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인(求仁) - 양우(梁祐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양준(梁俊)의 아들이며, 대방군(帶方君) 양천룡(梁天龍)의 아버지. 판도 판서(版圖判書)로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을 겸하였으나,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함.
1306~139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인(求仁)@이구인 - 이구인(李求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으로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종부시 첨정(宗簿寺僉正) 등을 지냄.
1524~156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인보(具仁甫) - 구굉(具宏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이자 원종(元宗)의 비(妃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오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으로 능성부원군(綾城府院君)에 봉해짐.
1577~164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구인재(求仁齋) - 강정우(姜貞祐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시중(侍中)을 역임하였음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자운(具子雲) - 구엄(具渰)
조선 전기의 유학. 호음(湖陰) 정사룡(鄭士龍)과 망년(忘年)의 지기(知己)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장장원(九場壯元) - 이이(李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중앙관서의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,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(坡州)로 낙향함.
1536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파주ㅣ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재(懼齋) - 진보(陳普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일찍이 주희(朱熹)의 〈무이도가(武夷櫂歌)〉에 주해(註解)를 붙여 이 시를 조도(造道)의 순서에 따라 무리하게 해석한 바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재진씨(懼齋陳氏) - 진보(陳普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일찍이 주희(朱熹)의 〈무이도가(武夷櫂歌)〉에 주해(註解)를 붙여 이 시를 조도(造道)의 순서에 따라 무리하게 해석한 바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구전(苟全) - 김중청(金中淸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몽호(金夢虎)의 아들. 박승임(朴承任)ㆍ조목(趙穆)ㆍ정구(鄭逑)의 문인. 정언(正言)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(李元翼)을 탄핵하라는 대북파(大北派) 정인홍(鄭仁弘)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.
1567~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정(具貞) - 구영검(具榮儉)
고려 후기의 문신. 원(元) 나라의 장사성(張士誠)이 난을 일으켰을 때 원나라의 요청으로 유탁(柳濯)ㆍ인당(印當) 등과 함께 출전함. 부인 장씨(張氏)의 외삼촌 김성(金成)의 간교로 누명을 쓰고 참살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정(鷗亭) - 압구정(狎鷗亭)
서울 한강(漢江)의 두모포(豆毛浦) 남쪽 언덕에 세워진 정자. 세조(世祖) 때 한명회(韓明澮)가 세운 정자로, ‘압구정’이란 이름은 그가 명(明) 나라에 사신 가서 한림학사(翰林學士) 예겸(倪謙)에게서 얻어 온 것으로 당시에는 그 정자가 중국에까지 이름이 났었다고 함.
?~18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누정
-
구정(龜亭) - 남재(南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문인(門人). 동생 남은(南誾)과 함께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.
1351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정거사(龜亭居士) - 남재(南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문인(門人). 동생 남은(南誾)과 함께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.
1351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정선생유고(龜亭先生遺稿) - 구정유고(龜亭遺稿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문신 남재(南在)의 문집. 1675년(숙종 1) 후손 남학명(南鶴鳴) 등이 남재의 시장(詩章) 등을 모아 취미집(翠微集)을 작성하였으나 간행하지는 못하였고 1869년(고종 6)에 연보 등을 덧붙여 간행함.
186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구정지(具挺之) - 구수복(具壽福)
조선 중종(中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, 후에 구례 현감(求禮縣監) 등을 역임함. 김정(金淨)과 도의(道義)로써 사귀고, 경학(經學)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491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존재(瞿存齋) - 구우(瞿佑)
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주왕부(周王府) 우장사(右長史)를 지냄.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(文才)가 뛰어나 《전등신화(剪燈新話)》ㆍ《귀전시화(歸田詩話)》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.
1347~142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졸(九拙) - 양희(梁喜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노정(盧禎)ㆍ이후백(李後白)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(嶺南)의 삼걸(三傑)이라 일컬어짐.
1515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졸암(九拙菴) - 양희(梁喜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노정(盧禎)ㆍ이후백(李後白)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(嶺南)의 삼걸(三傑)이라 일컬어짐.
1515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졸재(九拙齋) - 양희(梁喜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노정(盧禎)ㆍ이후백(李後白)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(嶺南)의 삼걸(三傑)이라 일컬어짐.
1515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종길(瞿宗吉) - 구우(瞿佑)
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주왕부(周王府) 우장사(右長史)를 지냄.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(文才)가 뛰어나 《전등신화(剪燈新話)》ㆍ《귀전시화(歸田詩話)》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.
1347~142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