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국보(國寶)@남한기 - 남한기(南漢紀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정중(南正重)의 아들이며, 남유용(南有容)의 아버지로,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냈고, 추은(推恩)으로 기로소(耆老所)에 들어감.
1675~174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보(國寶)@백양신 - 백양신(白良臣)
고려 후기의 무신. 백문보(白文寶)의 조부. 직산백씨(稷山白氏) 시조로, 평장사(平章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직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국보(國寶)@제안대군 - 제안대군(齊安大君)
조선 제8대 예종(睿宗)의 둘째 아들. 어머니는 안순왕후 한씨(安順王后韓氏). 예종이 죽자 어리고 총명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즉위하지 못하고, 1470년(성종 1) 제안대군(齊安大君)에 봉해짐.
1466~152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국보(國寶)@염국보 - 염국보(廉國寶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원(瑞原)으로, 곡성부원군(曲城府院君) 염제신(廉悌臣)의 아들. 최영(崔瑩)ㆍ이성계(李成桂)에 의하여 아우 염흥방(廉興邦) 등이 제거될 때 살해됨.
?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보(國寶) - 김정신(金鼎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승경(金承敬)의 아들로, 1524년(중종 19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, 부사(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보(國輔) - 황사우(黃士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친척인 김안로(金安老)가 정권을 잡자 권세를 부리며, 뇌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치부했다는 비판을 받음.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냄.
1486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국보(國輔)@이세응 - 이세응(李世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으로, 사재감 부정(司宰監副正) 이계통(李季通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고,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.
1473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국빈(國賓) - 이관징(李觀徵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나, 갑술환국(甲戌換局) 때 삭출됨. 해서(楷書)에 능했으며 만년에는 김생(金生)의 필법을 연구함.
1618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국서(國瑞)@태조 - 태조(太祖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1대 황제. 재위 1368~1398. 원(元)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(漢民族)의 왕조를 회복시키고,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.
1328~139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국서(國瑞) - 민상안(閔祥安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사은사(謝恩使)가 되어 북경(北京)에 다녀왔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를 비호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서(菊墅) - 방언휘(方彦暉)
고려 후기의 문신. 충목왕(忠穆王)의 장인이며 방순(方恂)의 아버지로, 직제학(直提學)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국선(國善) - 허충길(許忠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허백기(許伯琦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명종(明宗) 때 양재역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의주(義州)로 유배되고, 후에 영천 군수(榮川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국선생(麴先生) - 국성(麴聖)
술의 다른 이름.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(李奎報)가 지은 가전(假傳) 〈국선생전(麴先生傳)〉의 주인공. 아버지 국차(麴醝)와 어머니 곡씨(穀氏)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받아 주객 낭중(主客郞中)을 지내고, 난을 평정한 공으로 상동후(湘東侯)에 봉해짐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성이씨(國姓李氏) - 전주이씨(全州李氏)
신라 때 사공(司空)을 지낸 이한(李翰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조선시대의 국성(國姓).
한국>신라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집단>성씨
-
국수(國秀) - 여송걸(余宋傑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 《역경(易經)》을 배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국수(菊水) - 국담(菊潭)
중국 남양(南陽) 역현(酈縣)에 있는 샘 이름. 이 샘의 물을 마시는 사람은 모두 장수하였다고 함. 송(宋) 나라 사정지(史正志)의 《국보서(菊譜序)》에 기록이 전함.
중국 , 유적>기타유적
-
국수재(麴秀才) - 국생(麴生)
술의 의인화된 명칭. 누룩[麴]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(生) 자를 붙여 입전(立傳)한 데서 유래한 명칭.
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신(國信)@안국신 - 안국신(安國信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대장군(大將軍) 안방걸(安邦傑)의 아들로,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신(國信) - 이인현(李仁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안(鎭安). 이영준(李英俊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에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감정(監正) 등을 지냄.
149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국씨(國氏) - 전주이씨(全州李氏)
신라 때 사공(司空)을 지낸 이한(李翰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조선시대의 국성(國姓).
한국>신라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집단>성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