정주(鄭紬) 4부자가 모두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된 것을 기념하여 인끈을 걸었던 데서 붙여진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유적>건물>누정
-
괴정(槐亭)@권담 - 권담(權湛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전법판서(典法判書) 권호(權鎬)의 아들. 고려 말에 남원 부사(南原府使) 등을 지냈고, 조선 개국 후 공주 목사(公州牧使)ㆍ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지냄.
?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괴정(槐亭)@유문통 - 유문통(柳文通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상주 목사(尙州牧使)와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을 역임했으며, 일본 사신을 맞아 뛰어난 외교술을 발휘했고 시문에도 뛰어났음.
1438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괴정(槐亭) - 박선(朴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아버지 박경인(朴慶因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공을 세웠으며, 후에 경조우윤(京兆右尹)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음.
1571~161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괴주(槐州) - 괴산(槐山)
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.
충청도>괴산 , 지명>행정지명
-
괴첩(蒯輒) - 출공(出公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제후. 위 나라 영공(靈公)의 태자인 괴외(蒯聵)의 아들로, 괴외가 죄를 얻어 진(晉) 나라로 망명했을 때 왕으로 즉위하고서 괴외의 귀국을 막았으나, 결국 괴외가 돌아와 장공(莊公)으로 즉위하자 노(魯) 나라로 망명함.
?~B.C.468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괴탄(槐灘) - 괴산(槐山)
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.
충청도>괴산 , 지명>행정지명
-
괴통(蒯通) - 괴철(蒯徹)
중국 전한(前漢)의 유세가(遊說家). 권변술(權變術)에 능하여 한신(韓信)도 그의 계략을 써서 제(齊) 나라를 점령하였음. 한신을 달래어 한(漢) 나라로부터 독립할 것을 권하였으나 그 말을 듣지 않은 한신이 죽자 고조(高祖)의 신하가 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