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나흠순(羅欽順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. 왕수인(王守仁)이 쓴 《주자만년정론(朱子晩年定論)》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.
1465~154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나흥(羅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학생(學生) 나종손(羅終孫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나흥유(羅興儒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고사(故事)에 밝아 왕의 총애를 받음. 우왕 때 통신사(通信使)로 일본으로 가 왜구 출몰을 금하도록 요구하다가 간첩 혐의로 구속되었으나, 승려 양유(良柔)의 주선으로 석방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낙^촉(洛^蜀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원우삼당(元祐三黨)에 속하는 낙당(洛黨)과 촉당(蜀黨)을 함께 부르는 말. 정이(程頤)의 낙당은 도덕(道德)을 숭상하고, 소식(蘇軾)의 촉당은 문예(文藝)를 숭상하여 격렬한 정쟁(政爭)을 벌임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낙당(洛黨)@송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원우삼당(元祐三黨)의 하나. 낙양(洛陽) 출신인 정이(程頤)를 영수로 한 당파(黨派)로 도덕(道德)을 숭상하여, 학문의 기초를 달리하는 촉당(蜀黨)ㆍ삭당(朔黨)과 치열한 정쟁(政爭)을 벌임.
108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낙당(洛黨)@조선
조선 인조(仁祖) 때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공을 세운 공서(功西)가 분열되면서 김자점(金自點)을 중심으로 형성된 당파(黨派). 원두표(元斗杓)의 원당(原黨)과 양립하다가 효종(孝宗)의 즉위로 소멸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조직
-
낙도교거집(樂道郊居集)
고려 현종(顯宗) 때 문신인 강감찬(姜邯贊)의 문집. 치사(致仕)하고 나서 성남(城南)의 별서(別墅)에 돌아가 지음. 전해지지 않음.
한국>고려전기 , 문헌>서명
-
낙동강(洛東江)
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(南流)하여 남해(南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
경상도>김해ㅣ강원도>삼척 , 지명>자연지명
-
낙랑공주(樂浪公主)
고려 태조 왕건(王建)의 딸. 고려에 항복한 신라 경순왕(敬順王)의 아내가 되어 의성김씨(義城金氏)의 시조가 되는 김석(金錫)을 낳음. 어머니는 유긍달(柳兢達)의 딸인 신명태후 유씨(神明太后柳氏)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공주
-
낙봉서원(洛峰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경상도 선산(善山)에 건립한 서원. 김숙자(金叔玆)ㆍ김취성(金就成)ㆍ김취문(金就文)ㆍ박운(朴雲)ㆍ고응척(高應陟)을 배향함.
164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낙빈서원(洛濱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대구(大丘)에 건립한 서원. 박팽년(朴彭年)ㆍ성삼문(成三問)ㆍ하위지(河緯地)ㆍ이개(李塏) 등 사육신을 배향함.
167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낙빈왕(駱賓王)
중국 당(唐) 나라 초기의 문신ㆍ시인. 시문(詩文)이 뛰어나 왕발(王勃)ㆍ양형(楊炯)ㆍ노조린(盧照鄰)과 함께 ‘초당사걸(初唐四傑)’로 불림.
640~68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낙빈왕문집(駱賓王文集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낙빈왕(駱賓王)의 시문집. 육조(六朝)의 시풍(詩風)을 계승하면서도 격조가 청려(淸麗)함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낙산(洛山)
강원도 양양(襄陽)에 있는 산 이름. 671년에 의상(義湘)이 창건한 낙산사(洛山寺)가 있음.
강원도>양양 , 지명>자연지명
-
낙산(駱山)
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 이름. 주산(主山)의 좌청룡에 해당하며, 산 모습이 낙타처럼 생겼다 하여 낙타산(駱駝山) 또는 타락산(駝駱山)이라고도 부름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낙산사(洛山寺)
신라 문무왕(文武王) 때 의상(義湘)이 강원도 양양(襄陽) 낙산(洛山)에 창건한 사찰. 3대 관음기도도량(觀音祈禱道場) 중의 하나이자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.
671 한국>신라 , 강원도>양양 , 유적>건물>사찰
-
낙상지(駱尙志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조선의 선봉장(先鋒將)으로 의주를 지켰으며, 용력(勇力)이 뛰어나 천 근(斤)을 들어 낙천근(駱千斤)이라 불렸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낙생역(樂生驛)
경기도 광주(廣州) 남쪽 45리 지점에 있던 역(驛) 이름. 조선 후기 대로(大路) 중의 하나로, 교통상의 요충지였음.
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낙서(洛書)
중국 하(夏) 나라의 우(禹) 임금이 낙수(洛水)에서 얻었다는 글. 낙수에서 나온 신귀(神龜)의 등에 쓰여 있었다 하며, 홍범구주(洪範九疇)의 모태가 됨. 하도(河圖)와 더불어 예언(豫言)이나 수리(數理)의 기본이 됨.
중국>하 , 중국 , 문헌>기타문헌
-
낙성대(落星垈)
고려 현종(顯宗) 때 문신인 강감찬(姜邯贊)의 사당. 강감찬의 출생지로, 그가 출생할 당시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. 현재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하며, 그의 공적을 기리는 삼층 석탑이 있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금천 , 유적>건물>사당