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단계부정(丹溪副正) - 이린(李潾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두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단곡(丹谷) - 곽진(郭𡺽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종(仁宗) 때의 학자. 생원 곽한(郭瀚)의 아들이며, 권우(權宇)의 문인.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. 시문에 능하였고, 장현광(張顯光)ㆍ이준(李埈)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.
1568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학자
-
단곡거사(丹谷居士) - 곽진(郭𡺽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종(仁宗) 때의 학자. 생원 곽한(郭瀚)의 아들이며, 권우(權宇)의 문인.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. 시문에 능하였고, 장현광(張顯光)ㆍ이준(李埈)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.
1568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학자
-
단공(檀公) - 단도제(檀道濟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무제(武帝)~문제(文帝) 때의 장군. 무제를 도와 송 나라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영수현공(永修縣公)에 봉해짐.
?~43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단공(端公)@이이 - 이이(李頤)@고려
고려 후기의 문신. 민사평(閔思平)의 문인(門人)으로, 경상도 안렴사(慶尙道按廉使)를 지낼 때 《급암시집(及菴詩集)》의 판각을 도움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단공(端公) - 전순(田珣)
고려 후기의 유학. 시에 뛰어나 이규보(李奎報)와 함께 시를 수창(酬唱)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단구(丹丘)@원단구 - 원단구(元丹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. 신선술(神仙術)을 좋아하였으며, 이백(李白)과 교유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단구(丹丘) - 단양(丹陽)
충청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제2의 외금강(外金剛)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아름다움.
충청도>단양 , 지명>행정지명
-
단구(丹丘)@이숭경 - 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단구(丹丘)@영해 - 영해(寧海)
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서쪽으로 진보(眞寶),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(平海)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(盈德郡)에 속함.
경상도>영해 , 지명>행정지명
-
단구생(丹丘生) - 원단구(元丹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. 신선술(神仙術)을 좋아하였으며, 이백(李白)과 교유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단구자(丹丘子)@원단구 - 원단구(元丹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. 신선술(神仙術)을 좋아하였으며, 이백(李白)과 교유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단구자(丹丘子) - 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단구한민(丹丘閑民) - 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단군왕검(檀君王儉) - 단군(檀君)
고조선(古朝鮮)의 첫 임금. 한민족의 시조(始祖)로 천제(天帝)인 환인(桓因)의 손자이며, 환웅(桓雄)의 아들. B.C.2333년 아사달(阿斯達)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(古朝鮮)을 건국하였음.
고대 , 인명>왕실>국왕
-
단금지계(斷金之契) - 금란지교(金蘭之交)
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. 《역경(易經)》의 〈계사상전(繫辭上傳)〉에서 유래한 말로,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단금지교(斷金之交) - 금란지교(金蘭之交)
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. 《역경(易經)》의 〈계사상전(繫辭上傳)〉에서 유래한 말로,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단기지계(斷機之戒) - 맹모단기(孟母斷機)
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에 건 날 실을 끊음. 《열녀전(列女傳)》〈모의전(母儀傳)〉에 나온 이야기로, 맹자의 어머니가 유학(遊學) 도중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여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일을 책망한 고사에서 유래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단단대령(單單大嶺) - 백두산(白頭山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산.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,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(聖山)으로 숭배함.
함경도>경성ㅣ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단두장군(斷頭將軍) - 엄안(嚴顔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장수. 강주(江州)를 지키다가 장비(張飛)에게 생포된 후 노장 황충(黃忠)과 더불어 유비(劉備)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