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(昫) - 허구(許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군자감 부봉사(軍資監副奉事) 허한(許澣)의 아들이며, 초당(草堂) 허엽(許曄)의 형이자 창성군(昌城君) 성율(成栗)의 사위로, 종사랑(從仕郞)에 오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구(枸) - 송구(宋枸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여산(礪山). 생원(生員) 송호지(宋好智)의 아들이며, 사성(司成) 송승희(宋承禧)의 아버지로, 1534년(중종 2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구(構)@심구 - 심구(沈構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심붕서(沈鵬瑞)의 아들이며, 심상점(沈尙漸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구(構) - 이구(李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세준(李世俊)의 아들로, 관직에 진출하여 선정(善政)을 베풀기 위해 노력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인해 파직된 후 낙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씀.
1484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玖) - 이구(李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종친. 의신군(義信君) 이비(李備)의 아들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청(淸) 나라에서 왕자를 볼모로 요구하자, 왕자 대신 볼모가 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구(玽)@1335 - 유구(柳玽)@1335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양(晉陽). 조선 건국 후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진천군(晉川君)에 봉해졌으며, 예문춘추관 태학사(藝文春秋館太學士)를 지냄.
1335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玽)@고려후기 - 유구(柳玽)@고려후기
고려 말의 충신. 조선의 개창에 반대해 두문동(杜門洞)에서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바치며 지조를 지킨 72명의 고려 유신(遺臣) 가운데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球)@임구 - 임구(任球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풍산군(豊山君) 임덕유(任德裕)의 아들로, 첨지문하부사(僉知門下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球)@정계증의아들 - 정구(鄭球)@정계증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의학 교수(醫學敎授) 정계증(鄭繼曾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에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구(球)@정유의의아들 - 정구(鄭球)@정유의의아들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무안 현감(務安縣監) 정유의(鄭有義)의 아들로, 예문관 검열(藝文館檢閱)ㆍ사간(司諫)을 지냄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칭병(稱病)하고 두문불출함.
149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球) - 이구(李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종친ㆍ학자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증손으로, 서경덕(徐敬德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(主氣說)을 계승하여 발전시킴.
?~157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왕실>종친
-
구(球)@민구 - 민구(閔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1533년(중종 28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연안 부사(延安府使)를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璆) - 임영대군(臨瀛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. 무예와 의론(議論)에 뛰어나 세종 때 총통(銃筒) 제작을 감독하고, 문종(文宗) 때 화차(火車)를 제작하였으며, 세조(世祖)를 잘 보좌하여 신임을 받음.
1418~146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구(矩) - 정구(鄭矩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감찰대부(監察大夫) 정양생(鄭良生)의 아들로, 참지의정부사(參知議政府事)ㆍ의정부 찬성(議政府贊成)을 지냄.
1350~141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絿) - 김구(金絿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. 본관은 광산(光山).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(安平大君) 이용(李瑢)ㆍ양사언(楊士彦)ㆍ한호(韓濩)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.
1488~153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예산ㅣ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(耈) - 이구(李耈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손자이자, 경양도정(景陽都正) 이수환(李壽環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구(耉) - 윤구(尹耉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윤희성(尹希聖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구(衢) - 윤구(尹衢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覯) - 안구(安覯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안보문(安普文)의 아들이자 안증(安嶒)의 아버지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청도 군수(淸道郡守)와 사간(司諫) 등을 지냄.
1458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(逑) - 정구(鄭逑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임해군 옥사(臨海君獄事) 때 관련 인물의 석방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린 뒤 고향으로 돌아감. 경서(經書)ㆍ의학ㆍ천문ㆍ지리 등에 통달하고 특히 예학(禮學)에 뛰어남.
1543~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