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오(句吳) - 오(吳)@춘추전국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나라 중 하나. 주(周) 문왕(文王)의 백부(伯父)인 태백(太伯)이 세웠다고 전해지며, B.C.473년에 월(越) 나라에 멸망함.
?~B.C.473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구옹(龜翁) - 송익필(宋翼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(禮學)에 통달하였고,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(宣祖代)의 팔문장(八文章)으로 불렸으며, 김장생(金長生)ㆍ김집(金集)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.
1534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
-
구옹(龜翁)@이지번 - 이지번(李之蕃)@이산해의아버지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산해(李山海)의 아버지이며, 이지함(李之菡)의 형. 명종(明宗)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(丹陽)의 구담(龜潭)에 은거함.
?~157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옹(龜翁)@이정 - 이정(李楨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어려서는 규암(圭菴) 송인수(宋麟壽)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함.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(泗川)에 구암정사(龜巖精舍)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.
1512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와(龜窩) - 김굉(金㙆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상정(李象靖)의 문인(門人)으로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냄. 문학에 남달리 뛰어났고 필법이 높아 능히 한 체제를 이룰 만하였음.
1739~18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요(咎繇) - 고요(皐陶)
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의 신하. 법리(法理)에 밝아서 형벌을 제정하고 옥간(獄間)을 만들었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구용(九容) - 김구용(金九容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우왕 때 삼사 좌윤(三司左尹)으로 이숭인(李崇仁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북원(北元)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(竹州)로 귀양 감. 사장(詞章)에 뛰어나고, 특히 시(詩)로 유명함.
1338~138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용산(具龍山) - 구찬록(具贊祿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퇴계(退溪)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. 벼슬은 감정(監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원(九畹) - 굴원(屈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ㆍ시인.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)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(政敵)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(汨羅水)에 투신하여 죽음.
B.C.343~B.C.27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
-
구원(龜遠) - 민구령(閔九齡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처사(處士)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구소(閔九韶)ㆍ민구연(閔九淵)ㆍ민구주(閔九疇)ㆍ민구서(閔九叙) 등 다섯 형제가 사화(士禍)로 벼슬길을 포기하고, 학행(學行)으로 이름을 떨침. 형제간의 우애가 깊어 기거를 같이 했으며, 점필재(佔畢齋)의 문하에서 배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
-
구원유(具元裕) - 구성(具宬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이자 원종(元宗)의 비(妃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오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을 호종하고,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58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위(具偉) - 구위(具褘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판의금부사(判義禁府事)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(門下政丞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을(丘乙) - 혼구(混丘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승려. 일연(一然)의 제자로, 충숙왕 때 왕사(王師)가 되었으며 《가송잡저(歌頌雜著)》 등을 저술함.
1251~132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구의(丘儀) - 가례의절(家禮儀節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(丘濬)이 편찬한 책. 주희(朱憙)의 《가례(家禮)》에 대한 해설서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구의(具禕) - 구위(具褘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판의금부사(判義禁府事)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(門下政丞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의봉(九疑峯) - 구의산(九疑山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영원현(寧遠縣) 남쪽에 있는 산 이름. 구봉(九峯)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. 순(舜)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구의헌(九宜軒) - 권열(權挒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시(權偲)의 아들. 1465년(세조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무안 현감(務安縣監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신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이(久而) - 유여항(柳汝恒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참찬(參贊) 유간(柳澗)의 아들.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이괄(李适)의 난(亂) 후 고문으로 죽음.
1581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이(懼而) - 양희(梁喜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노정(盧禎)ㆍ이후백(李後白)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(嶺南)의 삼걸(三傑)이라 일컬어짐.
1515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익부인(鉤弋夫人) - 구익부인(勾弋夫人)
중국 전한(前漢)의 황제 소제(昭帝)의 어머니. 무제(武帝)의 후궁으로 외척의 발호를 염려한 무제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고 함. 소제 즉위 후 효소태후(孝昭太后)에 추존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