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나의소(羅宜素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1624년(인조 2)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(禮曹正郞) 등을 지냄.
158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익(羅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정(安定). 김안로(金安老)를 비방하는 방서(榜書)를 사초에 써두었다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죽음을 당함.
1507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익희(羅益禧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무신. 충선왕(忠宣王)이 신법을 제정할 때 반대하다가 면직되었으나 10년 뒤 상의평리(商議評理)에 올라 금성군(錦城君)에 봉해짐.
?~134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나잔자(懶殘子)
고려 후기의 승려.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에 복리군(福利君)에 봉해진 나잔자(懶殘子)를 축하하는 내용의 시(詩)가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나재집(懶齋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 채수(蔡壽)의 시문집. 1568년(선조 1) 채유린(蔡有隣)이 편집ㆍ간행함. 〈홍문관예문관합사상소(弘文館藝文館合司上疏)〉는 임사홍(任士洪)의 비행을 직언ㆍ탄핵하여 축출한 글.
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칠원 , 문헌>서명
-
나전(羅恮)
조선 명종(明宗)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로, 나윤명(羅允明)의 아들. 1555년(명종 10) 식년시(式年試) 병과(丙科)에 급제하여, 병조 좌랑(兵曹佐郞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1526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정(蘿井)
경상북도 경주(慶州) 금오산(金鰲山) 기슭에 있는 우물. 진한(辰韓)의 촌장이 나정(蘿井) 곁에서 큰 알을 얻었는데 그 알에서 나온 아이가 박혁거세가 되었다는 탄강전설(誕降傳說)이 깃든 곳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유적>기타유적
-
나제통문(羅濟通門)
전라북도 무주(茂朱)에 있는 석굴(石窟)로 된 문. 삼국시대에 백제와 신라의 경계였으며, 부근에 그것과 관계된 유적지나 전설이 많음.
한국>신라 , 전라도>무주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나종손(羅終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중종(中宗) 때 식년시(式年試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한 나흥(羅興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나종언(羅從彦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양시(楊時)에게서 이정(二程)의 학문을 배우고, 이동(李侗)에게 전하여 주희(朱熹)에 이르렀으므로, 양시(楊時)ㆍ이동(李侗)과 함께 '남검삼선생(南劍三先生)'으로 불림.
1072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나주(羅州)
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후백제(後百濟)를 세운 견훤(甄萱)의 본거지였고, 고려 때에는 거란(契丹)의 침입 당시 현종(顯宗)의 피난처였음.
전라도>나주 , 지명>행정지명
-
나주나씨(羅州羅氏)
중국 예장(豫章)에서 동래(東來)하여 고려 때 감문위 상장군(監門衛上將軍)을 지낸 나부(羅富)를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집단>성씨
-
나주정씨(羅州丁氏)
중국 당(唐) 나라 대상(大相)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(丁德盛)을 도시조(都始祖)로 삼고, 고려 때 검교대장군(檢校大將軍)을 지낸 정윤종(丁允宗)을 중시조(中始祖)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집단>성씨
-
나중우(羅仲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금양군(錦陽君) 나석(羅碩)의 아들. 조선이 건국되자 김제(金提)로 낙향하여 벼슬길에 나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진충(羅盡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나승중(羅承重)의 아버지로 귀후서 별제(歸厚署別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질(羅晊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사섬시 정(司贍寺正)을 지낸 나사선(羅士愃)의 아버지로, 감찰(監察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나천서(羅天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이성계(李成桂)가 요동을 정벌하고 귀환할 때 아사지경(餓死之境)에 이른 군사를 생환시킨 공으로 안정백(安定伯)에 봉해짐. 안정나씨(安定羅氏)의 시조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무신
-
나총례(羅聰禮)
고려 태조(太祖)~정종(定宗) 때의 무신. 삼한벽상일등공신(三韓壁上一等功臣)의 호를 받고 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에 봉해짐. 금성나씨(錦城羅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나효종(羅孝宗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1566년(명종 21) 별시(別試) 병과(丙科)에 급제한 나신국(羅藎國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나휘(羅暉)
중국 후한(後漢)의 서예가. 서법(書法)의 명가(名家)로 명필(名筆) 조습(趙襲)과 이름을 나란히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