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봉산(九峰山) - 속리산(俗離山)
충청도 보은(報恩)ㆍ괴산(槐山), 경상도 상주(尙州)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.
충청도>보은ㅣ경상도>상주 , 지명>자연지명
-
구봉산인(九峯山人) - 강흔수(姜欣壽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의정부 좌찬성(議政府左贊成) 강희맹(姜希孟)의 손자. 1510년(중종 5) 선공감(繕工監)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전라도 영광(靈光)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냄.
1491~15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봉선생(九峯先生) - 채침(蔡沈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채원정(蔡元定)의 아들이며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구봉(九峯)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,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《서경집전(書經集傳)》을 완성함.
1167~123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봉채씨(九峯蔡氏) - 채침(蔡沈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채원정(蔡元定)의 아들이며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구봉(九峯)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,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《서경집전(書經集傳)》을 완성함.
1167~123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부(丘夫) - 소수림왕(小獸林王)
고구려의 제17대 왕. 재위 371~384. 고국원왕(故國原王)의 아들. 전진(前秦)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고, 불교 수용ㆍ태학(太學) 설립ㆍ율령(律令) 반포 등을 통하여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으며, 백제의 수곡성(水谷城)을 침공하여 견제함.
?~384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구부(懼夫)@황희 - 황희(黃喜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18년간 영의정(領議政)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, 예법의 개정, 서얼(庶孼)의 천역(賤役)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(世宗)에게 신임을 받고,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.
1376~145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부(懼夫)@윤변 - 윤변(尹忭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버지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. 삼척 부사(三陟府使) 등을 지냄.
1493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구부(懼夫) - 송천희(宋千喜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경상도 관찰사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역임하였고, 중종 때 하성절사(賀聖節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
?~152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사(九思) - 왕구사(王九思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주창한 ‘칠재자(七才子)’ 중의 한 사람으로, 사곡(詞曲)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(吏部郞中) 등을 지냄.
1468~155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사(龜舍) - 구암정사(龜巖精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구암(龜巖) 이정(李楨)이 경상도 사천(泗川)에 지은 건물 이름. 이정이 낙향하여 후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, 동재(東齋)는 거경재(居敬齋), 서재(西齋)는 명의재(明義齋)라 이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사천 , 유적>건물>사제
-
구사조단국(臼斯鳥旦國) - 김제(金堤)
전라북도 서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김제와 만경평야를 끼고 있는 제1의 곡창지대로 삼한(三韓)시대부터 한국 농경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함.
전라도>김제 , 지명>행정지명
-
구산(龜山)@변벽 - 변벽(卞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밀양(密陽). 변중량(卞仲良)의 5대손으로,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성리학(性理學) 연구에 평생을 바침.
1483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
-
구산(龜山)@양시 - 양시(楊時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이정(二程)의 학설을 화중(華中)ㆍ화남(華南)으로 퍼뜨려서, 남송(南宋)의 주희(朱熹)와 장식(張栻)에게 계승하게 됨.
1053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산(龜山) - 의흥(義興)
경상도 북쪽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의 경상북도 군위군(軍威郡)에 해당함.
경상도>의흥 , 지명>행정지명
-
구산(龜山) - 윤탁(尹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훈련원 부정(訓練院副正)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박사겸(朴思謙) 등과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웠으나, 진주(晉州)에서 김천일(金千鎰) 등과 함께 전사함.
1554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구산객(緱山客) - 왕자교(王子喬)
중국 주(周) 나라 영왕(靈王)의 태자. 이름은 진(晉)으로, 직간(直諫)을 하다가 폐세자(廢世子)가 되어 구씨산(緱氏山)에 들어가 신선(神仙)이 되었다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구산공자(緱山公子) - 왕자교(王子喬)
중국 주(周) 나라 영왕(靈王)의 태자. 이름은 진(晉)으로, 직간(直諫)을 하다가 폐세자(廢世子)가 되어 구씨산(緱氏山)에 들어가 신선(神仙)이 되었다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구산백(緱山白) - 왕자교(王子喬)
중국 주(周) 나라 영왕(靈王)의 태자. 이름은 진(晉)으로, 직간(直諫)을 하다가 폐세자(廢世子)가 되어 구씨산(緱氏山)에 들어가 신선(神仙)이 되었다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구산사(龜山祠) - 구계서원(龜溪書院)@사천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사천에 세운 서원. 명종(明宗) 때의 학자인 구암(龜巖) 이정(李楨)을 기리기 위하여 1606년(선조 39)에 세운 서원. 1676년(숙종 2)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, 경내에는 김덕함(金德諴)의 기적비(紀蹟碑)가 있음.
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사천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구산사(龜山祠)@구산서원 - 구산서원(龜山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전라도 담양(潭陽)에 건립한 서원. 1704년(숙종 30) 송순(宋純)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.
17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담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