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국간(國幹)@이세경 - 이세경(李世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돈(李克墩)의 아들로, 1480년(성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고, 첨정(僉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정수강(丁壽崗)과 시문으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菊澗)@고저 - 고저(高翥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.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은거하며 시를 지음. 저서로 《국간집(菊澗集)》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, 후손 고사기(高士奇)가 유고집 《신천소유고(信天巢遺稿)》를 간행함.
1170~124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국간(菊澗) - 박재중(朴在中)
고려 후기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《목은문고(牧隱文稿)》에 그에게 당호(堂號)의 기문(記文)으로 써 준 〈국간기(菊澗記)〉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菊磵) - 박진록(朴晉祿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제학(提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공민왕 때에는 신돈(辛旽)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고, 우왕 때에는 천도(遷都) 문제에 관여하였으며, 조준(趙浚)의 급진주의에 반대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(菊磵)@윤현 - 윤현(尹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승홍(尹承弘)의 아들로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역임함.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14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감(國鑑) - 동국문감(東國文鑑)
고려 후기의 문신인 김태현(金台鉉)이 고대부터 고려 말엽까지의 여러 사람의 시문(詩文)을 모아 편집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문선집(詩文選集). 6권 2책. 활자본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(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) - 광개토왕(廣開土王)
고구려 제19대 왕. 재위 391~412. 고국양왕(故國壤王)의 아들로,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. 내정(內政)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, 평양에 구사(九寺)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.
374~413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국강상왕(國岡上王) - 고국원왕(故國原王)
고구려 제16대 왕. 재위 331~371. 미천왕(美川王)의 아들로, 전연(前燕)과 대립하다가 국내성(國內城)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(東黃城)으로 옮김. 371년 평양성(平壤城)에서 백제 근초고왕(近肖古王)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.
?~371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국경(國卿)@김종서 - 김종서(金宗瑞)
조선 태종(太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ㆍ무신. 육진(六鎭)을 설치하여 두만강(豆滿江)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함. 단종을 보필하다 수양대군(首陽大君)에게 참살당함.
1383~14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국경(國卿) - 김안국(金安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 사림파(士林派)의 학통을 계승하고,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.
1478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국경(國經) - 인기(印紀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《하서선생전집(河西先生全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국광(國光) - 김국광(金國光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세조(世祖)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 편찬에 참여하고,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으로 광산부원군(光山府院君)에 봉해짐.
1415~148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국교(國僑) - 공손교(公孫僑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정(鄭) 나라의 재상. 정(鄭) 목공(穆公)의 손자로,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. 예법(禮法)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(口舌)로 밖을 제어하므로, 당시 강국인 진(晉)과 초(楚)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.
?~B.C.522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국군(麴君) - 국생(麴生)
술의 의인화된 명칭. 누룩[麴]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(生) 자를 붙여 입전(立傳)한 데서 유래한 명칭.
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균(國鈞) - 강자평(姜子平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대사간(大司諫)ㆍ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내고, 사후(死後)에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추죄(追罪)되었으나 중종(中宗) 때 신원됨.
1430~14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국균(國鈞)@신국균 - 신국균(辛國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문천 군수(文川郡守) 신학(辛鶴)의 아들로, 덕원 교수(德源敎授)를 지냄. 신재(愼齋) 주세붕(周世鵬)이 지은 묘지명(墓誌銘)이 있음.
1479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기(國器)@모국기 - 모국기(茅國器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수. 임진왜란 때,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. 성주(星州)에 주둔했을 때 유민(流民)을 불러 모으고 둔전(屯田)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(泗川) 싸움에서 패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국기(國器) - 임형수(林亨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호당(湖堂)에 있을 때 이황(李滉)ㆍ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이 일어나자 대윤(大尹) 일파로 몰려 사사(賜死)됨.
1504~154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기(國紀) - 이원강(李元綱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에 《성문사업도(聖門事業圖)》ㆍ《후덕록(厚德錄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국담(菊潭)@김새 - 김새(金璽)
조선 전기의 유학. 《성암집(省菴集)》에 김효원(金孝元)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