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지(九智) - 김구지(金九智)
조선 전기의 유학. 1456년(세조 2) 단종(端宗) 복위 모의(復位謀議)에 참여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지(九知) - 김구지(金九智)
조선 전기의 유학. 1456년(세조 2) 단종(端宗) 복위 모의(復位謀議)에 참여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직(丘直) - 이구직(李丘直)
고려 말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정간(李貞幹)의 아버지로, 문음(門蔭)으로 관계에 나아가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 조선이 개국하자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 책록되고 호조 전서(戶曹典書) 등을 지냄.
?~139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차례(仇次禮) - 구례(求禮)
전라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. 진주(晉州)ㆍ순천(順天)ㆍ남원(南原)과 접하며, 섬진강(蟾津江) 수로의 종착지임.
전라도>구례 , 지명>행정지명
-
구차례(求次禮) - 구례(求禮)
전라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. 진주(晉州)ㆍ순천(順天)ㆍ남원(南原)과 접하며, 섬진강(蟾津江) 수로의 종착지임.
전라도>구례 , 지명>행정지명
-
구차휴(仇次休) - 구형왕(仇衡王)
금관가야(金官伽倻)의 제10대 왕. 재위 521~532. 신라(新羅)의 귀족 김서현(金舒玄)의 조부. 532년(법흥왕 19)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(上等)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(食邑)으로 받음.
한국>가야ㅣ한국>신라 , 경상도>김해 , 인명>왕실>국왕
-
구천(龜川) - 어효첨(魚孝瞻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종(咸從). 가학(家學)에 영향을 받아 문명(文名)을 날리고 예학(禮學)에 조예가 깊었음.
1405~147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천(龜川)@조철산 - 조철산(趙哲山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옥천(玉川). 조숭문(趙崇文)의 아들로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을 하다가 고신(告身)을 환수당하고 원지에 유배되어 아버지와 함께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천사(歐天使) - 구희직(歐希稷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행인사 행인(行人司行人)으로 태감(太監)인 장조(張朝)와 더불어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제전(祭奠)과 시호(諡號) 및 부의(賻儀)를 전달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천사(龜川祠) - 구천서원(龜川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함양(咸陽)에 건립한 서원. 박맹지(朴孟智)ㆍ표연말(表沿沫)ㆍ양관(梁灌) 등을 배향함.
17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구천원(龜川院) - 구천서원(龜川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함양(咸陽)에 건립한 서원. 박맹지(朴孟智)ㆍ표연말(表沿沫)ㆍ양관(梁灌) 등을 배향함.
17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구초당(具草塘) - 구성(具宬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이자 원종(元宗)의 비(妃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오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을 호종하고,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58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촌(鷗村) - 백구촌(白鷗村)
강원도 평해(平海)에 있는 마을 이름. 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이산해(李山海)가 유배(流配) 가서 머무름.
강원도>평해 , 지명>행정지명
-
구촌(龜村) - 유경심(柳景深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1547년(명종 2)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, 1551년(명종 6) 다시 기용되어 병조 참판(兵曹參判)ㆍ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등을 지냈음.
1516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출(狗出) - 백합(百合)
백합과(百合科)에 속하는 참나리 계통 풀의 총칭(總稱). 유구(琉球)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는 식물. 약 백여 개의 비늘이 하나의 구근(球根)을 이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, 구근은 약재(藥材)로 사용함.
자연물>식물
-
구충간(具忠簡) - 구인기(具仁墍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인조의 모후(母后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조카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 벼슬이 공조 판서(工曹判書)에 이르렀으며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97~167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충목(具忠穆) - 구굉(具宏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이자 원종(元宗)의 비(妃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오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으로 능성부원군(綾城府院君)에 봉해짐.
1577~164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구충민(寇忠愍) - 구준(寇準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추밀원 직학사(樞密院直學士)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(契丹)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.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, 저서로《구충민공시집(寇忠愍公詩集)》을 남김.
961~10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충숙(具忠肅) - 구성(具宬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이자 원종(元宗)의 비(妃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오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을 호종하고,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58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충왕(仇衝王) - 구형왕(仇衡王)
금관가야(金官伽倻)의 제10대 왕. 재위 521~532. 신라(新羅)의 귀족 김서현(金舒玄)의 조부. 532년(법흥왕 19)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(上等)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(食邑)으로 받음.
한국>가야ㅣ한국>신라 , 경상도>김해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