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교사(郊祀) - 교제(郊祭)
중국 주(周) 나라 때부터 천자(天子)가 천지(天地)에 지내는 국가 제사. 동지(冬至)에 남쪽 교외(郊外)로 나가 하늘에 제사지내고, 하지(夏至)에 북쪽 교외로 나가 땅에 제사지냄.
중국>주 , 중국 , 법제>의례>국가의례
-
교산(喬山) - 교산(橋山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중부현(中部縣) 서북방에 있는 산 이름. 황제(黃帝)를 장사지낸 곳이라고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교산(蛟山) - 허균(許筠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. 본관은 양천(陽川)으로, 유성룡(柳成龍)ㆍ이달(李達)의 문인. 이이첨(李爾瞻)과 결탁하여 폐모론(廢母論)을 주장하였으며,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.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,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《홍길동전(洪吉童傳)》을 씀.
1569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교산노부(橋山老夫) - 송시열(宋時烈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은진(恩津). 이이(李珥)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(畿湖學派)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(朱子學)의 대가로, 기해예송(己亥禮訟) 때 남인(南人)과 대립하고, 후에 노론(老論)의 영수(領袖)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(賜死)됨.
1607~168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교서감(校書監) - 교서관(校書館)
조선시대 삼관(三館)의 하나로, 태조(太祖) 때 설치되어 경적(經籍)의 인쇄ㆍ반포와 향축(香祝)ㆍ인전(印篆)을 담당하던 관청.
1392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관청
-
교성군(交城君) - 노공필(盧公弼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노사신(盧思愼)의 장남. 명(明)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(承襲)을 승인 받아 귀국함.
1445~151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교수(喬叟) - 박대년(朴大年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판서를 지낸 박중림(朴仲林)의 아들로, 여러 형제들과 함께 단종(端宗) 복위운동을 하다가 대역죄로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교여(僑如) - 숙손교여(叔孫僑如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선공(宣公)의 부인인 목강(繆姜)과 통정(通情)하고 나라를 혼란하게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교연(皎然) - 이교연(李皎然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선(李旋)의 아들로,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.
1413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교옹(郊翁) - 송찬(宋贊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천(鎭川)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고, 진위사(陳慰使)와 진하사(進賀使)로 두 차례에 걸쳐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
1510~160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교원달(喬元達) - 교지명(喬智明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. 현령(縣令)으로 선정(善政)을 베풀어 고을 백성으로부터 신군(神君)이라는 칭송을 받음. 혜제(惠帝)가 업(鄴)을 정벌할 때 자신의 계략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(趙) 나라로 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교은(郊隱) - 정이오(鄭以吾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신중(鄭臣重)의 아들로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 등과 교유하고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지냈으며, 《태조실록(太祖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347~14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교익(喬翼) - 이교익(李喬翼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1858년(철종 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(工曹判書)ㆍ협판내무부사(協辦內務府事) 등을 지냄.
1830~189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교장(敎藏) - 고려대장경(高麗大藏經)
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(經)ㆍ율(律)에 대한 논(論)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(經典)의 총칭. 《초조대장경(初雕大藏經)》ㆍ《교장(敎藏)》ㆍ《재조대장경(再雕大藏經)》 등이 판각됨.
한국>고려시대 , 문헌>서명
-
교진(喬晉) - 왕자교(王子喬)
중국 주(周) 나라 영왕(靈王)의 태자. 이름은 진(晉)으로, 직간(直諫)을 하다가 폐세자(廢世子)가 되어 구씨산(緱氏山)에 들어가 신선(神仙)이 되었다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교하(交河)@홍인지 - 홍인지(洪仁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홍덕연(洪德演)의 둘째 아들로, 1546년(명종 1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좌랑(佐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교헌(僑軒) - 채무적(蔡無敵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전생서 참봉(典牲署參奉) 채윤권(蔡胤權)의 아들로, 무주 현감(茂朱縣監)을 지냄.
1500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䪷) - 유구(柳䪷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무신ㆍ공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좌찬성(左贊成) 유근(柳根)의 손자이며 구굉(具宏)의 사위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
1597~16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구(久) - 이구(李久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자견(李自堅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구(坵) - 김구(金坵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시문(詩文)에 능하여 원(元) 나라에 다녀온 후 《북정록(北征錄)》을 지었으며, 《고종실록(高宗實錄)》편찬에도 참여함.
1211~127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