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령(九齡)@성구령 - 성구령(成九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방언(成邦彥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구령(九齡)@육구령 - 육구령(陸九齡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아우 육구연(陸九淵)과 더불어 서로 사우(師友)가 되어 아호(鵝湖)에서 강학하면서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졌으며, 전주 교수(全州敎授) 등을 역임함.
1132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령(九齡)@장구령 - 장구령(張九齡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재상ㆍ문인. 장열(張說)의 추천을 받아 중서시랑(中書侍郞)을 거쳐 재상이 되어 민생안정을 꾀하고, 국경지대 방비를 튼튼히 하여 태평천하를 이룩했으나 이임보(李林甫)의 모략으로 파직됨.
673~74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구령(九齡) - 연구령(延九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김정(金淨)의 《충암집(冲庵集》에 그와 주고받은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구령(九齡)@이구령 - 이구령(李九齡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계준(李繼俊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구령(緱嶺) - 구산(緱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에 있는 산 이름. 중국 주(周)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(王子喬)가 이곳에서 백학(白鶴)을 타고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고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구령(龜齡) - 왕십붕(王十朋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시인ㆍ문신. 주희(朱熹)ㆍ왕응신(汪應辰) 등의 학자들과 교유했으며, 소동파(蘇東坡)의 시(詩)를 집주(集註)한 《집주분류동파선생시(集註分類東坡先生詩)》로 유명함.
1112~117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구례(求禮)@송정순 - 송정순(宋庭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평(新平). 유희춘(柳希春)과 경사(經史)를 강론(講論)하고 송징(宋徵) 등의 문하생을 배출하였으며, 동복(同福)에 물염정(勿染亭)을 짓고 그곳에서 여생을 마침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동복ㅣ전라도>담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로(龜老)@하희서 - 하희서(河希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황간 현감(黃澗縣監)을 지낸 하형(河瀅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과 교유함.
?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구로(龜老)@이지번 - 이지번(李之蕃)@이산해의아버지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산해(李山海)의 아버지이며, 이지함(李之菡)의 형. 명종(明宗)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(丹陽)의 구담(龜潭)에 은거함.
?~157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로(龜老) - 송익필(宋翼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(禮學)에 통달하였고,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(宣祖代)의 팔문장(八文章)으로 불렸으며, 김장생(金長生)ㆍ김집(金集)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.
1534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
-
구로주인(鷗鷺主人)@이총 - 이총(李摠)
조선 전기의 종친. 우산군(牛山君) 이종(李踵)의 아들이며, 남효온(南孝溫)의 사위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구로주인(鷗鷺主人) - 안응세(安應世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죽산(竹山)으로, 단양군수(丹陽郡守)를 지낸 안중담(安仲聃)의 아들. 남효온(南孝溫)ㆍ김시습(金時習) 등과 교유하고 악부(樂府)에 뛰어났으나, 26세의 나이에 요절함.
1455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로지인(鷗鷺至人) - 안응세(安應世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죽산(竹山)으로, 단양군수(丹陽郡守)를 지낸 안중담(安仲聃)의 아들. 남효온(南孝溫)ㆍ김시습(金時習) 등과 교유하고 악부(樂府)에 뛰어났으나, 26세의 나이에 요절함.
1455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룡산(九龍山) - 성거산(聖居山)
충청도 천안 북면에 걸쳐 있는 산 이름. 왕건이 이 산을 보고 성거산이라고 부르고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짐.
충청도>천안 , 지명>자연지명
-
구루(句漏) - 갈홍(葛洪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ㆍ도사. 정은(鄭隱)에게 선도(仙道)를 배움. 관내후(關內侯)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(羅浮山)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(煉丹)에 전념함. 저서에 《포박자(抱朴子)》ㆍ《신선전(神仙傳)》이 있음.
283~343?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구루령(句漏令) - 갈홍(葛洪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ㆍ도사. 정은(鄭隱)에게 선도(仙道)를 배움. 관내후(關內侯)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(羅浮山)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(煉丹)에 전념함. 저서에 《포박자(抱朴子)》ㆍ《신선전(神仙傳)》이 있음.
283~343?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구륙성(九六城) - 낙양(洛陽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의 낙수(洛水)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. 주(周)ㆍ후한(後漢)ㆍ삼국(三國) 등의 고도(古都)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구마라기바(拘摩羅耆婆) - 구마라습(鳩摩羅什)
인도의 승려.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(小乘敎)와 대승교(大乘敎), 율(律)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(龜玆國)에서 포교활동을 함. 《묘법연화경(妙法蓮華經)》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,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(三論宗)의 조사(祖師)로 칭함.
344~413 중국>남북조시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구마라시바(鳩摩羅時婆) - 구마라습(鳩摩羅什)
인도의 승려.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(小乘敎)와 대승교(大乘敎), 율(律)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(龜玆國)에서 포교활동을 함. 《묘법연화경(妙法蓮華經)》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,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(三論宗)의 조사(祖師)로 칭함.
344~413 중국>남북조시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