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행인(歐行人) - 구희직(歐希稷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행인사 행인(行人司行人)으로 태감(太監)인 장조(張朝)와 더불어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제전(祭奠)과 시호(諡號) 및 부의(賻儀)를 전달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구향(仇香) - 구람(仇覽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(德)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구헌(龜軒) - 신명인(申命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김식(金湜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. 정광필(鄭光弼)ㆍ안당(安瑭)ㆍ이장곤(李長坤)ㆍ김정(金淨)ㆍ조광조(趙光祖)ㆍ김식(金湜)ㆍ기준(奇遵) 등과 함께 팔현(八賢)이라 불림.
1492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문인
-
구화(九華) - 나무춘(羅茂春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출소(廢黜疏)를 올린 이위경(李偉卿)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.
1580~161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구화진인(九華眞人) - 김효원(金孝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조식(曺植)ㆍ이황(李滉)의 문인. 이조 전랑(吏曹銓郞)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(沈義謙)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.
1542~159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후경(具厚卿) - 구인기(具仁墍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인조의 모후(母后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조카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 벼슬이 공조 판서(工曹判書)에 이르렀으며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97~167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國幹)@신주 - 신주(辛柱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이징옥(李澄玉)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로가 있었고, 함경남도 병마절도사(咸鏡南道兵馬節度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국간(國幹)@정충량 - 정충량(鄭忠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형조 판서(刑曹判書)를 지낸 정광세(鄭光世)의 아들. 도승지(都承旨)ㆍ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탄핵을 받고 피척(被斥)됨.
1480~152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國幹) - 박광좌(朴光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 등을 지냈으며, 간재(艮齋) 최연(崔演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國幹)@이세경 - 이세경(李世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돈(李克墩)의 아들로, 1480년(성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고, 첨정(僉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정수강(丁壽崗)과 시문으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菊澗)@고저 - 고저(高翥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.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은거하며 시를 지음. 저서로 《국간집(菊澗集)》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, 후손 고사기(高士奇)가 유고집 《신천소유고(信天巢遺稿)》를 간행함.
1170~124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국간(菊澗) - 박재중(朴在中)
고려 후기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《목은문고(牧隱文稿)》에 그에게 당호(堂號)의 기문(記文)으로 써 준 〈국간기(菊澗記)〉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菊磵) - 박진록(朴晉祿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제학(提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공민왕 때에는 신돈(辛旽)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고, 우왕 때에는 천도(遷都) 문제에 관여하였으며, 조준(趙浚)의 급진주의에 반대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菊磵)@윤현 - 윤현(尹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승홍(尹承弘)의 아들로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역임함.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14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감(國鑑) - 동국문감(東國文鑑)
고려 후기의 문신인 김태현(金台鉉)이 고대부터 고려 말엽까지의 여러 사람의 시문(詩文)을 모아 편집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문선집(詩文選集). 6권 2책. 활자본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(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) - 광개토왕(廣開土王)
고구려 제19대 왕. 재위 391~412. 고국양왕(故國壤王)의 아들로,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. 내정(內政)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, 평양에 구사(九寺)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.
374~413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국강상왕(國岡上王) - 고국원왕(故國原王)
고구려 제16대 왕. 재위 331~371. 미천왕(美川王)의 아들로, 전연(前燕)과 대립하다가 국내성(國內城)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(東黃城)으로 옮김. 371년 평양성(平壤城)에서 백제 근초고왕(近肖古王)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.
?~371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국경(國卿)@김종서 - 김종서(金宗瑞)
조선 태종(太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ㆍ무신. 육진(六鎭)을 설치하여 두만강(豆滿江)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함. 단종을 보필하다 수양대군(首陽大君)에게 참살당함.
1383~14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국경(國卿) - 김안국(金安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 사림파(士林派)의 학통을 계승하고,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.
1478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국경(國經) - 인기(印紀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《하서선생전집(河西先生全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