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굉(鍧) - 이굉(李鍧)
조선 전기의 종친. 중종(中宗)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(海安君) 이희(李㟓)의 세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굉보(宏父)@한위 - 한위(韓偉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의정 한확(韓確)의 손자이며 덕종비(德宗妃) 소혜왕후(昭惠王后)의 조카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65~151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굉보(宏父) - 서의(徐誼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. 보모각 대제(寶謨閣待制) 등을 지냈으며, 지임안부사(知臨安府事)로 있을 때 조여우(趙汝愚)가 정승에서 파직되자 항론(抗論)하여 유임하게 함.
1144~120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굉사(宏師) - 굉상인(宏上人)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상원사(上院寺) 주변에 무주암(無住菴)을 짓고 원천석(元天錫)과 시를 수창(酬唱)하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창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굉제(宏濟) - 양부(楊溥)
중국 명(明) 나라 혜제(惠帝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무영전 대학사(武英殿大學士) 등을 지내고, 양우(楊寓)ㆍ양영(楊榮)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‘삼양(三楊)’으로 일컬어짐.
1372~144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굉조(閎祖) - 이굉조(李閎祖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임계 주부(臨桂主簿)ㆍ광서안무사(廣西安撫使) 등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굉중(宏仲) - 이덕홍(李德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충량(李忠樑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영춘 현감(永春縣監) 등을 지냄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세자를 따라 성천(成川)까지 호종함.
1541~15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굉지(硡之) - 허굉(許硡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허침(許琛)의 아들로, 야인(野人)을 정벌할 때에 큰 공을 세웠으며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냈음.
1471~152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굉필(宏弼) - 김굉필(金宏弼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서흥(瑞興)으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극형에 처해짐. 정여창(鄭汝昌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 등과 함께 오현(五賢)으로 문묘에 종사됨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교(㝯) - 이교(李㝯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성(眞城). 이황(李滉)의 조카로,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대흥 현감(大興縣監) 등을 지냄.
1534~159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僑)@조선 - 정교(鄭僑)@조선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청주(淸州). 강계 교수(江界敎授)를 지낸 정이청(鄭以淸)의 아버지로, 1496년(연산군 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했으나 연산군의 혼정(昏政)으로 낙향하여 은거함. 좌찬성(左贊成)에 추증됨.
1470~153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교(僑) - 권교(權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강화 부사(江華府使)를 지낸 권적(權勣)의 아버지로, 진주 판관(晋州判官)ㆍ양근 군수(楊根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僑)@송 - 정교(鄭僑)@송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사학가(史學家) 정초(鄭樵)의 족질(族侄)로,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지추밀원사(知樞密院事) 등을 지냄.
1132~120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교(喬)@고려 - 허교(許喬)@고려
고려 충숙왕(麗忠肅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시(許時)ㆍ허응(許應) 등 여섯 형제의 아버지로, 개성 윤(開城尹)을 지내고 광록대부(光祿大夫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喬)@조선 - 허교(許喬)@조선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문신ㆍ학자인 허목(許穆)의 아버지로, 포천 현감(泡川縣監) 등을 지냄.
1567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喬) - 이교(李喬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금오위 중랑장(金吾衛中郞將) 등을 지냄.
1187~?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교(嶠) - 김교(金嶠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이시애(李施愛)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1479년(성종 10) 건주야인(建州野人)을 토벌하였으며, 훈련원 판관(訓練院判官)ㆍ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등을 지냄.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.
1428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교(嶠)@고려 - 이교(李嶠)@고려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우(李瑀)의 아들이며, 이조년(李兆年)의 사위로, 공민왕 때 천추사(千秋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오고, 어사대부(御史大夫)로서 전선(銓選)을 관장함.
?~136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嶠)@조선 - 이교(李嶠)@조선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고성(固城). 청파(靑坡) 이륙(李陸)의 아들이며, 하성군(夏城君) 성수재(成秀才)의 사위.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, 아들인 이택(李澤)으로 인해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교(敎) - 교종(敎宗)
불교 종파 가운데 경전(經典)ㆍ석론(釋論) 등의 교학(敎學)을 중시하는 종파를 아우르는 말. 조선시대 억불정책(抑佛政策)으로 1424년(세종 6)에 선(禪)ㆍ교(敎) 양종으로 통합할 때 화엄(華嚴)ㆍ자은(慈恩)ㆍ중신(中神)ㆍ시흥(始興)의 네 종파를 합하고 교종이라 함.
1424 한국>조선전기 , 사상>이론>교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