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산서원(龜山書院)@구강서원 - 구강서원(龜江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도 영천(榮川)에 건립한 서원. 조선 전기의 문신ㆍ천문학자인 김담(金淡)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, 김륵(金玏) 등을 배향함.
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구산선생(緱山先生) - 이유(李籲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정호(程顥)와 정이(程頤)의 제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산양씨(龜山楊氏) - 양시(楊時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이정(二程)의 학설을 화중(華中)ㆍ화남(華南)으로 퍼뜨려서, 남송(南宋)의 주희(朱熹)와 장식(張栻)에게 계승하게 됨.
1053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산정사(龜山精舍) - 구강서원(龜江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도 영천(榮川)에 건립한 서원. 조선 전기의 문신ㆍ천문학자인 김담(金淡)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, 김륵(金玏) 등을 배향함.
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구상(九祥) - 변구상(卞九祥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우부승지(右副承旨) 변중량(卞仲良)의 아들. 시(詩)에 뛰어나 변시마(卞詩魔)로 일컬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서백(具恕伯) - 구충연(具忠淵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구징(具徵)의 아들로 도사(都事)ㆍ첨정(僉正)을 지냄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선(龜仙) - 이지번(李之蕃)@이산해의아버지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산해(李山海)의 아버지이며, 이지함(李之菡)의 형. 명종(明宗)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(丹陽)의 구담(龜潭)에 은거함.
?~157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성(九成)@김구성 - 김구성(金九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개성(開城)으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면앙정(俛仰亭) 송순(宋純)과 함께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성(九成) - 장구성(張九成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예부 시랑(禮部侍郞)을 지냈으나 진회(秦檜)에게 거슬려 파직당함. 종고(宗杲)의 가르침을 받아 깨우침을 얻고, 종지(宗旨)를 보는 눈이 분명하다는 평을 얻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성(駒城) - 용인(龍仁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(明堂)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,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(陽智)ㆍ죽산(竹山)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.
경기도>용인 , 지명>행정지명
-
구성(龜城)@榮川 - 영천(榮川)@경상도
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 안동(安東), 서쪽으로 풍기(豐基)와 접해 있음. 현재는 영주시(榮州市)에 속함.
경상도>영천(榮川) , 지명>행정지명
-
구성(龜城)@동복 - 동복(同福)
전라도 화순(和順)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.
전라도>화순 , 지명>행정지명
-
구성(龜城) - 칠원(漆原)
경상남도 함안(咸安)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칠원 , 지명>행정지명
-
구성(龜城) - 의흥(義興)
경상도 북쪽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의 경상북도 군위군(軍威郡)에 해당함.
경상도>의흥 , 지명>행정지명
-
구성군(駒城君) - 이중인(李中仁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. 이성계(李成桂)의 역성혁명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고, 조선 개국 후에는 머리를 풀고 산속에 들어가 은둔하여 절개를 지킴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성군(龜城君)@이첨 - 이첨(李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이종린(李宗麟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세자(世子)를 호종한 공으로 구성군(龜城君)이 됨.
1553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구성군(龜城君) - 이준(李浚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 둘째 아들로, 이시애(李施愛)의 난과 남이(南怡)의 옥사 때 공을 세워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성종(成宗)을 몰아내려 한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영해(寧海)에 유배되어 죽음.
1441~147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구성궁명(九成宮銘) - 구성궁예천명(九成宮醴泉銘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 섬서성(陝西省) 구성궁(九成宮)에 세운 비석. 위징(魏徵)이 짓고 구양순(歐陽詢)이 쓴 것으로, 정원의 단 샘물이 솟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.
632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구성도정(龜城都正) - 이첨(李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이종린(李宗麟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세자(世子)를 호종한 공으로 구성군(龜城君)이 됨.
1553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구성백(駒城伯) - 이길권(李吉卷)
고려 전기의 무신. 용인이씨(龍仁李氏)의 시조. 고려 태조(太祖)를 도와 삼한통일(三韓統一)에 공을 세우고, 태조의 여동생과 혼인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가 되었다고 함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