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송안(具松顔) - 구찬록(具贊祿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퇴계(退溪)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. 벼슬은 감정(監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수(求水) - 하구수(河求水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예조 정랑(禮曹正郞) 하응림(河應臨)의 생부이며 목사(牧使) 하억수(河億水)의 종제(從弟)로, 북부 참봉(北部參奉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수(龜叟) - 박인년(朴引年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집현전 교리(集賢殿校理) 등을 지냈으나,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수(龜叟)@이정 - 이정(李楨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어려서는 규암(圭菴) 송인수(宋麟壽)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함.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(泗川)에 구암정사(龜巖精舍)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.
1512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수재(具睡齋) - 구수복(具壽福)
조선 중종(中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, 후에 구례 현감(求禮縣監) 등을 역임함. 김정(金淨)과 도의(道義)로써 사귀고, 경학(經學)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491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숙(久叔) - 안처함(安處諴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수찬(修撰)ㆍ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역임하였으며, 형 안처겸(安處謙)이 남곤(南袞)ㆍ심정(沈貞)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처형당할 때 처가인 용인(龍仁)으로 낙향하여 죽음을 면하였음.
1488~154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승통(丘僧統) - 설봉(雪峯)@고려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우가(右街)에 소속되어 있었으며, 운곡(耘谷) 원천석(元天錫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구시중(具時仲) - 구변(具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으로 춘추관 기사관(春秋館記事官)이 되어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2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심암(丘深菴) - 구준(丘濬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(典例)와 고사(故事)에 정통함. 《영종실록(英宗實錄)》ㆍ《헌종실록(憲宗實錄)》을 편찬하고 《대학연의보(大學衍義補)》를 저술함.
1420~149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씨산(緱氏山) - 구산(緱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에 있는 산 이름. 중국 주(周)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(王子喬)가 이곳에서 백학(白鶴)을 타고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고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구아(龜兒) - 강귀손(姜龜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강희맹(姜希孟)의 아들.
1450~150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악리(驅鰐吏) - 한유(韓愈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, 유종원(柳宗元) 등과 함께 고문 운동(古文運動)을 창도하였으며, 송대 이후의 도학(道學)의 선구자가 됨.
768~82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암(久庵)@한백겸 - 한백겸(韓百謙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, 한효윤(韓孝胤)의 아들이며,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역학(易學)에 밝아 《주역전의(周易傳義)》를 교정하였고, 《동국지리지(東國地理志)》를 저술하여 실학(實學)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.
1552~1615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암(久庵) - 김취문(金就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광좌(金匡佐)의 아들로, 형 취성(就成)과 함께 박영(朴英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 됨.
1509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암(久菴)@한백겸 - 한백겸(韓百謙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, 한효윤(韓孝胤)의 아들이며,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역학(易學)에 밝아 《주역전의(周易傳義)》를 교정하였고, 《동국지리지(東國地理志)》를 저술하여 실학(實學)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.
1552~1615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암(久菴)@이숭경 - 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구암(久菴) - 김취문(金就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광좌(金匡佐)의 아들로, 형 취성(就成)과 함께 박영(朴英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 됨.
1509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암(久菴)@윤봉구 - 윤봉구(尹鳳九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(門人). ‘강문팔학사(江門八學士)’의 한 사람으로, 호락논쟁(湖洛論爭)에서 호론(湖論)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,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.
1681~176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암(懼庵) - 우복룡(禹伏龍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(龍宮縣監)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(安東府使)로 승진하였으며, 홍주 목사(洪州牧使)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.
1547~161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암(龜巖)@고경조 - 고경조(高敬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흥(長興)으로, 해미 현감(海美縣監)ㆍ임천 군수(林川郡守) 등을 지냄.
1528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