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국담시선(菊潭詩仙) - 김새(金璽)
조선 전기의 유학. 《성암집(省菴集)》에 김효원(金孝元)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국담옹(菊潭翁) - 김새(金璽)
조선 전기의 유학. 《성암집(省菴集)》에 김효원(金孝元)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국당(菊堂) - 박흥생(朴興生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자수(金子粹)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(昌平縣令)을 지냈으나, 친상(親喪)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.
1374~144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국당(菊堂)@이천 - 이천(李蒨)@고려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첨의평리 상의(僉議評理商議)로 원(元) 나라에 가서 교사(郊赦)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,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 등을 역임함.
?~134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량(國樑) - 박광필(朴光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린(朴璘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량(國樑)@이국량 - 이국량(李國樑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준(李賢俊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이자 조카사위로, 1546년(명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17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
-
국로(國老)@홍인필 - 홍인필(洪仁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, 그를 포함하여 여러 명과 술을 마시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국로(國老)@임국로 - 임국로(任國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임명필(任明弼)의 손자이며 임몽정(任蒙正)의 아버지. 이조 참판(吏曹參判) 재임시 기축옥사(己丑獄死)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537~160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로(國老)@조세보 - 조세보(趙世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양(豊壤). 형조 참의(刑曹參議) 조인규(趙仁奎)의 아버지로, 지평(持平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로(國老) - 조언경(曺彦卿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조계은(曹繼殷)의 아들. 1515년(중종 10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이 되었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로(菊老) - 최탁(崔倬)
조선 전기의 문신. 성격이 강직하고, 생원(生員)을 거쳐 밀양 부사(密陽府使) 등을 지낸 것으로 전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로선생(國老先生) - 조광조(趙光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으로, 도학정치(道學政治)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(勳舊)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인해 죽임을 당함.
1482~151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국륜(國倫) - 오국륜(吳國倫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귀주 제학(貴州提學)ㆍ하남 참정(河南參政) 등을 지냈으며,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(後七子)로 불림.
1524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국린(國隣) - 유충량(柳忠良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어모장군(禦侮將軍) 유해(柳瀣)의 아들로, 1549년(명종 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무자(國武子) - 국좌(國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대부(大夫). 직언(直言)을 일삼다가 영공(靈公)에게 살해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국문(國聞) - 정자지(鄭子芝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벼슬은 밀양 부사(密陽府使)를 지냄. 이정은(李貞恩)ㆍ이총(李摠)과 함께 아악(雅樂)에 조예가 깊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방(國防) - 이건(李楗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를 지낸 이대(李薱)의 셋째 아들이며, 이즙(李楫)ㆍ이백(李柏)의 아우이고, 이역(李櫟)ㆍ이노(李櫓)ㆍ이박(李樸)ㆍ이량(李樑)의 형. 통례원 우통례(通禮院右通禮)ㆍ예조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냄.
150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국번(國藩) - 신진(申鎭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국보(國保) - 윤시침(尹時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도사(都事)를 지내고, 사암(思菴) 박순(朴淳)과 교유함.
153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보(國寶)@채원정 - 채원정(蔡元鼎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~송(宋) 나라의 학자. 대모산(大帽山)에 은거하여 육경(六經) 등을 연구하고 후진(後進)을 양성함. 주희(朱熹)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(偏額)을 지음.
중국>송ㅣ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