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원(龜遠) - 민구령(閔九齡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처사(處士)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구소(閔九韶)ㆍ민구연(閔九淵)ㆍ민구주(閔九疇)ㆍ민구서(閔九叙) 등 다섯 형제가 사화(士禍)로 벼슬길을 포기하고, 학행(學行)으로 이름을 떨침. 형제간의 우애가 깊어 기거를 같이 했으며, 점필재(佔畢齋)의 문하에서 배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
-
구원유(具元裕) - 구성(具宬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이자 원종(元宗)의 비(妃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오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을 호종하고,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58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위(具偉) - 구위(具褘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판의금부사(判義禁府事)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(門下政丞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을(丘乙) - 혼구(混丘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승려. 일연(一然)의 제자로, 충숙왕 때 왕사(王師)가 되었으며 《가송잡저(歌頌雜著)》 등을 저술함.
1251~132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구의(丘儀) - 가례의절(家禮儀節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(丘濬)이 편찬한 책. 주희(朱憙)의 《가례(家禮)》에 대한 해설서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구의(具禕) - 구위(具褘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판의금부사(判義禁府事)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(門下政丞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의봉(九疑峯) - 구의산(九疑山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영원현(寧遠縣) 남쪽에 있는 산 이름. 구봉(九峯)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. 순(舜)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구의헌(九宜軒) - 권열(權挒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시(權偲)의 아들. 1465년(세조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무안 현감(務安縣監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신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이(久而) - 유여항(柳汝恒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참찬(參贊) 유간(柳澗)의 아들.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이괄(李适)의 난(亂) 후 고문으로 죽음.
1581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이(懼而) - 양희(梁喜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노정(盧禎)ㆍ이후백(李後白)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(嶺南)의 삼걸(三傑)이라 일컬어짐.
1515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익부인(鉤弋夫人) - 구익부인(勾弋夫人)
중국 전한(前漢)의 황제 소제(昭帝)의 어머니. 무제(武帝)의 후궁으로 외척의 발호를 염려한 무제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고 함. 소제 즉위 후 효소태후(孝昭太后)에 추존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
-
구인(求仁) - 양우(梁祐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양준(梁俊)의 아들이며, 대방군(帶方君) 양천룡(梁天龍)의 아버지. 판도 판서(版圖判書)로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을 겸하였으나,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함.
1306~139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인(求仁)@이구인 - 이구인(李求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으로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종부시 첨정(宗簿寺僉正) 등을 지냄.
1524~156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인보(具仁甫) - 구굉(具宏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이자 원종(元宗)의 비(妃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오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으로 능성부원군(綾城府院君)에 봉해짐.
1577~164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구인재(求仁齋) - 강정우(姜貞祐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시중(侍中)을 역임하였음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자운(具子雲) - 구엄(具渰)
조선 전기의 유학. 호음(湖陰) 정사룡(鄭士龍)과 망년(忘年)의 지기(知己)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장장원(九場壯元) - 이이(李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중앙관서의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,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(坡州)로 낙향함.
1536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파주ㅣ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재(懼齋) - 진보(陳普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일찍이 주희(朱熹)의 〈무이도가(武夷櫂歌)〉에 주해(註解)를 붙여 이 시를 조도(造道)의 순서에 따라 무리하게 해석한 바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재진씨(懼齋陳氏) - 진보(陳普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일찍이 주희(朱熹)의 〈무이도가(武夷櫂歌)〉에 주해(註解)를 붙여 이 시를 조도(造道)의 순서에 따라 무리하게 해석한 바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전(苟全) - 김중청(金中淸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몽호(金夢虎)의 아들. 박승임(朴承任)ㆍ조목(趙穆)ㆍ정구(鄭逑)의 문인. 정언(正言)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(李元翼)을 탄핵하라는 대북파(大北派) 정인홍(鄭仁弘)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.
1567~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