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주(九疇) - 경구주(耿九疇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진사(進士)에 급제하여 남경(南京) 형부 상서(刑部尙書)를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주(九疇)@양구주 - 양구주(梁九疇)
조선 전기의 문신. 홍문관 대제학(弘文館大提學)을 지낸 양성지(梁誠之)의 아버지. 청풍 군사(淸風郡事)를 지냈으며, 의정부 우찬성(議政府右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중(惧仲) - 남궁희(南宮憘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열(咸悅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을 지낸 남궁침(南宮忱)의 형으로, 사섬시 정(司贍寺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열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중(衢仲) - 윤풍형(尹豊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칠원(漆原). 윤석보(尹碩輔)의 아들로,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을 지낼 때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폐위를 도모한 김안로(金安老)를 탄핵하였으며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중심(丘仲深) - 구준(丘濬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(典例)와 고사(故事)에 정통함. 《영종실록(英宗實錄)》ㆍ《헌종실록(憲宗實錄)》을 편찬하고 《대학연의보(大學衍義補)》를 저술함.
1420~149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중우(具仲愚) - 구사안(具思顔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부마.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(孝順公主)를 맞아 능원위(綾原尉)에 봉해졌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(衛社原從功臣)에 책록됨.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(經史)에 밝았음.
1523~156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
-
구지(久之)@김수항 - 김수항(金壽恒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상헌(金尙憲)의 손자로 가학(家學)을 계승하고 송시열(宋時烈)과 교유함.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.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(騈儷文)은 당대 제일로 꼽힘.
1629~168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지(久之) - 이구(李久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자견(李自堅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지(久之)@탁유항 - 탁유항(卓有恒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탁련(卓璉)의 맏아들로,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정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지(九智) - 김구지(金九智)
조선 전기의 유학. 1456년(세조 2) 단종(端宗) 복위 모의(復位謀議)에 참여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지(九知) - 김구지(金九智)
조선 전기의 유학. 1456년(세조 2) 단종(端宗) 복위 모의(復位謀議)에 참여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직(丘直) - 이구직(李丘直)
고려 말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정간(李貞幹)의 아버지로, 문음(門蔭)으로 관계에 나아가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 조선이 개국하자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 책록되고 호조 전서(戶曹典書) 등을 지냄.
?~139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구차례(仇次禮) - 구례(求禮)
전라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. 진주(晉州)ㆍ순천(順天)ㆍ남원(南原)과 접하며, 섬진강(蟾津江) 수로의 종착지임.
전라도>구례 , 지명>행정지명
-
구차례(求次禮) - 구례(求禮)
전라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. 진주(晉州)ㆍ순천(順天)ㆍ남원(南原)과 접하며, 섬진강(蟾津江) 수로의 종착지임.
전라도>구례 , 지명>행정지명
-
구차휴(仇次休) - 구형왕(仇衡王)
금관가야(金官伽倻)의 제10대 왕. 재위 521~532. 신라(新羅)의 귀족 김서현(金舒玄)의 조부. 532년(법흥왕 19)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(上等)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(食邑)으로 받음.
한국>가야ㅣ한국>신라 , 경상도>김해 , 인명>왕실>국왕
-
구천(龜川) - 어효첨(魚孝瞻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종(咸從). 가학(家學)에 영향을 받아 문명(文名)을 날리고 예학(禮學)에 조예가 깊었음.
1405~147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천(龜川)@조철산 - 조철산(趙哲山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옥천(玉川). 조숭문(趙崇文)의 아들로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을 하다가 고신(告身)을 환수당하고 원지에 유배되어 아버지와 함께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문사>유학
-
구천사(歐天使) - 구희직(歐希稷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행인사 행인(行人司行人)으로 태감(太監)인 장조(張朝)와 더불어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제전(祭奠)과 시호(諡號) 및 부의(賻儀)를 전달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구천사(龜川祠) - 구천서원(龜川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함양(咸陽)에 건립한 서원. 박맹지(朴孟智)ㆍ표연말(表沿沫)ㆍ양관(梁灌) 등을 배향함.
17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구천원(龜川院) - 구천서원(龜川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함양(咸陽)에 건립한 서원. 박맹지(朴孟智)ㆍ표연말(表沿沫)ㆍ양관(梁灌) 등을 배향함.
17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