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교(僑) - 권교(權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강화 부사(江華府使)를 지낸 권적(權勣)의 아버지로, 진주 판관(晋州判官)ㆍ양근 군수(楊根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僑)@송 - 정교(鄭僑)@송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사학가(史學家) 정초(鄭樵)의 족질(族侄)로,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지추밀원사(知樞密院事) 등을 지냄.
1132~120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교(喬)@고려 - 허교(許喬)@고려
고려 충숙왕(麗忠肅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시(許時)ㆍ허응(許應) 등 여섯 형제의 아버지로, 개성 윤(開城尹)을 지내고 광록대부(光祿大夫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喬)@조선 - 허교(許喬)@조선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문신ㆍ학자인 허목(許穆)의 아버지로, 포천 현감(泡川縣監) 등을 지냄.
1567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喬) - 이교(李喬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금오위 중랑장(金吾衛中郞將) 등을 지냄.
1187~?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교(嶠) - 김교(金嶠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이시애(李施愛)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1479년(성종 10) 건주야인(建州野人)을 토벌하였으며, 훈련원 판관(訓練院判官)ㆍ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등을 지냄.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.
1428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교(嶠)@고려 - 이교(李嶠)@고려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우(李瑀)의 아들이며, 이조년(李兆年)의 사위로, 공민왕 때 천추사(千秋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오고, 어사대부(御史大夫)로서 전선(銓選)을 관장함.
?~136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교(嶠)@조선 - 이교(李嶠)@조선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고성(固城). 청파(靑坡) 이륙(李陸)의 아들이며, 하성군(夏城君) 성수재(成秀才)의 사위.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, 아들인 이택(李澤)으로 인해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교(敎) - 교종(敎宗)
불교 종파 가운데 경전(經典)ㆍ석론(釋論) 등의 교학(敎學)을 중시하는 종파를 아우르는 말. 조선시대 억불정책(抑佛政策)으로 1424년(세종 6)에 선(禪)ㆍ교(敎) 양종으로 통합할 때 화엄(華嚴)ㆍ자은(慈恩)ㆍ중신(中神)ㆍ시흥(始興)의 네 종파를 합하고 교종이라 함.
1424 한국>조선전기 , 사상>이론>교리
-
교^척(蹻^跖) - 척^교(跖^蹻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도둑인 도척(盜跖)과 초(楚) 나라의 도적인 장교(莊蹻)를 함께 부르는 말. 악인(惡人)의 대표적인 인물들로, 흉악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교남(嶠南) - 경상도(慶尙道)
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(道) 이름. 고려 때 경주(慶州)와 상주(尙州)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경상도 , 지명>행정지명
-
교남주(嶠南州) - 경상도(慶尙道)
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(道) 이름. 고려 때 경주(慶州)와 상주(尙州)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경상도 , 지명>행정지명
-
교년(喬年) - 주송(朱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아버지로, 주희의 어린시절 스승이었음. 금(金) 나라와의 투쟁을 강하게 주장하다가 지방으로 좌천되었으며, 이부랑(吏部郞) 등을 역임하였음.
1097~114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교도(橋島) - 유자도(柚子島)
경상도 거제(巨濟)의 북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2개의 섬이 있으며, 온 섬에 유자나무가 있음. 현재 거제시 신현읍(新縣邑) 교도(橋島)를 말하며, 이순신(李舜臣) 장군이 진을 옮긴 적이 있음.
경상도>거제 , 지명>행정지명
-
교동(喬桐)@연산군 - 연산군(燕山君)
조선의 제10대 왕. 재위 1494~1506.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(言官)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,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폐위됨.
1476~150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교동(狡童) - 주(紂)
중국 은(殷) 나라의 마지막 왕. 제을(帝乙)의 아들로, 달기(妲己)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, 비간(比干)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(周) 나라의 무왕(武王)에게 멸망당함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교동주(喬桐主) - 연산군(燕山君)
조선의 제10대 왕. 재위 1494~1506.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(言官)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,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폐위됨.
1476~150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교동후(膠東侯) - 가복(賈復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장군. 등우(鄧禹)ㆍ경감(耿弇) 등과 함께 광무제를 보좌하여 후한을 건립하는 데 공훈을 세움. 도호장군(都護將軍)이 되고 교동후(膠東侯)에 봉해짐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교릉(橋陵) - 교산(橋山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중부현(中部縣) 서북방에 있는 산 이름. 황제(黃帝)를 장사지낸 곳이라고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교봉방씨(蛟峯方氏) - 방봉신(方逢辰)
중국 송(宋) 이종(理宗)~도종(度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방봉진(方逢振)의 형으로, 《교봉선생문집(蛟峰先生文集)》을 저술함.
1221~129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