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다각(茶角) - 정극인(丁克仁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광(靈光). 최초의 가사(歌辭) 작품인 〈상춘곡(賞春曲)〉을 지음. 단종(端宗)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.
1401~14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다경(多慶) - 김다경(金多慶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진해(鎭海)ㆍ청도(淸道)의 현감(縣監)을 지낸 김세량(金世良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다매(茶梅) - 동백(冬柏)
차나뭇과의 상록활엽 교목. 겨울에서 봄까지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, 설중사우(雪中四友)의 하나. 열매는 약용(藥用)으로 사용하거나 머릿기름, 등잔기름 등으로 사용함.
자연물>식물
-
다사강(多沙江) - 섬진강(蟾津江)
전라도 진안(鎭安)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(南流)하고, 경상도 하동(河東)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.
전라도>진안ㅣ경상도>하동 , 지명>자연지명
-
다산(茶山)@목대흠 - 목대흠(睦大欽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사천(泗川). 이조 참판(吏曺參判)을 지낸 목첨(睦瞻)의 아들로, 1624년(인조 2) 이괄(李适)의 난(亂) 때 공을 세움. 저서로는 《다산집(茶山集)》이 있음.
1575~16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다산(茶山) - 증기(曾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육유(陸游)의 스승으로, 진회(秦檜)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권 예부 시랑(權禮部侍郞) 등을 역임하였음.
1084~116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다산(茶山)@정약용 - 정약용(丁若鏞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유형원(柳馨遠)ㆍ이익(李瀷)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(實學)을 집대성함. 주자(朱子) 성리학(性理學)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.
1762~18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강진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다성(多省) - 문다성(文多省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남평문씨(南平文氏)의 시조.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(三韓壁上功臣)에 책록되고, 남평개국백(南平開國伯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다손(多遜) - 노다손(盧多遜)
중국 송(宋) 나라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태조의 충신(忠臣) 조보(趙普)를 조정에서 축출해 정위(丁謂)와 함께 간신(奸臣)으로 불림. 태종 즉위 후 정승(政丞)을 지냈으나 진왕(秦王) 정미(廷美)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배소(配所)에서 죽음.
934~9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다온평(多溫平) - 온성(穩城)
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우리나라 최북단의 고을로, 서ㆍ북ㆍ동쪽에 두만강(豆滿江)을 국경으로 하여 중국 길림성(吉林省)과 마주하고 있음.
함경도>온성 , 지명>행정지명
-
다의당(多義堂) - 채귀하(蔡貴河)
고려 후기의 문신. 상서(尙書) 채원길(蔡元吉)의 아들로, 인천채씨(仁川蔡氏)의 중시조. 호조 전서(戶曹典書)를 지내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충절을 지키며 두문동(杜門洞) 72현 중 한 사람이 됨. 정몽주(鄭夢周)와 친교(親交)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평산ㅣ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다전(茶顚) - 육우(陸羽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문인. 고조시가(古調詩歌)에 뛰어났으며, 특히 다도(茶道)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《다경(茶經)》을 저술하였고, 후세에 ‘다성(茶聖)’으로 일컬어짐.
733~80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다헌(茶軒) - 정극인(丁克仁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광(靈光). 최초의 가사(歌辭) 작품인 〈상춘곡(賞春曲)〉을 지음. 단종(端宗)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.
1401~14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단(㫜) - 권단(權㫜)
고려 고종(高宗)~충선왕(忠宣王) 때의 문신ㆍ승려. 한림학사 권위(權韙)의 아들로, 찬성사(贊成事)로 치사(致仕)하고 선흥사(禪興寺)에 들어가 승려가 됨.
1228~131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관인>문신
-
단(丹) - 태자단(太子丹)
중국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마지막 태자. 진(秦) 시황(始皇)이 육국(六國)을 병합할 야욕이 있음을 알고 자객(刺客) 형가(荊軻)를 시켜 시황(始皇)을 암살하려다 실패함.
?~B.C.226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단(旦) - 사마단(司馬旦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사마지(司馬池)의 아들이며, 사마광(司馬光)의 형. 정현 주부(鄭縣主簿) 등을 역임함.
1006~109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단(湍) - 신단(辛湍)
조선 전기의 유학.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구봉령(具鳳齡)이 지은 〈신원우신문경(新院遇辛聞慶)〉이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문경 , 인명>문사>유학
-
단계(丹溪)@허옹 - 허옹(許邕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성품이 강직하여 과거에 부정 합격한 감찰대부(監察大夫) 최안도(崔安道)의 아들 최경(崔璟)을 탄핵하고, 그의 첩장(牒狀)에 서명하기를 거부함.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이색(李穡)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단계(丹溪)@단성 - 단성(丹城)
경상남도 산청(山淸)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. 조선 세종(世宗) 때 단계(丹溪)와 강성(江城)이 합해서 이루어짐.
경상도>산음 , 지명>행정지명
-
단계(丹溪) - 하위지(河緯地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문장이 뛰어나 《역대병요(歷代兵要)》등의 편찬에 참여함.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으로, 세조(世祖)가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.
1412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